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발전회사 등 에너지 공기업 사장 공모 늦어지는 이유는?

사장 공모 2015.11.02 조회 수 2536 추천 수 0
발전회사 등 에너지 공기업 사장 공모 늦어지는 이유는?
관피아법 시행과 자원공기업 구조조정 등으로 적임자 찾기 어려워
산업부는 청와대 눈치 보기 급급...20대 총선 앞두고 공천 탈락자 보은설도

4개월 넘게 공석이 되고 있는 중부발전 등 에너지공기업 사장 공모가 늦춰지면서 그 배경을 놓고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현재 사장 공모를 앞두고 있거나 곧 진행해야 할 에너지공기업은 중부발전, 남부발전, 동서발전 등 발전회사 3개와 한전과 석유공사 등이 있다.
지난달 26일 접수를 마감한 광물자원공사만 유일하게 공모를 진행하고 있는 가운데, 공사 측은 몇 명이 지원했고 누가 지원했느냐에 대해서 철저히 보안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내정설이 돌던 김영민 전 특허청장이 공모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그의 사장 임명에 대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야당에서 자원공기업에 대한 구조조정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어 공기업 개혁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적절히 수행할 수 있느냐에 대한 비판이 벌써부터 제기되고 있다.

◆사장 공모 왜 늦어지나= 지난 7월 이미 한 차례 사장 공모를 실시한 바 있는 중부발전은 최근 재차 공모를 추진하려다 돌연 연기됐다.
이와 관련해서는 유력후보로 거론되던 인사들이 인사검증에서 탈락했다는 설과 함께 정부와 청와대간의 교감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다는 설도 제기되고 있다.
이처럼 에너지공기업 사장 공모가 늦어지고 있는 이유에 대해 여러 가지 분석이 나오고 있지만, 역시 가장 큰 원인은 적임자를 찾기 쉽지 않다는 것이다.
정부로서는 산하기관에 퇴직 관료를 보내고 싶겠지만, 관피아법 시행으로 퇴직한지 3년이 안 된 관료를 기관장으로 앉히는 데 부담이 크다. 반면 공기업 내부출신들의 경우 전문성은 높지만 에너지공기업 구조조정 등 공기업 개혁에 한계가 있다는 점에서 정부로서는 썩 내켜하지 않고 있는 분위기다.
정부 한 고위관계자는 “업무의 전문성만 놓고 보면 기관 내부나 퇴직관료 출신이 가장 적합하지만, 공기업 사장 자리는 대외적인 관계나 관리능력도 중요하다”며 “내부 출신과 퇴직관료뿐만 아니라 교수와 민간기업 CEO, 정치인 등으로 인재풀을 확대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정치인의 경우 올 연말이나 내년 초쯤 20대 총선 공천에서 떨어지거나 출마를 포기하는 인사들에게 대한 보은인사가 이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 관피아 논란을 피하기 위해 퇴직관료들을 다른 부처 산하기관으로 내려 보낼 것이라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실제 지난 9월 산업부 1급 출신 인사가 미래부 산하 기관으로 간 사례가 있다.

