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공공기관에 내부 경쟁체제 도입…성과연봉제

성과연봉제 2015.01.18 조회 수 1128 추천 수 0

공공기관에 내부 경쟁체제 도입…성과따라 보수·지위 달라져


(세종=연합뉴스) 이광빈 김승욱 기자 = 정부가 18일 내놓은 '2단계 공공기관 정상화 추진 방향'은 성과 중심의 운영체계 확립과 사회적 책임 강화, 기능 조정 등으로 요약된다.

특히, 그동안 내부 경쟁 없이 '좋은 게 좋다'는 식의 분위기가 공공기관의 비효율성을 불러온 근본 요소라고 판단, 앞으로 성과를 중심으로 조직을 운영해나가기로 했다.

◇성과제 통한 경쟁유도… 노동시장 구조개혁 선도

정부는 지난 16일 방문규 기재부 2차관 주재로 올해 들어 첫 번째 공공기관운영위원회를 열고 2단계 공공기관 정상화 추진 방향을 확정했다.

정부가 이번에 내놓은 방향은 크게 성과 연계 보수 및 조직운영 확산, 공공기관 기능 조정방안 마련,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 강화, 공공기관 1차 정상화 기틀 조속 정착 등 4가지다.

정부 관계자는 "공공기관이 노동시장 구조개혁을 선도하도록 한 뒤 민간기업으로 확대하겠다는 것이 기본 취지"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우선 공공기관의 인사, 조직 운영을 성과와 연계하기 위해 저성과자 퇴출제, 임금피크제, 전문계약직제 등을 도입하거나 확산하기로 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현재는 공공기관에 경쟁 시스템이 없기 때문에 우수한 인재가 들어와도 5년, 10년 뒤에는 둔해져서 업무능력을 발휘하지 못한다"고 '성과 연계제' 도입 배경을 설명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정부는 '2진 아웃제' 방식으로 업무 저성과자에 대한 퇴출제도를 실시하고, 성과에 따라 보수와 지위상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전문계약직 제도를 도입할 계획이다.

또 현재 간부직을 대상으로 실시되는 성과연봉제를 7년 미만 근속자 또는 최하위 직급을 제외한 모든 직원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중장기 경영사업에 대한 기관장의 책임을 강화하기 위해 중기성과급제도 도입한다. 이 제도가 시행되면 공공기관 기관장이 기존에는 임기 내에 받던 성과급의 일부를 임기 후에 나눠서 받게 된다.

아울러 정부는 공공기관의 기능을 조정해 필요성이 줄어들거나 중복된 기능을 정리하고, 민간영역을 침범하는 등 공공기관의 과잉기능을 줄여나가기로 했다.

특히 올해에는 주택·도로·철도 등 사회간접자본(SOC), 문화·예술, 농림·수산 분야에 해당하는 85개 공공기관의 기능을 우선 점검할 예정이다.

정부는 온·오프라인을 통해 국민과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고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공공기관 기능 조정에 대한 세부 계획을 4월까지 마련, 국가재정전략회의에 보고하기로 했다.

또 경제에 활기를 불어넣고자 공공기관의 투자를 확대할 방침이다. 이런 차원에서 환율 등 여건 변화에 따른 공공기관의 부채감축분 중 3조3천억원을 이른 시일 내에 투자에 활용할 계획이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590 가결 가카 2011.11.22 912 0
3589 그래도 발전노조는 희망이다 민중해방 2012.01.05 669 0
3588 노민추의 일방적인 주장만 존재하는 발전노조, 그러나 실체는..???(특히 중부, 남부본부 필독) 8 조합원 2011.12.31 1208 0
3587 남부 노민추 똘마니들의 양아치짓 7 종수리필독 2012.01.01 948 0
3586 서부에 훈풍 2 서부 2012.11.24 1660 0
3585 부재자투표 꼬옥 하세요 단두대 2012.11.24 1257 0
3584 조합간부와 대의원 모두가 추진한 서부노조 (5) 2 민주노조 2011.11.22 1320 0
3583 하록선장┨빙고 321321321321 2012.01.05 795 0
3582 김선동 의원은 누구? 노동자정치 2011.11.22 1076 0
3581 참말로 참말로 딱1주일전에 임금교섭을 해놓고 간사들끼리 우짜고 저짜고 한다더니 이번주는 그냥 날로 들시라고 그렇나 왜 아무런 소식이 없습니까..이게 뭡니까 임금교섭부터 해결해놓고 다른일들을 순차적으로 풀어나가야지 이것 원 참말로 참말로 2011.11.22 920 0
3580 78호기 부러버.. 2 태안 2011.11.24 1553 0
3579 조합간부를 직업으로 아는 사람들이 세운 중부노조 (6) 1 민주노조 2011.11.22 1371 0
3578 살아가면서.. 6 조합원 2012.12.07 7124 0
3577 한국동서발전 사장 이길구 백서 027 1 동서사과 2011.11.23 1030 0
3576 99%의 남은 선택은? 1 참그루 2011.11.23 1184 0
3575 복지카드 충전은 언제? 2 고라니 2011.11.23 1614 0
3574 현장통제 및 노동조합 게시판 무력화 시도를 위한 인터넷 차단 1 간보기 2011.12.05 1500 0
3573 분위기에 눌려 민주노조를 포기한 남동노조(7) 5 민주노조 2011.11.24 1617 0
3572 발전 기업별 회사노조의 미래 9 조합원 2011.11.24 2119 0
3571 임금협상은 어떻게 되고 있습니까..아직도 감감 무소식 입니까 동서본부와 중앙은 답변을 해 주십시오..아시는 분이 있으면 답변을 해 주십시요..이건 뭐 갑갑해서 지부장한테 물어 볼려고 해도 안쓰러워서 요 5 동서인 2011.11.24 1491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