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명서]전력산업 민영화가 시작됐다!!!

발전노조 2022.07.20 조회 수 76 추천 수 0

220720-[성명서]-전력산업-민영화가-시작됐다.jpg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공공운수노조(민주노총).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68pixel, 세로 283pixel

사진 찍은 날짜: 2014년 09월 12일 오후 2:46

프로그램 이름 : Adobe Photoshop CS4 Windows

색 대표 : sRGB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산별마크칼라.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60pixel, 세로 360pixel 발전노조

성명서

주소: 서울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171(가산SK V1센터) 1110전화: 070-4048-5991 전송: 070-7500-8158

날짜: 2022720() 담당: 최용우 교선실장 010-8836-9582 이메일 : cywooocywooo@hanmail.net

 

전력산업 민영화가 시작됐다!!!

 

한전이 624일 이사회에서 '한전기술 보유 지분 매각안'을 통과시켰다. 이것은 현 정부의 전력산업에 대한 민영화의 첫 신호탄으로 보여진다. 지난 518일 한전이 주최한 전력그룹사 사장단 비상대책위원회에서 결의한 고강도 자구노력 중 한전이 보유하고 있던 한전기술 등 자회사의 지분 중 일부 매각을 발표했었다. 그 첫 단계로 한전기술의 지분 14.77% 매각이 이사회에서 통과되었으며, 이것은 자본과 윤석열정부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지는 것으로 윤석열 정부에게 밉보이지 않으려는 한전이 총대를 메고 진행시키는 형국이다.

한전기술은 발전소 설계 특히나 원자력부분 설계능력이 뛰어난 기업이다. 발표 시점 또한 이미 지난달 이사회에서 통과시키고 이제껏 발표를 미루다 최근에야 확인됐다. 지분 또한 민간에 매각할 것임이 분명하다.

 

한전뿐만 아니라 전력그룹사는 긴급 비상대책위원회에서 결의한 ‘6조 원 이상의 고강도 자구노력과 경영 전반의 과감한 혁신 단행을 이행하기 위해 더욱 열을 올리고 있다. 자구노력이라는 기준으로 인력과 정상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경상정비 등에 대한 투자 또한 중단되고, 신규 투자를 미루고 있는 상황으로 자해를 하고 있다. 이 틈을 이용한 민자발전사의 전력산업 진출은 더욱 빨라질 것이며, 결국 이러한 자구책은 한전과 발전공기업이 스스로 발을 묶고 민자발전사와 경쟁하겠다고 선언한 것과 마찬가지이다.

 

정부는 지난달 한전 및 발전공기업 모두를 재무위험기관으로 지정하고 부채관리에 나선다고 발표했다. 얼핏 듣기에 좋은 뜻으로 보이나, 실상은 부채관리를 명분으로 한 공기업에 막대한 세금투입이라는 악마화를 덧씌워 민간자본이 자유롭게 전력산업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만들고자 하는 여론화 작업에 불과하다. 한전의 적자가 무엇 때문인가? 원가 이하로 판매하는 것은 국민 부담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인정할 수 있지만, 한전의 221분기가 기록적 적자인 반면에 민자발전사들의 기록적 이익에 대하여 정부는 침묵하고 있다. 공기업은 때려잡고 민자발전사의 이윤에 대해서는 침묵하는 것은 결국 윤석열 정부는 전력산업 정책의 방향이 시장개방, 민영화를 통한 민간자본의 이윤극대화라는 것을 읽을 수 있다. 자구책을 말하면서 발전공기업 간의 중복 유사 업무 통합에 대해서도 침묵하고 있다. 이해하기가 어려운 부분이며 상식 밖의 일임에는 분명하다.

 

발전노조는 윤석열 정부의 재무위험기관 지정과 한전기술의 지분 매각이 전력산업의 민영화 출발점이라고 보고 있다. 한전의 적자는 때마침 좋은 핑곗거리가 되었다. 이런 식이라면 언젠가 한전은 알짜배기는 다 뺏기고 결국은 쭉정이만 남게 될 것이다. 발전공기업이 지난 십여 년간 서서히 민간영역으로 점유율을 뺏긴 만큼 전력산업의 전 분야에 걸쳐 민간으로 서서히 전력산업 영역을 빼앗길 것이다. 이것은 국가가 필수재의 공급을 방기하는 것으로, 국가가 국민에게 제공해야 할 전기의 안정적인 전력공급 의무를 저버리는 순간 국민의 생명과 안전은 심각한 위험에 빠트리게 될 수 있다. 윤석열 정부는 한전의 재정 적자를 하루빨리 정부의 책임으로 해결하고 한전기술의 지분 매각을 당장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

 

2022720

 

민주노총/공공운수노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산별마크칼라.jpg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360pixel, 세로 360pixel 한국발전산업노동조합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7 고려대 미화노동자들이 발전산업노조 노동자들께 드립니다 노동조합 2006.09.04 3123
36 [성명서] 산자부장관은 전 세계인을 기만하려 하는가? 노동조합 2006.09.20 3127
35 [전력연대] 발전파업 부추기며 전력대란을 몰아오고 있는 발전5사 규탄한다 노동조합 2006.09.02 3157
34 [성명서] 국민여러분, 발전노조는 파업을 원하지 않습니다! 노동조합 2006.09.03 3222
33 공공연맹 한미 FTA 신중론에 대한 공공공대위 성명서 노동조합 2006.05.17 3246
32 [성명서]적폐의 산물 서부발전 사장은 사퇴하라! 발전노조 2017.04.05 3253
31 [보도자료] 발전회사 통합 문제 사회 의제화 성과, 전력대란 고려, 파업중단 업무복귀 결정 노동조합 2006.09.05 3280
30 4월10일 전기뉴스 신문의 이준상 위원장 인터뷰 기사입니다. 노동조합 2006.04.10 3401
29 <성명서> ‘희망퇴직’을 가장한 ‘정리해고’, 강제퇴직 결사 반대한다! 노동조합 2009.02.23 3441
28 공공부문 노동조합 대표자 선언문 노동조합 2010.11.09 3544
27 [성명서]초국적 살인자본의 앞잡이 인베스트코리아 정동수 신임단장의 망언을 강력히 규탄한다! 노동조합 2006.02.10 4056
26 [성명서]지식경제부는 전력산업구조개편 현행유지 방침 걷어치우고 발전회사 통합하라! 노동조합 2010.11.09 4312
25 [성명서]중앙노동위원회 조정도 거부하는 사측의 작태에 분명한 책임을 묻겠다!! 노동조합 2010.11.09 4322
24 [성명서]공공기관에는 ‘돈벌이 성과’만 남기겠다는 성과연봉제 도입 저지하겠다. - (가) 공공운수노조 준비위 노동조합 2010.11.09 4444
23 [취임사]제5대 발전노조 박종옥위원장 취임사 노동조합 2010.11.09 4504
22 제주정전사고 관련 대국민 성명서(2006년 4월 26일 한계레, 경향신문 게재) 노동조합 2006.04.25 4709
21 [기념사]발전노조 창립 9주년 기념사 노동조합 2010.11.09 4902
20 2017년 위원장 새해인사 발전노조 2017.01.03 5045
19 [성명서]동서발전(주) 사장 직무대행 박희성은 당장 사퇴하라 발전노조 2017.06.14 5392
18 [성명서]발전회사 통합의 정당성을 인정하면서도 발전회사 통합이 아닌 미봉책만 펴는 지경부는 각성하라! 노동조합 2010.11.09 6084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