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1/7 개강!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읽기 : 촛불혁명 시대의 정치와 전쟁 (강의 김만수)

2017 1_12.jpg


[철학, 정치학]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읽기 : 촛불혁명 시대의 정치와 전쟁

강사 김만수
개강 2017년 1월 7일부터 매주 토요일 저녁 7:00 (8강, 140,000원)

강좌취지
이 강의는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을 읽고 『전쟁론』의 핵심 내용을 이해하고 정리하는 강의입니다. 200년 전의 클라우제비츠는 프랑스혁명의 시대를 경험하고 군주정에서 공화정으로 변화하는 시대를 살았습니다. 그리고 이 변혁이 그 당시 전쟁의 모습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습니다. 즉 적의 영토 일부를 점령하던 전쟁에서 적의 전투력을 완전히 파괴하는 전쟁으로 바뀌었지요. 이런 시대적인 변화를 생각하면서 이 강의에서는 『전쟁론』에서 전쟁의 본질과 현상, 전쟁과 정치의 관계, 전쟁 천재, 절대 전쟁과 현실 전쟁, 공격과 방어의 변증법, 목적과 수단의 관계, 인민 무장 투쟁, 전쟁에서 마찰의 문제와 그것을 극복하는 정신적인 요소 등을 공부하고 토론합니다.
2016년 12월 현재 한국은 시민혁명인가 계엄령인가 하는 변화의 시대에 있는 듯합니다. 이 강의에서는 『전쟁론』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혁명의 시대를 살았던 클라우제비츠와 같이) ‘시민혁명’의 변혁기에 있는 오늘의 한국을 분석하고 내일의 한국을 전망하는 시각도 얻고 토론하려고 합니다.


1강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는 누구이고, 『전쟁론』은 어떤 책인가?
2강 전쟁의 본질, 전쟁과 정치의 관계(『전쟁론』 1편 1장)
3강 절대 전쟁과 현실 전쟁(『전쟁론』 1편 1장과 8편 3-6장)
4강 전쟁 천재(『전쟁론』 1편 3장)
5강 전쟁의 마찰과 인간의 정신적인 요소(『전쟁론』 1편과 3편)
6강 공격과 방어의 변증법(『전쟁론』 6편과 7편)
7강 목적과 수단의 관계(『전쟁론』 1편과 2편)
8강 인민 무장 투쟁(『전쟁론』 6편)


# 본 강의는 강의 진행 정도, 강사와 수강생의 요구 및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수강생의 요구에 따라 강독, 강의, 토론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김만수), 1832-1834, 『전쟁론』, 갈무리 2016, 전면 개정판
김만수, 2016, 『전쟁론 강의』, 갈무리 (본 강의의 교재)
베아트리체 호이저(윤시원), 2002,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읽기』, 일조각 2016

휴 스트레이천(허남성), 2008, 『전쟁론 이펙트』, 세종서적 2013

강사소개
클라우제비츠 연구소 소장, 『전쟁론』의 번역자, 『전쟁론 강의』의 저자.
홍익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프랑크푸르트 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사), 석사, 박사 학위를 받았다(1987~1999년). 보쿰 대학교 한국학과에서 객원 교수를 지낸(1999~2001년) 후에 귀국하여 고려대, 대전대, 배재대, 홍익대에서 정치경제학, 사회학, 군사학을 강의했다. 저서로 『리영희 — 살아있는 신화』(나남출판, 2003)와 『실업사회』(갈무리, 2004)를 출간했고, 『전쟁론』 관련 논문을 포함하여 2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대전대학교 군사연구원의 연구위원으로서 2003년부터 오로지 『전쟁론』 연구에 전념하여(2003~2016년) 『전쟁론』 번역의 전면 개정판과 그 해설서(『전쟁론 강의』)를 출간했다. 현재 클라우제비츠 연구소 소장으로서 클라우제비츠와 『전쟁론』 연구에 힘쓰고 있다.



다중지성의 정원 http://daziwon.net

서울시 마포구 동교로18길 9-13 [서교동 464-56]

daziwon@gmail.com

T. 02-325-2102

▶ 메일링 신청 >> http://bit.ly/17Vi6Wi

▶ 웹홍보물 거부 >> http://bit.ly/1hHJcd7

▶ 홍보하면 좋을 사이트를 추천해주세요! >> http://bit.ly/SMGCXP

태그 : 전쟁론, 전쟁, 공격, 방어, 시민혁명, 김만수, 카알 폰 클라우제비츠, 철학, 정치, 정치학, 베아트리체 호이저, 휴 스트레이천, 다중지성의 정원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4230 2011년 임금합의(안)에 대한 동해지부 성명서 14 동해지부 2011.12.13 2113 0
4229 전력시장 정산 상한가격 도입 진통, 운영규칙 개정협의회 다시 연기 전기신문 2013.01.18 2113 0
4228 합의서가 왠말이죠? 3 합의서 2017.07.28 2113 0
4227 경제위기와 전경련 그리고 지뢰사태 fortree 2015.09.02 2112 0
4226 왜 탈퇴서 써라 말라 강요질이야... 6 강요질 2011.06.23 2111 0
4225 지배개입 분쇄투쟁 보고 5호 서부본부 2011.08.09 2110 0
4224 동서노조는 무너지고..두번째 무너질 어용노조는? 11 퀴즈 2012.10.25 2110 0
4223 동서발전 정화시설 수십억 헛돈... 1 환경 2014.09.30 2110 0
4222 적당히 합시다-기업별ㄴ조 2 간부노조 2011.12.06 2109 0
4221 새누리당 부정선거 범죄가 구체화 되고 있다. 민주주의 2013.09.12 2108 0
4220 인지부조화가 아니라 인지부족이다. 이상봉 2011.07.09 2107 0
4219 징계로 인한 임금 감소분을 1명 열외 없이 지급하라 3 조하번 2012.09.28 2106 0
4218 서부발전 임단협 투표결과 아시는분? 9 서부의 사나이 2014.12.23 2106 0
4217 표현의 자유 2 표현의자유 2011.03.27 2105 0
4216 서부노조 임단협 찬반투표 결과에 대한 논평 16 조합원 2014.12.09 2105 0
4215 발전회사별 6월 보너스 5 신입 2015.06.24 2105 0
4214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근퇴법) 국회 상정 예정 트레이더철 2011.06.22 2104 0
4213 동서노조 설립 2년여 만에 해체 수순 14 전력 2012.10.22 2104 0
4212 경평 또 꼴지 중부 11 중부 2015.06.17 2102 0
4211 노사정대야합 무엇이 문제인가(5) : '자본천국 노동지옥'의 문이 열린다 fortree 2015.09.20 2101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