메뉴 건너뛰기

[민중의소리] 동서발전 사상최대 강제 발령, 노조와해 노린 퇴출제도 시행?

노동조합 2011.01.26 조회 수 1980 추천 수 0

철저한 경쟁과 도태의 드래프트제 도입, “직원들, 해고 공포에 떨어”

 

24061752_343434.gif

동서발전의 이른바 '무보직 삼진아웃' 드레프트제도 ⓒ민중의소리

 

 

동서발전이 회사 사상 최대의 강제 인사발령을 단행함과 동시에 '상시적 인력퇴출프로그램' 실시해 노사 갈등이 첨예해지고 있다.

최근 이른바 ‘노조와해 문건’이 공개돼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는 동서발전은 지난 21일자로 직원 147명에 대한 강제인사발령을 단행했다.

이번 인사발령에는 전 직원 1310명 중 10%가 넘는 대규모 인원이 포함됐다. 평년의 평균 발령 인원은 70~80명으로, 이번 인사발령은 2001년 회사 창립 이후 최대 규모다.

이와 관련, 박희성 동서발전 인사교육팀장은 <민중의소리>와의 전화통화에서 “장기 근무자 일부를 대상으로 강제순환발령을 냈다”며 “강제순환발령은 조직에 긴장과 활력을 불어넣기 위한 조치로 모회사인 한전에서도 이미 시행중”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노조측은 이번 발령에는 기준이나 원칙도 없으며 회사가 노조원을 찍어내기 위해 실시된 것이라고 주장하고 나섰다. 노조측은 심지어 본인 요청으로 울산으로 옮긴지 2년 밖에 안 된 직원이 발령이 난 경우도 있다고 밝혔다.

근무지도 경쟁, 근무부서도 경쟁...“관리자 눈 밖에 나면 무보직에 해고까지”

인원보다 더 큰 문제는 이번 발령에서 발전 5개사 중 동서발전에서 처음으로 드래프트 제도가 시행됐다는 점이다.

동서발전 사측이 시행하겠다고 밝힌 드래프트 제도는 ‘공개경쟁보직제’라는 이름에서 드러나듯 철저히 '경쟁과 도태'를 목표로 하는 인사시스템이다.

회사의 공문에 나타난 드래프트제도는 ‘선지원 후선발’의 대학입시 제도를 연상케한다. 이 제도에 따르면, 본사의 경우 2지망까지, 발전소의 경우 3지망까지 직원들이 근무를 희망하는 곳을 직접 컴퓨터로 신청한다. 이후 지원자들을 대상으로 각 발전소마다 소장이 같이 일할 사람을 뽑게 된다.

그런데 3지망까지 아무 곳에서도 선택받지 못한 직원은 무보직 상태에서 ‘능력향상교육’을 받게 된다. 여기에다 무보직 상태가 세 번 되면 ‘삼진아웃’에 걸려 회사가 직원을 해임할 수 있는 규정이 포함돼 있다.

근무지에 들어간다고 경쟁은 끝나는 것이 아니다.

유진기 노조 사무차장은 “근무지에 가서도 부서를 놓고 다시 드래프트를 실시한다. 희망부서에서 떨어지면 다른 부서로 가거나 무보직 상태가 된다”며 “상시적인 경쟁과 퇴출이 드래프트제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회사측도 드래프트제도가 상시적 인력퇴출을 목표로 하는 프로그램이라는 것을 명확히 하고 있다. 동서발전은 지난해 10월 드래프트제 도입을 언급한 데 이어 곧바로 12월에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밝혔다. 전직원에게 공지된 회사 공문에는 ‘상시 인력퇴출 프로그램(3진 아웃) 시행’, ‘재직 중 무보직, 재교육탈락 횟수 누적관리 3회시 해임’ 등이 적시돼 있다.

근무지를 가고 부서를 정하는 것도 동료들과 경쟁을 뚫어야 하고, 관리자들에게 선택을 받지 못하면 무보직이나 해고를 당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노조 관계자는 회사가 드래프트제 도입을 추진할 당시 조합원들은 “눈 밖에 나면 몇 개월 안에 잘릴 수도 있겠구나”라며 공포감을 토로했었다고 밝혔다.

회사 관계자는 “올해는 무보직이나 능력향상교육을 실시하지는 않는다”고 밝혔지만 올해든 내년이든 무보직 및 능력향상교육제를 도입하겠다는 회사의 의지는 분명해 보인다.

