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424총파업) 최저임금 1만원은 모든 노동자의 현실과제다

FORTREE 2015.04.03 조회 수 825 추천 수 0

최저임금 1만원은 모든 노동자의 현실과제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임금은 노동자(또는 노동조합)와 자본가가 노동시장에서 자유롭게 결정한다. 그러나 현실에서 임금을 시장원리에 맡길 경우 노동조합으로 조직되지 못한 대다수의 노동자들은 자본가가 정한대로 받아야 한다. 이에 국가가 임금저하 경쟁이 가져올 노동력 훼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최소임금을 자본가에 법으로 강제하는 데 그것이 최저임금이다.

 

국가가 강제한 최저임금이라고 해서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은 월 260만원, 가구당 인구가 2.5인이니 1인당 국민소득 기준 가구당 월수입은 650만원이다. 그런데 2015년 최저임금은 월 117만원으로 1인당 국민소득의 45%밖에 되지 않는다. 이렇게 최저임금을 받고 있는 노동자는 약 500만명에 달한다. 나머지 300만 비정규노동자들도 최저임금보다 약간 높을 뿐이다. 가계부채 1,020조원, OECD국가 중 자살률 1위는 당연한 귀결이다.

 

민주노총이 요구하고 있는 최저임금 1만원은 결코 높은 임금이 아니다. 월 200만원으로 가구당 국민소득에 1/3수준에 불과하다. 그러니까 대부분의 국민들은 자기가 일한 만큼 임금을 받지 못할 뿐만 아니라 최저임금의 비정규직노동자는 기초생활도 꾸려나가기 어려운 상태다. 비정규직노동자의 노동조합 가입률도 2% 밖에 되지 않아 이들은 임금협상도 못하고 최저임금을 받고 있다. 이렇게 비정규노동자들의 저임금으로 벌어들인 기업의 사내유보금이 자그마치 1,100조원이다.

 

1,800만 노동자 중 정년이 보장되는 직접고용 정규직노동자를 빼면 비정규직노동자는 약 1,000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하청, 용역, 파견 노동자 등 간접고용 노동자 대부분 그리고 무기계약직, 특수고용노동자도 사실상 비정규직이나 다름없다. 그들이 비정규직인 것은 정년이 보장되지 않고 임금이 정규직의 절반이하이기 때문이다. 현재 모든 기업들이 정규직 일자리를 비정규직 일자리로 전환하여 임금 비용을 줄이는 경쟁을 하고 있어 비정규직은 확산일로에 있다.

 

저임금은 우리의 삶을 힘들게 한다. 정부는 자본에 비추어 최저임금을 정할 뿐 국민들의 삶을 향상시킬 의지는 없다. 이런 상황에서 최저임금을 저임금으로 방치할 경우 기업들은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최저임금으로 향한 임금삭감 경쟁에 들어갈 것이다. 저임금을 깨고 누구나 기초생활을 보장받으려면 노동자`서민들의 단결된 행동이 필요한데 그것이 4.24 노동자`서민 살리기 총파업이다. 최저임금 1만원은 노동자라면 누구나 주장하고 관철시켜야 할 현실과제이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710 직권조인 제대로 아시길 바랍니다. 2 ㅎㅎㅎ 2012.10.24 1424 0
3709 나는 동해바다가 누구인지 안다 관리자 2012.10.24 1432 0
3708 본부위원장이 성과연봉제 반대 천막농성을 지방 사업소에서 쇼를 하는군 30 동해바다 2012.10.17 3653 0
3707 오만과 편견 2 해체 2012.01.08 653 0
3706 이종술 개새끼 때문에 발전노조 이모양 이꼴이다. 4 조합원 2012.01.08 1031 0
3705 동서노동조합 게시판에 있는글 3 어용김용진 2012.10.25 2392 0
3704 지금이 어떠한데 노사파트너십이라뇨....? 2 파트너십 2012.04.10 1200 0
3703 게시판 운영의 취지와 맞지 않는 글은 삭제됩니다! 훌륭한집행부 2012.01.08 759 0
3702 박종옥집행부가 사용한 조합비 총액을 공개해주세요 5 조합원 2012.01.08 817 0
3701 발전노조의 새출발을 위해! 6 정리맨 2012.01.08 908 0
3700 통상임금을 묻는다 뉴스 2012.05.26 2142 0
3699 게시판 실명전환 요구!!!!!!!!!!!!!!!!!!!!!!!!!!!!1 2 실명으로 2012.01.08 652 0
3698 2개의 직권조인 합의서 법적 충돌시 유효 4 직권 2012.10.25 1870 0
3697 둘 중에 하나를 선택해야 할 때 3 조합원 2012.01.09 870 0
3696 한수원의 성과주의가 잦은 고장 불렀다 국감 2012.10.25 5044 0
3695 동서노조 설립 2년여 만에 해체 수순 14 전력 2012.10.22 2104 0
3694 동서발전, 노조 요구로 임금협약서 이중작성 2 동아일보 2012.10.22 1683 0
3693 동서발전이 동서노조와 짜고 성과급 챙겨 2 전기신문 2012.10.22 1706 0
3692 동서발전, 노조 요구로 임금협약서 이중작성 연합뉴스 2012.10.22 1623 0
3691 산별 중앙의 멜을 읽고 나서 어이가 없음 2 평조합원 2012.01.09 843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