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제15기 청년인권학교 - 인권을 배우자, 그리고 행복해지자!

인권연대 2017.01.12 조회 수 1389 추천 수 0

- 제15기 청년인권학교 - 인권을 배우자, 그리고 행복해지자!



‘헬조선’이랍니다. 세상에 그렇게 말할 까닭은 너무도 많습니다.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각 분야가


퇴행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뉴스를 보며 분노하는 일이 많지만, 그저 한사람의 개인일 뿐인 우리는,


그런 나쁜 일이 나만은 비켜갔으면 하고 바랄 뿐입니다.


개인에게 불행이 닥치지 않기 위해 ‘각자도생’ 하는 길 말고는 없을까요?


너무 어렵거나 너무 힘든 삶말고, 다른 삶은 없을까요?


함께 문제를 살펴보고, 답을 찾기 위한 노력이 진행됩니다.


인권연대에서 마련한 ‘제15기 청년 인권학교’가 문제와 답을 함께 보여줄 것입니다.


함께 공부하면서 우리의 행복한 삶을 모색해봅시다.


청년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일시 : 2017년 2월 7일(화) ~ 9일(목)


장소 : 경찰청인권보호센터 7층 교육장(옛 남영동 대공분실)

신청방법 :

http://hrights.or.kr/ (인권연대 홈페이지)

정원 : 40명

참가비 : 6만원(국민 491001-01-183310(예금주: 인권연대))

문의 : 인권연대 사무국(02-749-9004)



제15기 청년인권학교 프로그램



첫째날(7일, 화)

09:30~10:00 오리엔테이션

10:00~12:00 인권에서 흔히 제기되는 질문들. 조효제 성공회대 교수

12:00~13:30 점심식사

13:30~16:00 철학이 할 수 있는 것과 없는 것. 고병권 철학자

16:00~17:00 남영동 대공분실 답사 교육



둘째날(8일, 수)

10:00~12:00 생각의 좌표 - 홍세화/ 장발장은행 대표

12:00~13:30 점심식사

13:30~15:30 우리는 왜 공부할수록 가난해지는가 - 천주희/ 작가

15:30~17:30 한국, 그리고 인간의 존엄과 가치 -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



셋째날(9일, 목)

10:00~12:00 역사는 기억이다 - 오인영/ 고려대 교수

12:00~13:30 점심식사
13:30~16:00 환경 위기와 인권 - 김종철/ 녹색평론 발행인
16:00~17:00 수료식.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
17:00~ 나눔과 뒤풀이



강사소개



조효제

 인권, 평화, NGO 연구로 잘 알려진 성공회대 사회과학부 및 NGO 대학원 교수이다. ?저서로 <인권의 지평>, <인권 오디세이>, <인권의 문법>, <인권의 풍경>, <인권을 찾아서> 등이 있고, 역서로 <직접행동>,<세계인권사상사>, <전지구적 변환>, <머튼의 평화론> 등이 있다.


고병권

철학자로 활동하며 다양한 분야에 걸쳐 비판적인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저서로 <철학자와 하녀>, <니체의 위험한 책,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니체, 천 개의 눈 천 개의 길>이 있으며, 옮긴 책으로 <데모크리토스와 에피쿠로스 자연철학의 차이>, <한 권으로 읽는 니체>, <생각한다는 것>,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등이 있다.


홍세화

 1979년 남민전 사건에 연루돼 프랑스로 망명했다가 2002년 귀국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한국판 편집인, 아웃사이더 편집위원, 한겨레 기획위원을 지냈으며 진보신당 대표를 역임했다. 현재는 <소박한 자유인> 발기인 및 장발장은행 은행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 <나는 빠리의 택시운전사>, <쎄느강은 좌우를 나누고 한강은 남북을 가른다>, <악역을 맡은 자의 슬픔>, <생각의 좌표> 등이 있다.


천주희

성공회대에서 신문방송학과 사회학을 전공하고, 연세대 문화학과에서 문화학과 여성학을 공부했다. 학생 채무자이자 부채 연구자로 한국의 청년부채 문제를 탐구하기 시작했고, <대학생은 어떻게 채무자가 되는가>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청년부채 · 노동 · 빈곤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노오력의 배신>(공저), <우리는 왜 공부할수록 가난해지난가> 등이 있다.


