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안녕하십니까? 대학가 확산

경향 2013.12.13 조회 수 2274 추천 수 0

청년들 꿈틀.."안녕하십니까" 대학가 '울음'으로 이어지다

경향신문 | 김여란·허남설 기자 | 입력 2013.12.13 12:22 | 수정 2013.12.13 17:24
 
 
국가기관의 대통령선거 불법개입, 철도 민영화 논란 등 사회 모순에 무관심한 청년들에게 한 대학생이 던진 '안녕들 하십니까?'라는 '질문'이 대학가로 확산되고 있다. 13일 가톨릭대, 광운대, 상명대, 서울대, 성균관대, 연세대, 용인대, 인천대, 중앙대에는 '안녕들 하십니까' 등의 제목을 단 대자보가 붙거나 온라인 커뮤니티에 게시됐다. 전문가들은 "학생들의 문제 의식이 표면화된 것"이라며 "어떤 식으로 발전할 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고려대 경영학과 주현우씨(27)는 지난 10일 '안녕들 하십니까?'라는 대자보를 고려대 후문 게시판에 붙였다. 그는 "철도 민영화에 반대한다며 수천명이 직위해제되고, 불법 대선개입, 밀양 주민이 음독자살하는 하 수상한 시절에 어찌 모두들 안녕하신지 모르겠다. 안녕들 하십니까?"라고 적었다.(경향신문 13일자 12면 보도)

주씨의 대자보는 대학가의 '울림'으로 이어지고 있다. 성균관대 '정외 09 최종학'이라고 밝힌 학생은 이날 '성균관 학우 여러분은 안녕들 하십니까?'라는 대자보를 교내에 붙였다. 그는 "대학 오기 전부터 광화문 촛불을 보고, 대학 입학한 해 용산에서 철거민이 불에 타 죽는 걸 봤지만 복학 후 1년간 과거의 나를 세탁하고 '안녕 하고자 하는 사람'이 돼 있었다"며 "스펙 쌓고 학점 관리를 잘한다면 성공할 수 있고, 언젠가 취업 또는 고시에 최종합격할 것이라 믿었다. (그러나)오늘부터는 다시 안녕하지 않겠다"고 썼다.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최태준씨 등은 '인천대 학우들은 안녕들 하십니까'라는 대자보에서 "이 글을 쓰는 것이 부끄럽고 이름 내걸고 대자보를 써보는 것도 익숙치 않다. 그러나 그보다 더 부끄러운 것은, 바로 저희가 이제껏 침묵해왔다는 사실"이라고 밝혔다. '10 은수'라고 밝힌 서울대 학생은 온라인 커뮤니티 스누라이프에 글을 올려 "정치와 경제에 무관심해도 세상이 돌아가는 것은 정치인의 일일 뿐이고, 나만 잘되면 된다고 사람들은 말했다"며 "그렇게 공부만 해서 원하던 대학에 왔는데 해가 갈수록 숨이 막힌다. 내가 무관심했던 세상이 내가 발 딛고 살고 있는 곳이었다"고 적었다.

주씨가 쓴 고려대 대자보 옆에는 화답 게시물 20여건이 연달아 붙었다. '안녕들하십니까'라는 이름으로 개설된 페이스북 페이지(facebook.com/cantbeokay)는 하루 사이 7000여명이 '좋아요'를 누르는 등 응원이 이어지고 있다.

주씨의 글에 공감하는 모든 '안녕하지 못한 사람들'은 14일 오후 3시 '서울역 나들이' 행사를 계획하고 있다. 이들은 고려대 정경대 후문에서 모여 서울역까지 걸어가면서 각자의 '안녕하지 못한 이야기'들을 외칠 예정이다.