노조, “열성조합원 표적 발령” 의혹 제기...“사측, 조합원을 ABC등급으로 분류”

회사측이 노조에 우호적이고 열심히 활동하는 조합원을 표적으로 삼아 보복 발령을 했다는 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노조관계자는 회사 측이 분류한 A(조합 열성 지지), B(중립), C(회사 지지)를 기준으로 볼 때 A 인원에 대해 집중적으로 강제발령이 났다고 주장했다 .

명단을 구체적으로 확인하고 있는 중이라고 밝힌 이 관계자는 전∙현직 조합 간부 상당수가 강제발령을 받았다고 밝혔다.

노조의 이런 주장에 대해 회사측의 박희성 인사교육팀장은 “분명한 기준에 따라 정상적으로 인사 발령을 했다”며 “문제가 있으면 직원들이 수용하지 않기 때문에 이미 이달 4일 열린 특별노사협의회에서 노조에게도 충분히 설명했다”고 말했다.

 

19042740_YJW_2037.jpg

박종옥 발전노조 위원장이 노조 탄압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양지웅

 

 

그러나 이미 현장에서는 강제발령과 드래프트제가 맹위를 떨치고 있다.

지난해 11월 18~22일 진행된 민주노총∙발전노조 탈퇴 찬반 투표를 전후해 조합원 탈퇴 압력이 회사 전체적으로 가해졌고, 상당수 조합원들이 탈퇴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박종옥 발전노조 위원장은 “이번 강제순환발령은 일산발전소에서 폭로된 ‘노조 와해문건’으로 확인된 노조 와해 전략의 일부”라며 “발전노조 탈퇴 찬반투표, 강제순환발령, 어용노조의 출범이라는 회사의 수순이 실행에 옮겨지고 있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조합원들을 끊임없이 경쟁시키고 관리자에 찍히면 회사에서 쫓겨나야 하는 드래프트제는 결코 용납할 수 없다”며 “드래프트제를 철회시키고 5개 발전회사에서 민주노조를 굳건히 지키겠다”고 강조했다.

 

민중의소리 기사 원문 보기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7 [0530 기사모음] 공공부문 인력감축의 함정 교육선전실 2008.05.30 1388
246 [민중의소리] “발전파업 직권중재는 노동자에 대한 선전포고“ 노동조합 2006.09.04 1385
245 [연합뉴스] 이윤호 "전력.가스, 민영화 부문 있다" 노동조합 2008.05.19 1376
244 [매일노동뉴스]남동발전, 전력대란 속 발전소 설비 외주화 추진 노동조합 2013.01.03 1372
243 [한겨레신문]공공부문 파업 본격화 두 노총 주말 전국대회 노동조합 2009.11.11 1369
242 [한겨레신문] “노조탈퇴 안하면 보직박탈”…동서발전 노조파괴 증언 봇물 노동조합 2011.01.18 1369
241 [0527 기사모음] "신뢰잃은 정부는 공기업 민영화 힘들다" 노동조합 2008.05.28 1368
240 [0811 정책포털]1차 추진안 발표 - 41개 공기업 선진화 확정 교육선전실 2008.09.08 1367
239 [0616 기사모음]'공기업 민영화' 당·청 연일 핑퐁 교육선전실 2008.06.27 1362
238 [메디컬투데이] 영흥화력, 노조원 감금하는 등 '인권침해' 심각 노동조합 2009.12.24 1361
237 [0609 조선]'공기업 민영화'라도 실패 안하려면 교육선전실 2008.06.10 1360
236 [연합뉴스]양대노총 공공부문도 공동투쟁 선언 노동조합 2009.11.03 1359
235 [0723 기사모음]여야, '경제난 해법' 한 목소리…'책임론' 공방 교육선전실 2008.07.28 1354
234 [0605기사모음] 牛風낙엽…개혁과제 우수수-공기업ㆍ연금ㆍ규제철폐 줄줄이 지연에 靑 속앓이 교육선전실 2008.06.05 1339
233 [메디컬 투데이]한국가스공사 노사 단체협약 "적법" 노동조합 2010.07.27 1336
232 [디피뉴스] “한국서부발전(주), 기업별노조 획책 중단해야” 노동조합 2011.07.18 1336
231 [한겨레] 동서발전 메일서버 압수수색 노동조합 2011.03.23 1335
230 [민중의 소리] 에너지 관련 공기업에는 영남대 출신 사장만? 노동조합 2011.09.08 1334
229 [1202기사모음] 李대통령 "2% 감원한 농촌공사, 고통분담 전형" 노동조합 2008.12.02 1333
228 [투데이에너지] 동서발전, 내부고발자 색출 돌입 노동조합 2011.08.18 1331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