오창익

 인권연대 사무국장으로 일하는 인권운동가.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과 천주교 인권위원회 사무국장을 거쳤다. <십중팔구 한국에만 있는!>, <사람답게 산다는 것>을 썼고, <검찰공화국, 대한민국>을 함께 썼으며, <리영희프리즘>과 <기억하라 연대하라 - 강우일 주교에게 듣는다>, <10대와 통하는 청소년 인권학교>를 기획했다. 오마이뉴스 팟캐스트 <이털남>에서 ‘오창익의 인권이야기를 진행했고, <시사통>의 ’인권통‘을 진행했다.


오인영

 19세기 자유주의 연구로 고려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고려대 역사연구소 연구교수로 있다. 고려대 최우수 강의상인 「석탑강의상」을 10회 넘게 수상했으며, 논문으로는 <헤이든 화이트의 역사적 상상력>, <자유주의의 진화과정에서 본 신자유주의>, <어느 역사학자의 자기반성> 등이 있고, <과거의 힘>, <나라를 사랑한다는 것> 등을 번역했다.


김종철

1991년 녹색평론을 창간하여 세계를 황폐화하는 근대의 도시-산업 문명에 대해 숙소하며 우정에 기초한 새로운 공동체를 모색하고 있다. 서울대 영문학과에서 수학한 후 영남대 영문과 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시와 인간의 역사적 상상력>, <시적 인간과 생태적 인간>, <비판적 상상력을 위하여-녹색평론 서문집>, <땅의 옹호-김종철 평론집> 등이 있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730 전력시장 정산 상한가격 도입 논란 일단락 전기신문 2013.01.31 1129 0
2729 자본가 국가와 노동조합 조직률 1 노동자 2013.01.31 10584 0
2728 현장투쟁을 살리고 그것으로 대중투쟁으로 몰아갈 수 있을 때 1 노동자 2013.01.29 1177 0
2727 [토론회] 철도, 전기, 가스 … 닥쳐온 민영화, 무엇이 왜 문제인가? 레프트21 2013.01.29 1643 0
2726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과정에 대한 반박 에너지정의 2013.01.28 1178 0
2725 발전노조 발전민영화 정책 대응 본격화 뉴시스 2013.01.28 1119 0
2724 발전노조도 이마트처럼 부당도농행위 특별감독을 신청하자 조하번 2013.01.28 1075 0
2723 [인권연대] 제10기 청년 인권학교 - 인권을 배우자, 그리고 행복해지자! 인권연대 2013.01.28 1847 0
2722 이집트 혁명 2주년 반정부 시위, 40여명 사망, 혁명 이행에 실패 참세상 2013.01.28 1116 0
2721 화력발전사 선정 모모씨 2013.01.28 1793 0
2720 노동조합 조직률 확대 추이와 한계 노동자 2013.01.28 8183 0
2719 격주간 정치신문 사노위 44호가 업데이트되었습니다.. 사노위 2013.01.27 1163 0
2718 화력발전사업자 선정 재심의, 2월초 공청회 거쳐 최종 확정 전기신문 2013.01.25 1339 0
2717 유럽 군인노조와 시지포스 노동을 극복하기 노동자 2013.01.24 5633 0
2716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시 투명하고 공개적인 논의 필요 전기신문 2013.01.24 1433 0
2715 경찰이 남아공 군인노조 시위를 해산시키고 있다 노동자 2013.01.23 3883 0
2714 슬픈약속(뮤비 동영상 역사알기) 여린마음 2013.01.22 1339 0
2713 전력산업에 대한 경쟁정책(KDI 연구보고서 2012-02)를 읽고002 1 이상봉 2013.01.22 1902 0
2712 전력산업에 대한 경쟁정책(KDI 연구보고서 2012-02)를 읽고001 이상봉 2013.01.22 1631 0
2711 이윤경쟁에 후퇴하는 노동조건 노동자 2013.01.22 1180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