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교섭창구 단일화?

복수노조 2011.03.22 조회 수 1693 추천 수 0
[노동현안 리포트] 교섭창구 단일화?
 

김형동 변호사

“2011년 7월1일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가 시행된다”고 한다. “복수노조가 되면 조직 간 경쟁이 치열해지고 사용자의 노무관리비용이 급증하는 등 사회적 혼란이 가중될 것”이라는 평가에 고개를 끄덕이는 이들이 많다. 그러나 이 같은 동의가 보수언론과 정부의 선전 탓은 아닌지 고민해 볼 때다. 그대로 시행하기에는 의혹이 너무나 많다.



사업장 단위 복수노조는 2011년 7월1일이 되지 않은 지금 이 시각에도 엄연히 존재한다. 우선 기업 결합에 의한 복수노조가 있다. 초기업단위노조 지부 형태도 있다. 고용노동부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법원은 2000년부터 이를 인정해 왔다. 특히 초기업단위노조 지부는 형식상 독립 노조는 아니지만 엄연히 노조의 실질을 갖췄으며 위임의 방식으로 단체교섭까지 할 수 있다. 다수의 지역·일반노조 소속 조합원들은 그동안 이와 같은 형식으로 노동3권을 누려 왔다. 결과적으로 법률에 의한 것은 아니지만 법원에 의해 복수노조를 인정받아 왔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그렇다면 2011년 7월1일부터 전격적으로 시행되는 새로운 제도는 "사업장 단위 교섭창구 단일화"라고 불러야 정확한 표현이다. 복수노조라 불리고 있지만 실은 창구단일화 제도가 도입된 것이다. 이러한 혼동은 사용자와 정부에 의해 조장되고 있는 듯하다. 노조활동 자체를 완벽하게 통제하고 후퇴시킬 절호의 기회로 삼을 통산이다.



먼저 복수노조 시행이 사용자에게 커다란 부담이 된다는 주장은 구체적이고 사실에 기초한 것이 아니다. 단순한 산수놀음에 불과하다. ‘하나’보다는 ‘둘이나 그 이상’이 많기 때문에 관리가 어렵다는 정도의 생각이 아닐까. 어떤 과정으로 얼마간의 비용 증가가 있는지 실증돼야 한다. 앞서 든 예와 같이 지난 10여년 이상 복수노조를 운용해 온 사업장들에 대한 사례 연구는 쉽게 할 수 있다. 기업결합 이전과 이후 노사관계 비용을 비교한다거나 초기업단위노조의 지부가 설립된 경우를 비교하면 된다.



무엇보다 헌법체계에 부합하는지 의문이다. 사용자의 경영권이 노동3권에 우선할 수 없음이 명백하기 때문이다. 굳이 경영권을 헌법상 기본권으로 끌어올린다면 정부의 주장은 이른바 헌법상 기본권 충돌의 문제라 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경영권 보장을 위해 노동3권을 제한할 수 있을 때나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노동3권은 자유권적 기본권이라는 것이 헌법재판소와 대다수 학자들의 견해다. 천부인권으로 기본권 주체가 누려야 할 불가침의 기본권이다. 생명권·자유권과 같은 절대적 기본권의 하나라는 것이다.

 

그런데 경영권은 어떠한가. 원래 경영권이라는 말조차 과거엔 없었다. 정리해고를 정당화하기 위해 만들어진 권리가 아니던가. 경영권을 인정하더라도 법률상 권리 정도로 봐야 한다. 설사 헌법상 기본권으로 보더라도 재산권에 기초하거나 헌법의 기본질서 중 하나인 사회적시장경제 질서의 통제범위를 벗어날 수 없다. 즉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제한이 가능한 기본권에 불과하다.



결국 원활한 경영권 보장을 위한 노동3권을 제한하겠다는 주장은 헌법을 개정하지 않는 한 불가능하다. 또한 창구단일화는 헌법이 명문으로 보장한 노동3권을 배제하고 있으므로 위헌이라는 논리는 널리 인정받고 있다. 법률이 헌법정신을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은 초등학생도 아는 지식이다.



때로는 위 주장의 근거로 여타 외국 복수노조 사례를 들곤 한다. 복수노조가 시행되는 나라 대부분이 창구단일화를 전제로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그 창구단일화 방법이 우리 법과 같이 사용자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하도록 된 것인지 알지 못한다. 무엇보다 우리 헌법체계와 그들의 체계가 같을 수 없다. 우리나라는 지난 노동착취의 역사적 반성으로 헌법에 노동3권을 명문화하지 않았던가.



노조법상 창구단일화는 공무원노조법이나 교원노조법에서도 찾기 어려운 방식이다. 노조법상 노동자가 공무원과 교원 이상의 책임을 지울 만큼 국가로부터 보상받은 그 무엇이 있는가. 찾을 수 없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49 유럽 군인노조와 시지포스 노동을 극복하기 노동자 2013.01.24 5633 0
148 서부발전만 유아보조비 없어지게 만든 원흉은 누구인가요? 7 신사동파랭이 2013.05.21 5644 0
147 [7월1일 개강] 다중지성의 정원 2016년 3분학기가 7월 1일 개강합니다~! 다중지성의 정원 2016.06.08 5647 0
146 동서발전 통상임금 지급 11 동서인 2015.09.06 5662 0
145 남부회사노조 집행부가 또 사퇴했다고 합니다 11 ㅎㅎㅎ 2013.06.27 5667 0
144 퇴직금정산,임금인상분 다 못받게됐다. 전기사랑1 2011.07.11 5685 0
143 [인권연대] 강우일 주교와 함께하는 100차 수요대화모임 & 14주년 창립기념식 1 인권연대 2013.05.21 5692 0
142 동서발전 노동조합의 움직임을 사진으로 정리해본다. 조합원 2012.12.06 5698 0
141 퇴직연금제 어디로 흘러가는지 (4월30일 안으로 해결이 되어야) 5 근로자 2011.02.18 5716 0
140 발전회사 사명 독립선언 본격화되나 3 작명소 2011.06.29 5725 0
139 우와 대박 기업노조 위원장들 7 대박 2014.01.23 5727 0
138 승격의 원칙 10 승격 2012.01.26 5734 0
137 기업별노조의 발전노조 눈치 보기 2 현장소식 2014.01.24 5761 0
136 교대제 근무를 하면 빨리 죽는다 1 교대근무자 2011.04.26 5839 0
135 한수원은 납품비리? 동서발전, 자메이카 전력公 직접 경영과 연관성은 4 길구 2013.07.05 5848 0
134 김종신 사장 긴급체포.. 6 서부 2013.07.05 5874 0
133 다중지성의 정원이 1월 6일 개강합니다! 다중지성의 정원 2017.12.19 5874 0
132 해고자 복직 소식 4 노동자 2018.09.06 5888 0
131 원세훈 비리에 남부사장 이상호가............ 4 니미 2013.06.05 5911 0
130 인천 콜트악기지회 법률비 마련 봄 등산복 네파(신상품) 판매 금속인천 2014.03.04 5925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