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公기관 임금피크제 도입 완료 '3.5%'도 안돼… 316곳 중 11곳만 마무리

회사노조 2015.08.05 조회 수 1554 추천 수 0
【세종=뉴시스】이예슬 기자 = 4대 구조개혁 중 노동·공공분야 핵심과제인 임금피크제를 최종 도입 완료한 기관은 전체 316곳 중 11곳으로 나타났다. 비율로 보면 3.48%에 불과한 셈이다.

이에 따라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월 말까지 조속히 도입해 운영을 준비해 줄 것을 당부했다.

5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공공기관 현안점검회의'에서 최 부총리는 "임금피크제는 4대 구조개혁 중 노동과 공공분야 모두에 해당하는 핵심 과제로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LH) 등 대규모 기관이 선도해 노사 합의를 이끌어 주시길 바란다"고 밝혔다.

정부는 사전 준비 과정을 고려해 8월 말까지 도입을 완료할 것을 최대한 독려하고 내년 1월1일부터 시행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정부가 임금피크제 도입에 힘을 쏟는 이유는 내년부터 정년이 60세로 연장되면서 정년퇴직자가 2년간 발생하지 않으면서 청년고용 상황이 더 어렵게 될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지난 5월 임금피크제 권고안 발표 이후 7월 말까지 공공기관 도입현황을 점검한 결과 전체 316개 공공기관 중 215개 기관이 도입안을 마련 중이고, 101개 기관은 도입을 확정하고 이후 절차를 진행 중이다.

이사회 의결을 거쳐 최종 도입 완료한 기관은 한국남부·남동·서부발전, 한국환경공단, 한국전력거래소, 산업기술시험원, 한국감정원, 한국승강기안전기술원, 한국투자공사,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한국장학재단 등 11개다.

정부는 공공기관 임금피크제 도입으로 향후 2년간 8000여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하고 추가경정예산안에 상생고용지원금 123억원을 반영한 바 있다. 임금피크제를 도입하고 청년을 신규채용한 기관에 1인당 540만원씩 2년씩 지원하는 안이다.

지난달 열린 공공기관운영위원회에서는 임금피크제 도입을 경영평가에 반영하기로 했다. 도입 여부, 임금 지급율 조정 등 제도적합성, 조기 도입기관 가점부여 등 최대 3점 범위 내에서 차등 반영할 계획이다.

다만 이미 정년이 60세 이상으로 합의된 기관의 경우에는 정년이 연장되는것도 아닌데 장년층의 연봉만 줄어드는 것이 아니냐는 논란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국전력의 경우 채용 보장형 고용디딤돌 프로젝트를 도입해 청년 일자리 확대에 나서고 있다. 중소협력업체에 직무교육 기회를 제공해 향후 2년간 협력업체가 600명을 채용하도록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현재 연간 700여명 규모인 채용연계 우대형 인턴도 2년간 연 1100명 규모로 늘리기로 했다.

최 부총리는 "한전이 청년 일자리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다른 기관들도 청년 일자리 기회 제공에 적극 동참해 달라"고 강조했다.

ashley85@newsis.com
                               

1개의 댓글

Profile
발전인
2015.08.05

도입하거나 합의한 대부분 무노조 어용노조 들입니다.

임금피크제에 숨어 있는 무서움을 알아야 합니다.

기업노조들이 한 짓이기는 하지만 발전일원으로 부끄럽습니다.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330 해복투는 위원장실 점거에 들어가라 7 해복투 지지자 2011.12.12 1147 0
3329 안철수 대선후보, 환경에너지 분야 정책 발표 1 전부퇴출 2012.11.02 1147 0
3328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와 에너지 에너지 2015.01.22 1147 0
3327 발전노조 적전분열....! 7 발전사랑 2012.01.06 1148 0
3326 [남동] 2차 가짜정상화 반대합니다! 남동본부 2015.05.11 1148 0
3325 이명박근혜정부에서 발전노조 정의로운 사회를 2017.05.18 1148 0
3324 중앙집행부의 실질적 리더 5 확인 2011.05.06 1149 0
3323 근무형태 변경은 언제쯤.. 5 태안교대 2011.12.18 1149 0
3322 보령화력뿐이 아니고 여수화력에도 산재사고 발생 2명 중상.... 1 여수여수여수 2012.03.31 1149 0
3321 3연속 나이트 끝났다 4 산재예방 2015.05.19 1149 0
3320 (토론회)비정규 불안정 노동자의 정치세력화와 진보정치 혁신 새로운진보정당연구모임(준) 2011.04.21 1150 0
3319 발전노조 성명 감사드립니다. 김모 2017.05.17 1151 0
3318 가스공사노조, 가스직도입 추진했던 신임사장 출근저지투쟁! 발전노조는? 민영화저지 2018.01.21 1151 0
3317 앞으로의 집행부 일처리계획 4 여왕 2011.05.04 1152 0
3316 제정신이 아닌 이종술본부장 14 허허 2011.05.09 1152 0
3315 부산복합화력지부장 후보 홍보물 중앙선관위 2018.02.28 1152 0
3314 공공기관 '사회통념상 합리성' 논란 증폭..법조계 "극히 일부 판례" 로동자 2016.05.30 1154 0
3313 6대 집행부 출범식 사진을 보며 하나가 되어 2012.03.09 1155 0
3312 집행부가 발악을 하구나!!!!!!!! 7 아수라 2012.01.02 1156 0
3311 발전회사의 문제점 ? 2 궁금 2012.02.03 1156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