◆공공기관장 누가 뛰고 누가 유력한가= 석유공사의 경우 서문규 사장의 임기가 지난 8월로 끝났지만, 아직까지 임원추천위원회조차 구성하지 않고 있다.
그렇다고 연임이 공식화된 것도 아니어서 사실상 3개월 가까이 직무대행체제로 운영하고 있다.
후임자 인선이 늦어지는 것과 관련해 업계에서는 20대 총선 공천 결과에 따라 시기가 결정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현재 후보군으로 거론되는 인물들도 대부분 정권과 가까운 인사로 분류되고 있어 이런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
중부발전의 경우 처음 진행된 사장 공모에서 한전 출신 인사가 유력후보로 거론되다 낙마한 후, 다시 내부 출신 전임 임원이 유력후보로 부상했지만 결국 공모절차 개시를 앞두고 또 다시 연기됐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중부발전은 그동안 산업부 출신 인사들이 CEO를 맡아 왔던 전례가 있어 쉽게 한전이나 내부출신에 자리를 내주고 싶어 하지 않을 것이라는 얘기가 흘러나오고 있다. 결국 내부출신이든 외부든 임명권자인 청와대 쪽의 언질을 받지 않고서는 쉽게 산업부의 동의를 받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된다.
남부발전도 현재 두 달 가까이 경영공백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임원추천위원회는 구성됐지만 공모 절차가 아직 시작되지 않고 있다.
남부발전의 경우 3연속 내부 출신이 CEO를 맡아왔지만, 이번에는 내부 인사가 맡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전임 김태우 사장이 기관 관리 소홀에 대한 책임을 지고 회사를 떠난 만큼 어느 누구도 여기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때문에 한전을 비롯한 전력그룹사 출신이나 민간기업 CEO,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출신 교수 등이 대거 도전할 가능성이 높다.
11월 7일부로 사장 임기가 만료되는 동서발전의 경우 기획재정부 1급 출신이 올 것이라는 소문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관피아 논란을 피하기 위한 꼼수가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산업부 출신과 달리 다른 부처 관료는 전문성 면에서 크게 떨어지는데다 제 식구 챙기기 차원의 돌려막기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12월 16일로 임기가 만료되는 한전의 경우 조환익 현 사장의 연임여부가 관심을 모으고 있는 가운데, 안현호 전 산업부 1차관과 한진현 산업부 2차관 등의 이름이 오르내리고 있다.
한편, 에너지공기업들의 후임 사장 인선 작업의 속도가 늦어지면서 기관마다 속이 타들어가고 있다. 연내 CEO를 임명해야 내년도 경영계획 수립과 직원 인사 등에 차질이 없기 때문이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5651 동서발전 장난 아니네 1 동서조합원 2012.02.10 5021 0
5650 “천인공노할 범죄행위가 공공기관에서 자행된 사실이 만천하에 드러났다” 쌍방울토마토 2011.01.19 9612 0
5649 "민노총 탈퇴유도 동서발전 국정조사하라" 사과 2011.01.19 9270 0
5648 구제역 비상…전력난 비상…국회는 ‘무상’ 달타냥 2011.01.19 9691 0
5647 울산지부 9개월간 1억조합비를 사용하였습니다. 3 0주 2011.01.21 8936 0
5646 김쌍수식 무한경쟁’ 한전 내부서 반기 들었다. 한전 간부노조 추진중 쌍수실어 2011.01.26 9815 0
5645 동서발전 인사발령내용 2 너무했어 2011.01.24 11684 0
5644 중부본부 중앙위 결과를 보고 1 씁쓸 2011.01.24 8960 0
5643 참으로 웃기는 발전노조 누구냐넌 2011.01.24 9190 0
5642 남동발전에 부는 민주화의 바람 10 누굴꼬넌 2011.01.27 19544 0
5641 승격의 원칙 10 승격 2012.01.26 5734 0
5640 [매일노동뉴스] '토마토·사과·배’ 동서발전, 발전노조에 공식사과 노동조합 2011.02.09 9684 0
5639 [한겨레신문] ‘노조와해 갈등’ 동서발전 노사 합의안 타결 노동조합 2011.02.10 8946 0
5638 남부강제이동소송 노동조합패소 16 전기맨 2011.02.15 18467 0
5637 [펌]‘아덴만 여명’ 작전 뒤에 숨겨진 추악한 진실 2 해적 2011.02.12 9947 0
5636 (펌글)한수원으로 전적하는 젊은 인재들을 보며~ 4 퍼온글 2011.02.14 12125 0
5635 TDR = 구조조정(?), 2달간의 교육조 7 대의원 2011.02.14 8627 0
5634 올해 에너지 공공기관 정원 810명 증원 정원증원 2011.02.14 6404 0
5633 슬픈 현실을 보며 !!! 1 2011.02.14 6188 0
5632 손학규 민주당 대표 "등원하겠다" 임시국회 2011.02.14 6174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