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휴가 강제 시행 (언론노조 예를 들며)

123 2015.05.22 조회 수 1612 추천 수 0

연차시행제에 대한 노조의 입장

 

 

노조는 작년에 국내 방송사 중에서 유래를 찾아보기 힘든 연차 강행 실시로 인해

방송이 파행으로 갔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올해도 연차를 강행하겠다고 합니다.

노조는 그동안 지속적으로 사측에 연차에 대한 합리적인 대책수립을 요구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사측은 이에 대한 협상 의지를 전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이러한 일련의 사측의 행위는 방송사의 본래 목적을 망각한 행동이라고 볼 수 밖에 없습니다.

TBC의 정체성이 무엇인지 다시 한번 짚어봐야 될 것입니다.

연차 강행실시로 회사 전체 분위기가 많이 침체되어 있습니다.

모든 조합원은 방송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다음 사항을 꼭 지켜 주십시요.

한달간 쉬어서 좋다고 자조하는 일이 없어야 될 것입니다.

 

 

조합원의 향후 대응지침

 

1. 법적으로 11월부터 연차촉진제를 시행할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이 원치 않는 연차는 10월달에 가지 않는다.

2. 타인의 연차로 인한 대근은 하지 않는다.

(법적으로 대근은 명령제가 아니라 조합원의 동의를 구해야만 가능하다.)

3. 타인의 연차로 인해 발생하는 업무에 대해 자기업무시간이외의 시간외 근무는 하 지 않는다.

4. 회사의 연차 강제 사용일에도 방송을 위해서는 출근한다.

5. 연차를 사용하기 전에 대휴를 먼저 사용한다.

 

 

또한 부서장들께도 부탁드립니다.

 

회사 방침으로 인하여 부원들에게 연차 강행지시를 내릴 수 밖에 없음을 이해합니다.

하지만 사원들에게 부당한 지시를 내리거나

더 나아가 이를 빌미로 사원을 협박하는 분이 없기를 부탁드립니다.

 

 

연차 휴가사용촉진제도 법적 요약

 

회사에서 연차를 강행 할 수 있는 경우는 11월 부터 입니다.

11월 이전에 (10월부터) 강행하는 것은 위법입니다.

연차 휴가 계획서는 말 그대로 계획서 이고 이를 꼭 지킬 의무는 없습니다.

실제 휴가 계획서를 제출하거나 연차 강행실시를 했더라도 실제 조합원이 업무관계로

당일 쉬지 못했을 경우 회사는 미사용 연차에 대하여 수당을 지급할 의무가 있습니다.

회사가 강제 지정한 휴일에 조합원이 방송관계로 불가피하게 출근했을 때

담당부서장이 귀가하게 할 경우 회사는 근로수당 지급의무가 없습니다.

그러나 담당 부서장이 귀가 조치 하지 않고 일을 하게 했을 경우에는

회사는 연차 유급휴가 수당을 지급해야 합니다.

 

노조는 향후 방송에 지장을 초래하면서까지 연차를 강제시행 할 경우

공방위등을 통해 이에 대한 책임을 분명히 사측에 묻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위반 사례가 있다면 이를 취합하고 내용을 공개하겠습니다.

 

회사가 방송을 등한시 한다고

우리마저 손을 놓을 수는 없습니다.


 

2010.10.19 

 

 

전국언론노동조합 대구방송지부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789 한국동서발전(주)[사장 이길구] 관리전무 추천에 문제 많다!!! 6 동서조합원 2012.01.18 1799 0
3788 퇴직연금...미국에서 망친 제도조 3 직원 2011.04.29 1798 0
3787 통상임금 소송 노사합의 6 노무라인 2012.08.24 1798 0
3786 tso 2 태안 2014.08.14 1797 0
3785 추미애 때문에 복수노조 돼서 이모양 3 기업노조 2015.07.03 1797 0
3784 노동당, 우리당도 정당해산심판 청구하라 ! 경향 2013.11.06 1795 0
3783 마음으로 본다면 gksmfcjs 2013.11.11 1794 0
3782 블라인드 서부발전 게시판에서는 서부노조 미꾸라지가... 슬라이딩 2015.07.19 1794 0
3781 한나라당, "한국노총 상근자 임금지급 검토" 1 한국노총 2011.03.22 1793 0
3780 화력발전사 선정 모모씨 2013.01.28 1793 0
3779 발전노조에는 선배라고 하는 자들이 정녕 있는가(부제 2011년 한수원 임금 장정 합의안 분석) 9 이상봉 2011.12.12 1793 0
3778 문 대통령 "최저임금 공약 지키지 못해 사과" 1 사과 2018.07.16 1793 0
3777 서부노조 탈퇴만이 정답이다. 6 탈서부 2014.08.11 1792 0
3776 기업별 노조가 뭔디? 4 태산이 2011.06.24 1791 0
3775 국정원,서울경찰청 사이버 분석팀,보훈처,국방부사이버 사령부 총체적 부정선거 민주주의 2013.10.15 1791 0
3774 발전노조 해고자 2017년 임금 2.5% 인상되다. 1 생활비는조합비로 2018.01.20 1791 0
3773 조합원 동지 여러분! 이호동입니다. 25 이호동 2012.01.17 1790 0
3772 복수노조의 교섭창구 창구단일화 복수노조 2011.03.22 1789 0
3771 통상인금소송 조합원 2015.05.15 1789 0
3770 질문있습니다 12 태안 2015.06.07 1789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