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세계적 사회학자 에릭 올린 라이트의 『계급 이해하기』를 소개합니다.

산지니 2017.01.25 조회 수 1721 추천 수 0

"반드시 필요한 급진적 사유의 기준점이다.” -괴란 테르본 (Göran Therborn)

 


“천재적 사상가인 에릭 올린 라이트만이 분석의 명확성과 정밀함을 잃지 않으면서, 그런 긴요한 정치적 상상력을 유지할 수 있다.”

-마이클 뷰러웨이 (Michael Buraway), UC 버클리




세계적 사회학자 에릭 올린 라이트가 제안하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계급에 대한 진지한 토론




오늘날 계급보다 논쟁적인 개념은 없을 것이다. 한편에서는 계급의 죽음을 선언하고, 다른 한편에서는 현대 자본주의에서 계급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계급은 개인의 경제적 조건과 기회를 설명하는 데에만 적절하다는 주장이 존재하는 반면, 계급이 거시적 권력 관계의 구조적 특성이라는 주장 또한 존재한다. 미국의 대표적 좌파 사회학자 에릭 올린 라이트는 『계급 이해하기』에서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계급을 분석하는 통합적 분석 틀과 사회변혁 전략을 제시한다. 계급에 대한 마르크스주의 접근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다양한 비마르크스주의 학자들의 불평등 이론을 긍정적으로 검토해 수용한다. 그리고 계급투쟁과 계급타협이 현대사회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고찰하여 자본가와 노동계급 사이에 상호 이익을 얻을 수 있는 적극적인 계급타협의 조건과 실현 방법을 모색한다. 몇 차례의 계급 관련 논쟁을 거쳐 온 세계적 사회학자 에릭 올린 라이트는 『계급 이해하기』를 통해 다시금 우리에게 계급에 대한 진지한 토론을 제안한다.




적극적인 계급타협과 비자본주의 경제영역의 강화



라이트는 몇 년 전 출간된 『리얼 유토피아』에서 전략적 다원주의를 주장한 바 있다. 이는 ‘사회개혁이냐 아니면 혁명이냐’라는 기로에서 서로 다른 길을 택했던 정치사조들–사민주의 전통, 아나키즘 전통, 혁명적 사회주의/공산주의 전통–의 전략을 절충하는 전략이었다. 이 책에서는 이 중에서도 사민주의 전통에 속한 적극적인 계급타협의 이론적 논리를 게임이론을 통해 면밀히 살핀다. 라이트는 자본과 노동 어느 하나의 일방적인 지배에서가 아니라 두 계급이 상호 협력하여 이익을 창출하는 계급타협이 황금기가 아닌 침체 시기의 자본주의에서는 실제 실현되기 어렵다고 인정한다. 하지만 비자본주의 경제영역을 강화하는 아나키즘 전통의 전략이 계속 뒷받침된다면, 노동계급의 단결력은 증가할 것이고 이는 적극적인 계급타협의 가능성 또한 높일 수 있다. 라이트의 이런 사회변혁 전략은 민주주의를 사회 전 영역에서 실현하고 협동조합식 생산을 이상적인 생산체제로 간주하는 민주사회주의 전통과 매우 관련이 깊다.




▼구매하기


→https://goo.gl/V3jIkw (알라딘)

→https://goo.gl/zXE7OQ (교보문고)

→https://goo.gl/IO6Ug5 (YES24)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670 5조3교대, 프랑스의 5주 유급휴가제 (단체협약과 노동조합 6) 제2발 2012.02.22 1411 0
3669 신입직원에 대한 조합소개를 제대로 해야 (단체협약과 노동조합 7) 제2발 2012.02.24 1038 0
3668 발전회사들의 노동조건과 임원의 과도한 연봉 (전력산업과 노동조합 4) 제2발 2012.02.26 2807 0
3667 단체협약안에 대한 잘못된 분석과 설명 (단체협약과 노동조합 8) 제2발 2012.02.28 1395 0
3666 에너지와 노동조합 1 제2발 2012.03.05 832 0
3665 발전노조를 탈퇴하며 1 이상봉 2012.03.05 2401 0
3664 온실가스, 방사능 그리고 지구환경 (에너지와 노동조합 2) 제2발 2012.03.06 931 0
3663 에너지와 노동조합 3 제2발 2012.03.08 790 0
3662 퇴직금 중간정산은? 3 조합원 2012.03.09 1241 0
3661 찾아들 보셨나? 중앙은 상근간부 명단좀 공개해라~! 그래야 병자들을 찾지! 공개하지 않으면 모두 병자를 숨기는것으로 간주한다. 13 찾아보세요 2012.03.09 1622 0
3660 주30시간 노동과 5조3교대 노동자 2012.03.09 2696 0
3659 [경제와 세상] 노동이 빠진 복지 논의 강신준 2012.03.09 725 0
3658 6대 집행부 출범식 사진을 보며 하나가 되어 2012.03.09 1155 0
3657 5조3교대제로의 근무 형태 변경과 정년연장 제도 도입을 제안하며 10 이상봉 2012.03.11 2861 0
3656 인물과 노동조합 1 (스파르타쿠스) 제2발 2012.03.12 998 0
3655 진보신당과 사회당이 진보좌파정당으로 통합하다 노동자 2012.03.12 815 0
3654 인물과 노동조합 2 (토마스 뮌쩌) 제2발 2012.03.13 842 0
3653 후쿠시마 핵발전소 사고현장에 대량으로 투입되는 노동자들 노동자 2012.03.13 909 0
3652 신현규 위원장 전기신문 인터뷰 내용 4 퍼옴 2012.03.13 1359 0
3651 인물과 노동조합 3 (바뵈프 1) 1 제2발 2012.03.14 1502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