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단독]정부 전력산업 구조조정… 발등 찍힌 민간발전 (아주경제)

민자발전 2015.04.21 조회 수 1836 추천 수 0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발전 보조금 축소 정책의 윤곽이 드러났다. 

정책 가이드라인대로면 상당부분 민간발전의 퇴출이 불가피해 전력산업의 구조조정이 일어날 것으로 관측된다. 전력공급과잉에 따른 비용 낭비를 줄이기 위해 정부가 간접적인 구조조정에 나선 것이다. 

하지만 과거 전력대란 시 정부가 종용해 시장에 진입했던 민간발전사들은 정책 변경으로 퇴출 위기에 놓여 정책 신뢰도가 추락할 것이란 우려 등 갖가지 논란이 들끓고 있다. 

업계에 정통한 한 시장 관계자는 19일 “정부가 구체적인 가이드라인을 밝히지 않고 성과연동형용량계수(PCF) 제도 도입을 강행하면서 업계와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며 “그런데 예비율을 기준으로 15% 이상의 발전설비에 대해서는 용량요금(CP)을 축소하는 방안이 거의 확실시 된다”고 밝혔다. 

예비율은 전역수요를 채우고 남는 여분의 전력상태를 말한다. 여기서 예비율이 높다는 것은 발전설비의 효율이 떨어져 가동률이 낮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CP는 정부가 안정적인 전력수급을 위해 시장에 참여한 발전사들을 지원하는 일종의 보조금이다.

관계자에 따르면 정부는 적정 예비율을 15%, 발전기 고장 또는 원전 정비 등 불확실성을 감안한 목표 예비율을 22%로 잡고 있다. PCF 적용 구간을 해당 예비율을 기준으로 설정해 15% 이하 발전기는 기존 7.46원/kWh CP를 유지하고 15% 이상부터 22%에 가까울수록 CP를 0원까지 줄인다는 계획이다. 즉, 22%를 넘어가는 발전기는 CP를 받지 못한다.

정부는 그동안 이같은 가이드라인을 밝히지 않고 PCF 제도 도입 절차를 진행해왔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정부는 먼저 제도 도입을 결정한 다음 세부 내용을 논의하자는 식인데 어불성설”이라며 “제도 도입 전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할 것인지 업계와 논의돼야 하는 게 아니냐”고 꼬집었다. 

보조금 감축이 감축되면 리스크가 큰 쪽은 SK(SK E&S), GS(GS EPS, GS파워), 포스코(포스코에너지), 삼천리 등 천연가스(LNG)복합발전 위주의 민간발전사들이다. 최근 전력공급과잉 상황에서 원전이나 석탄발전에 비해 발전단가가 높은 LNG발전소들의 가동률이 저조해 보조금 축소는 경영난을 가중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들 업계는 대안 없이 보조금 감축만 추진하는 것의 불합리성을 제기한다. 비효율발전기에 대한 보조금을 줄이려면 고효율발전기에는 혜택을 줘야 합당하다는 주장이다. 특히 2001년 도입했던 CP가 이후 14년간 물가인상분 반영 없이 한차례도 오르지 않은 점을 문제 삼는다.

2011년 발생했던 9‧15 순환정전 사태 이후 국가적 전력부족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 긴급 투입됐던 LNG발전사들로서는 이제 정부로부터 발등을 찍히게 된 처지다.

조영탁 한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 “발전사들이 CP를 염두에 두고 투자한 만큼 해외에선 소송으로 번질 사례”라며 “정부의 정책리스크가 커지면 장기적으로 전력산업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2개의 댓글

Profile
글쓴이
2015.04.21

과거 한전시절에 비해 과연 경제발전이 이뤄졌는지 따져야 한다!

발전분할 및 전력거래제가 과연 저렴한 절력요금에 기여한 바가 무엇인지 따져야 한다!

민자발전이 안정적 전력공급에 기여한바가 무엇인지 그리고 기여도와 비용 효율의 관계를 따져야 한다!

 

전체적 전력비용 증가만 초래되었다!!!는 것이 결론이다!!!

발전사 통합과 구조조정을 통한 비대칭적 비능률적 조직을 슬림화해야 한다!!!

 

Profile
CP
2015.04.22

CP를 보조금쯤으로 아시는 분이이 전력요금 정책에 대해 왈가왈부하시는 것은, 참...나....원... 모르면 조용히 계세요!! 예비율이 높은게 효율이 낮은겁니까?? 무슨말인지는 알겠는데 표현은 틀렸습니다.... .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730 얼마나 투쟁했다고 다들 이런 핑계를 7 기업별 2011.07.04 1761 0
3729 인권연대와 함께 할 상근활동가를 공개채용합니다. 인권연대 2013.09.03 1759 0
3728 정부, 임금피크제 시행 독려에도 공공기관 11곳 불과 1 소식 2015.08.05 1759 0
3727 버려야 얻는다 5 버려야얻는다 2011.06.24 1758 0
3726 남부 2011년 임금잠정합의(안) 설명 9 여승호 2011.12.17 1758 0
3725 애증의 발전노조 해고자 급여 삭감을 추진하는것을 보니.... 2 동서노조 2013.02.03 1758 0
3724 우리 중부의 김본부장님 여전히 1 신보령 2012.06.15 1757 0
3723 매달 조합비 많은거 아닌가요? 6 노조원 2016.05.09 1757 0
3722 자랑스러운 동서노조 3 똥눠 2018.03.20 1757 0
3721 동서발전 단체교섭권 법원 가처분 승소 9 지리산 2011.05.19 1756 0
3720 조합원은 눈물바다..노조간부는 꽃구경, 술판... 7 2발 2012.04.25 1756 0
3719 제17기 청년 인권학교 <인권을 배우자, 그리고 행복해지자!> 최민영 2018.07.11 1756 0
3718 태안 임단협 설명회 13 미생 2014.12.04 1755 0
3717 검찰 칼끝에 놓인 한국남부발전‥‘비리온상’ 오명 쓰나 2 청렴1등 2015.04.03 1755 0
3716 통상임금 못받는다고 하는데 맞나요 5 순둥이 2015.07.23 1755 0
3715 퇴직연금제 반대지부.. 8 알림이 2011.05.01 1754 0
3714 서부임금검토좀... 8 서부 2014.12.05 1754 0
3713 서부본부 투쟁보고 6호 서부본부 2011.07.25 1753 0
3712 퇴직연금제와 강제이동 그리고 남부노조(4) 3 민주노조 2011.11.20 1752 0
3711 추가 교섭이 다 이루어졌나요? 3 남동 2014.10.04 1752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