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KT 임금피크제 합의

소식통 2015.02.25 조회 수 1468 추천 수 0
KT(대표 황창규)는 노사 합의에 따라 정년 연장과 임금피크제를 시행키로 했다고 25일 밝혔다. 지난해 특별명예퇴직 당시 밝힌 내용이다.  
 
임금피크제는 오는 3월1일부터 적용한다. 정년 연장은 2016년 1월1일 자로 도입한다.
 
KT는 작년 12월부터 3개월간 노사 상생협의회에서 고용안정과 회사 경쟁력 강화, 청년 일자리 마련 및 고용 촉진 등을 논의한 결과 임금피크제 도입과 정년연장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정년은 기존 58세에서 60세로 연장된다. 이와 함께 만 56세 때 임금을 정점으로 만 60세까지 4년간 매년 10%씩 점진적으로 감액되는 임금피크제를 시행한다.
 
또 정년에 도달한 직원 중 성과가 우수하고 전문성을 가진 직원을 다시 고용하는 ‘시니어컨설턴트’ 제도도 도입한다. 이를 통해 직원들이 보유한 전문 지식과 경험을 최대한 활용하겠다는 방침이다.

KT 노사는 50세 이상 직원 비율이 높다는 기업 특성을 감안해 직원들의 임금 하락을 최소화하는 점진적 감액 형태의 임금피크제에 합의했으며 60세 이후에도 본인이 희망할 경우, 소정의 선발 절차를 거쳐 KT 및 그룹사에 재취업할 수 있도록 했다.  
 
이대산 KT 경영지원부문장은 “KT는 국내 대기업 중 직원 연령층이 상대적으로 높은 만큼 이번 시행을 통해 상당수 직원이 정년 연장의 혜택을 보게 됐다”며 “국민 기업으로서 앞으로도 청년 일자리 창출은 물론 고령자 고용 안정에 기여하는 역할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KT는 직원 스스로 근무시간을 자율적으로 조정해서 출퇴근할 수 있는 ‘재량 근로시간제’를 도입한다. 고정된 출근 시간을 다양화하고 수행 업무의 특수성을 고려해 법정 근로시간 범위 내에서 시간이 조정이 가능하다.  
 
아울러 그간 노사 간 수시로 운영해오던 노사상생협의회를 공식협의체로 격상시켜 직원들의 근무 환경 및 삶의 질 개선 등을 논의해 노사 상생 문화를 지속적으로 이어갈 계획이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09 2019년초 초미세먼지 급증현상의 국내주원인을 밝혀 미래의 국가재난을 막는 정책(안) [ 자료3 ] 이정태 2022.03.14 121 0
308 탈원전정책에 대한 小考 [ 자료 4 ] 이정태 2022.03.14 65 0
307 [11대 위원장/사무처장 후보 3차메일]새로운 발전노조, 발전노조의 세대교체를 만들어가겠습니다. 11대위원장사무처장후보 2022.03.14 68 0
306 [11대 동서본부장 후보 3차메일 ]노동조합을 지키고 조합원과 함께하는 노동조합을 만들겠습니다. 11대발전노조동서본부장후보 2022.03.14 83 0
305 [당선인사]조합원과의 약속을 꼭 실천해 나가겠습니다. 11대위원장사무처장후보 2022.03.17 110 0
304 초대! 『예술과 객체』 출간 기념 그레이엄 하먼 전 지구 인터넷 화상 강연회 (2022년 4월 17일 일 오후 1시) 도서출판갈무리 2022.03.17 43 0
303 새 책! 『연속성과 교차성 ― 다른 세상을 향한 이단적 경계 넘기』 전지윤 지음 도서출판갈무리 2022.03.29 45 0
302 이번 대의원대회는 대전근처에서 하면 좋겠습니다. 2 대의원 2022.04.14 117 0
301 [이호동]을 기억하시요! 다시 싸워야 할 때가 되는 듯..... 무더운 여름이 될듯 합니다.... 1 발전인 2022.04.29 90 0
300 수도 전기 가스 철도 민영화 신호탄 쏘다..... 민영화 귀신 2022.04.29 82 0
299 "남는 전기" 오류 블랙다운 2022.04.29 69 0
298 새 책! 『질 들뢰즈의 사변적 실재론 : 연속성에 반대한다』 아연 클라인헤이런브링크 지음, 김효진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2022.05.05 20 0
297 석렬이의 시대가 시작되고 1 걱정이 2022.05.10 68 0
296 윤석열 취임사에 대한 단상 숲나무 2022.05.13 40 0
295 한전 1분기 7조7869억 영업손실 ‘역대 최대’…전기료 오르나 숲나무 2022.05.15 29 0
294 윤석열 차기정부의 에너지정책은 ‘기후·안전 악의 축’으로 나아가는 길이다. 숲나무 2022.05.15 37 0
293 한국이 우크라이나에 무기를 지원해선 안 된다. 숲나무 2022.05.17 35 0
292 보수양당말고 진보단일후보로 2 숲나무 2022.05.20 45 0
291 우크라이나 사태의 진실과 거짓 숲나무 2022.05.24 33 0
290 윤석열 정권과 노동조합의 과제 숲나무 2022.05.25 48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