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제15기 청년인권학교 - 인권을 배우자, 그리고 행복해지자!

인권연대 2017.01.12 조회 수 1389 추천 수 0

- 제15기 청년인권학교 - 인권을 배우자, 그리고 행복해지자!



‘헬조선’이랍니다. 세상에 그렇게 말할 까닭은 너무도 많습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분야가


퇴행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뉴스를 보며 분노하는 일이 많지만, 그저 한사람의 개인일 뿐인 우리는,


그런 나쁜 일이 나만은 비켜갔으면 하고 바랄 뿐입니다.


개인에게 불행이 닥치지 않기 위해 ‘각자도생’ 하는 길 말고는 없을까요?


너무 어렵거나 너무 힘든 삶말고, 다른 삶은 없을까요?


함께 문제를 살펴보고, 답을 찾기 위한 노력이 진행됩니다.


인권연대에서 마련한 ‘제15기 청년 인권학교’가 문제와 답을 함께 보여줄 것입니다.


함께 공부하면서 우리의 행복한 삶을 모색해봅시다.


청년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일시 : 2017년 2월 7일(화) ~ 9일(목)


장소 : 경찰청인권보호센터 7층 교육장(옛 남영동 대공분실)

신청방법 :

http://hrights.or.kr/ (인권연대 홈페이지)

정원 : 40명

참가비 : 6만원(국민 491001-01-183310(예금주: 인권연대))

문의 : 인권연대 사무국(02-749-9004)



제15기 청년인권학교 프로그램



첫째날(7일, 화)

09:30~10:00 오리엔테이션

10:00~12:00 인권에서 흔히 제기되는 질문들. 조효제 성공회대 교수

12:00~13:30 점심식사

13:30~16:00 철학이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고병권 철학자

16:00~17:00 남영동 대공분실 답사 교육



둘째날(8일, 수)

10:00~12:00 생각의 좌표 - 홍세화/ 장발장은행 대표

12:00~13:30 점심식사

13:30~15:30 우리는 왜 공부할수록 가난해지는가 - 천주희/ 작가

15:30~17:30 한국, 그리고 인간의 존엄과 가치 -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



셋째날(9일, 목)

10:00~12:00 역사는 기억이다 - 오인영/ 고려대 교수

12:00~13:30 점심식사
13:30~16:00 환경 위기와 인권 - 김종철/ 녹색평론 발행인
16:00~17:00 수료식.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
17:00~ 나눔과 뒤풀이



강사소개



조효제

 인권, 평화, NGO 연구로 잘 알려진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및 NGO 대학원 교수이다. ?저서로 <인권의 지평>, <인권 오디세이>, <인권의 문법>, <인권의 풍경>, <인권을 찾아서> 등이 있고, 역서로 <직접행동>,<세계인권사상사>, <전지구적 변환>, <머튼의 평화론> 등이 있다.


고병권

철학자로 활동하며 다양한 분야에 걸쳐 비판적인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 <철학자와 하녀>,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니체, 천 개의 눈 천 개의 길>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 <한 권으로 읽는 니체>, <생각한다는 것>,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홍세화

 1979년 남민전 사건에 연루돼 프랑스로 망명했다가 2002년 귀국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 편집인, 아웃사이더 편집위원, 한겨레 기획위원을 지냈으며 진보신당 대표를 역임했다. 현재는 <소박한 자유인> 발기인 및 장발장은행 은행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 <악역을 맡은 자의 슬픔>, <생각의 좌표> 등이 있다.


천주희

성공회대에서 신문방송학과 사회학을 전공하고, 연세대 문화학과에서 문화학과 여성학을 공부했다. 학생 채무자이자 부채 연구자로 한국의 청년부채 문제를 탐구하기 시작했고, <대학생은 어떻게 채무자가 되는가>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청년부채 · 노동 · 빈곤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노오력의 배신>(공저), <우리는 왜 공부할수록 가난해지난가> 등이 있다.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으로 일하는 인권운동가.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과 천주교 인권위원회 사무국장을 거쳤다. <십중팔구 한국에만 있는!>, <사람답게 산다는 것>을 썼고, <검찰공화국, 대한민국>을 함께 썼으며, <리영희프리즘>과 <기억하라 연대하라 - 강우일 주교에게 듣는다>, <10대와 통하는 청소년 인권학교>를 기획했다. 오마이뉴스 팟캐스트 <이털남>에서 ‘오창익의 인권이야기를 진행했고, <시사통>의 ’인권통‘을 진행했다.


오인영

 19세기 자유주의 연구로 고려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고려대 역사연구소 연구교수로 있다. 고려대 최우수 강의상인 「석탑강의상」을 10회 넘게 수상했으며, 논문으로는 <헤이든 화이트의 역사적 상상력>, <자유주의의 진화과정에서 본 신자유주의>, <어느 역사학자의 자기반성> 등이 있고, <과거의 힘>, <나라를 사랑한다는 것> 등을 번역했다.


김종철

1991년 녹색평론을 창간하여 세계를 황폐화하는 근대의 도시-산업 문명에 대해 숙소하며 우정에 기초한 새로운 공동체를 모색하고 있다. 서울대 영문학과에서 수학한 후 영남대 영문과 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시와 인간의 역사적 상상력>,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 <비판적 상상력을 위하여-녹색평론 서문집>, <땅의 옹호-김종철 평론집> 등이 있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930 농민의 햇살 2012.04.06 2838 0
2929 투표율 70%와 참정권이 박탈된 노동자들 411브리핑 2012.04.10 842 0
2928 노동자를 위해서 나랏돈 좀 써보자 소식통 2012.04.10 763 0
2927 한심한 발전노조 정신차려라 3 회초리 2012.04.10 1549 0
2926 인터뷰 3 이투뉴스 2012.04.10 987 0
2925 발전임직원 [연5.5% 1억3천] 복지자금 발전팀장 2012.04.19 831 0
2924 퇴직금정산은 어떻게 되어가고있습니까?.....이제는 물건너 간것입니까 아니면 아니 진척 중입니까? 7 조합원 2012.07.01 1592 0
2923 새누리당의 의회권력 장악과 진보정당의 해산 LP TBN 2012.04.12 852 0
2922 [펌]진보, 그런게 아직도 남아 있다면, 남은 선수끼리 가자 NLPD 2012.05.13 1519 0
2921 중간정산 조합원 2012.04.12 1243 0
2920 나는 네가 2001년도에 한 일을 할고 있다. 7 방식 2012.04.12 1779 0
2919 [펌] 나의 80년대 NL PD 경험기 2 NLPD 2012.05.13 1778 0
2918 "엄중히 처리"하라던 MB에 청와대는 '초토화' 비리천국 2012.07.14 1230 0
2917 동서본부는 남동을 배워라 배워....... 정말 부럽다 ..조합원을 저렇게 위해주고 챙겨주는데 동서는 앉아서 뭐 하는거냐 5 기린 2012.07.16 3862 0
2916 그리스 노동자 자주관리, 노동자계급정당, 미국 녹색당 대선후보 노동과정치 2012.07.16 2784 0
2915 한국에서 현재 노동자의 정치적 좌표 LP TBN 2012.04.13 926 0
2914 기이하고도 기이한 선거 손호철 2012.04.13 938 0
2913 4.21 쌍차 4차 포위의 날 초대의 글 한기연 2012.04.14 836 0
2912 [필독] 4/21(토) 오후 2시, 모이자! 평택으로! 범국민추모위원회 2012.04.14 826 0
2911 프랑스 노동자의 정치 1 LP TBN 2012.04.16 887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