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산은 비정규직 아님

 정부의 핵심국정과제로 추진 중인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좋은 취지에서 시작됐음에도 불구하고 일률적이고 급진적으로 추진돼 속도조절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삼화 의원(바른미래당)은 18일 최근 발전공기업으로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문제점이 드러났다며 속도조절을 주문하고 나섰다.

김 의원에 따르면 한전은 지난 7월 전기검침원에 대해 자회사방식으로 정규직화하기로 합의하고, 발전사들도 설비운전 인력에 대해 정규직 전환 협의체에서 논의를 진행 중이다. 경상정비 분야는 올해 말까지 나올 예정인 가이드라인에 따라 추후 논의할 계획이다.

하지만 최근 정치권의 압박이 거세지면서 정규직 전환 일정이나 범위를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김 의원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은 안정적인 일자리와 보수, 차별 없는 복지와 고용환경 등 목적이나 취지는 좋으나 이를 일률적으로 추진하기에는 문제점이 많다고 꼬집었다.

우선 일부 업종은 민간 영역이 사라지게 되고, 그 과정에서 수천명의 사무직 간접인력들의 대량 실업이 발생할 우려가 크다는 것이다.

전기검침이나 발전정비, 설비운전 회사들은 그동안 기술개발과 인력양성에 투자를 한터여서 한 순간에 직원을 잃게 된다는 우려다. 민간정비회사들은 법무법인에 법률자문을 의뢰해 공정거래 위반 등으로 집단소송을 준비 중에 있다.

또 이 회사에 근무하는 직원들은 중소기업의 정규직 직원인데다 평균연봉도 일반 중소기업보다 높은 편이어서 우리가 흔히 말하는 비정규직 직원과는 개념이 다소 다르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기술직 직원들이 대거 공공기관 정규직 직원으로 전환되면 남아 있는 간부나 사무직인력은 고용의 불안이 커진다는 분석이다.

또 공공기관 입장에서도 늘어나는 인력에 대한 인력운용 부담과 노노갈등이 커질 우려가 크며, 향후 신규 채용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실이 발전5사의 산업재해현황을 분석한 결과 위험의 외주화를 막는 데도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됐다고 밝혔다. 안전사고는 정비회사나 운전설비 회사보다는 건설회사나 2, 3차 하도급업체 직원들에게서 많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김 의원은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이 괜찮은 일자리를 만들려다 오히려 일자리창출에 역행할 수 있다”면서 “정부나 정치권에서 일률적인 잣대로 급하게 밀어붙일 경우 집단소송과 대량실업의 우려가 제기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3개의 댓글

Profile
으이구
2018.10.19

된장바른다? 김*화???

으이구 찌질이들

Profile
고민
2018.10.19

청경, 청소, 경비, 시설도 함게 고민했으면 좋았을텐데...


전부 국가가 직접 고용해라.

Profile
바보
2018.10.19

냅둬유. 본인들이 비정규직이라는데 공기업 노조가 갑질하는 건 맞는 일이냐구!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5410 지옥과 같은 나라라고 나도 모르게 중얼거렸다. 숲나무 2022.07.27 35 0
5409 새 책! 『임상노동 ― 지구적 생명경제 속의 조직 기증자와 피실험대상』 멜린다 쿠퍼·캐서린 월드비 지음, 한광희·박진희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2022.07.28 28 0
5408 미중 전략경쟁과 한국의 선택 숲나무 2022.07.28 25 0
5407 발전민영화에 이어 판매부문 민영화까지 숲나무 2022.07.23 56 0
5406 영국 공공부문노조가 반발하는 이유는 숲나무 2022.07.22 28 0
5405 한전 및 발전민영화 방법 예상 시나리오 싫어싫어 2022.06.29 95 0
5404 새 책! 『아이돌이 된 국가 : 중국의 인터넷문화와 팬덤 민족주의』 류하이룽 편저, 김태연·이현정·홍주연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2022.06.28 24 0
5403 초대! 『들뢰즈 다양체』 출간 기념 서평회 (2022년 7월 2일 토 오후 4시) 도서출판갈무리 2022.06.28 22 0
5402 7.2 전국노동자대회로 나아가자 숲나무 2022.06.26 35 0
5401 대중은 진보하는데 진보정당은 숲나무 2022.07.06 30 0
5400 드디어 발전소 민영화 위한 밑작업... 시작 날씨 2022.06.27 84 0
5399 위장된 민영화가 몰려온다 숲나무 2022.06.24 61 0
5398 불타는 세계, 기후위기와 기후정의 숲나무 2022.06.22 27 0
5397 자기해방의 주체로서 당과 노동조합 숲나무 2022.06.20 23 0
5396 나는 한 개도 겁나지가 않어 숲나무 2022.06.14 39 0
5395 우리나라 에너지정책의 성공을 바라는 청원 이정태 2022.06.15 32 0
5394 교섭창구단일화제도 위헌 촉구 집중투쟁 숲나무 2022.06.15 26 0
5393 복지 서비스 아직도 유효한지요? 1 지나가다 2022.06.12 53 0
5392 지방선거 이후, 민주노총 대정부투쟁 본격화 숲나무 2022.06.12 23 0
5391 화물연대 파업 4일차 숲나무 2022.06.10 24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