이택광 경희대 교수는 "20대들이 과거 80년대 대학생들이 제시했던 정치적 아젠다와 일상적 안위의 문제를 결합한 자신들 만의 언어를 창조한 것"이라며 "이런 움직임이 앞으로 학생회 등 정치적 결사체로 발전할 수 있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1개의 댓글

Profile
시나리오
2013.12.16

최초의 고대 안녕하십니까? 대자보는 통진당 활동원으로 밝혀지고 있다

그간 통진당의 활동으로 볼때 학생운동의 순수성을 훼손할 의심이 든다

그리고 이어지는 운동권들의 철도파업 대자보 릴레이는 과거 광우병 파동을 연상케한다

즉 철도파업=광우병 =국민정서 호소, 대자보=sns문자, 이어지는 좌파연예인들의 설레발,

좌파언론들의 편파적 보도, 이어 예상되는 민주당 등 정치권의 파상공격이

철도문제 보다는 정권퇴진의 정치쟁점화할 가능성이 다분하다

겉으로는 대자보를 통한 철도문제를 거론하고 있으나 사실은 대선불복과 정권퇴진이라는

모종의 지령에 의한 정치투쟁으로 봐야한다

현단계는 대자보 확산단계 및 sns 배포단계

좀 있으면 2단계인 좌파연예인들의 설레발이 곧 있을 것이다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5650 지금 분위기에 광고는 금감.... 조합원 2011.05.15 1 0
5649 알뜰 생활 정보 & 렌탈 비교 | 가격 확인 | 생활비 부담 줄이기 N 생활정보 11 시간 전 1 0
5648 새 책! 『사변적 은혜 : 브뤼노 라투르와 객체지향 신학』 애덤 S. 밀러 지음, 안호성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4 일 전 2 0
5647 피해자 조합원 2011.05.08 3 0
5646 [서부발전본사 복직투쟁, 11.30(목)] 31주70일차 숲나무 2023.11.30 3 0
5645 초대! 『동아시아 영화도시를 걷는 여성들』 출간 기념 남승석 저자와의 만남 (2023년 9월 24일 일 오후 2시) 도서출판갈무리 2023.09.14 4 0
5644 초대! 『#가속하라』 출간 기념 로빈 맥케이, 에이미 아일랜드 화상 강연 (2023년 11월 4일 토 저녁 7시) 도서출판갈무리 2023.11.01 4 0
5643 새 책! 『대담 : 1972~1990』 질 들뢰즈 지음, 신지영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2023.12.13 4 0
5642 새 책! 『벤야민-아도르노와 함께 보는 영화 : 국가 폭력의 관점에서』 문병호·남승석 지음 도서출판갈무리 2024.02.06 4 0
5641 새 책! 『기준 없이 : 칸트, 화이트헤드, 들뢰즈, 그리고 미학』 스티븐 샤비로 지음, 이문교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2024.03.08 4 0
5640 초대! 『기준 없이』 출간 기념 스티븐 샤비로 강연 (2024년 4월 20일 토 오전 10시) 도서출판갈무리 2024.04.07 4 0
5639 새 책! 『객체란 무엇인가 : 운동적 과정 객체론』 토머스 네일 지음, 김효진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17 일 전 4 0
5638 초대! 『탈인지』 출간 기념 저자 스티븐 샤비로 화상강연 (2022년 12월 17일 토 오전 11시) 도서출판갈무리 2022.12.10 5 0
5637 사납금 거부투쟁 하던 택시노동자 분신 숲나무 2023.09.26 5 0
5636 초대! 『벤야민-아도르노와 함께 보는 영화』 출간 기념 문병호·남승석 저자 화상 강연 (2024년 3월 10일 일 오후 2시) 도서출판갈무리 2024.03.02 5 0
5635 2020년 총선, 부정선거의 전모와 그 원흉을 밝힌다 김호준 6 일 전 5 0
5634 새 책! 『광장과 젠더 ― 집합감정의 행방과 새로운 공동체의 구상』 소영현 지음 도서출판갈무리 2022.12.10 6 0
5633 새 책! 『자기생성과 인지 : 살아있음의 실현』 움베르또 R.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J. 바렐라 지음, 정현주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2023.11.10 6 0
5632 새 책! 『예술과 공통장 : 창조도시 전략 대 커먼즈로서의 예술』 권범철 지음 도서출판갈무리 2024.02.12 6 0
5631 초대! 『육식, 노예제, 성별위계를 거부한 생태적 저항의 화신, 벤저민 레이』, 『죽음의 왕, 대서양의 해적들』 출간 기념 마커스 레디커, 데이비드 레스터 저자 화상 강연 (2024년 6월 2일 일 오전 10시) 도서출판갈무리 12 일 전 6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