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통상임금에 정기상여금 포함된다

경향 2013.11.13 조회 수 2772 추천 수 0
통상임금에 ‘정기상여금’ 포함된다 박철응 기자 hero@kyunghyang.com  
  • ㆍ임금개선위 방안 마련… 정기적 지급 항목 모두 해당
    ㆍ특별상여금 제외… ‘사용자 입증 책임’ 제2안도 제시

    정부가 임금제도 개선을 위해 구성한 공식 협의기구에서 통상임금 범위를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했다.

    고용노동부가 구성한 임금제도개선위원회에 참여한 한 위원은 “상여금이나 체력단련비 등 명칭과 무관하게 정기적으로 근로자에게 지급되는 돈은 모두 통상임금으로 봐야 한다는 방안을 제1안으로 해서 지난 11일 노동부에 제출했다”고 12일 밝혔다. 통상임금의 범위를 ‘1임금산정기간에 지급되는 돈’으로 국한하고 있는 노동부 예규와 달리 몇 달에 한 번씩 지급하는 정기상여금 등으로 확대 적용하는 법원 판례를 그대로 수용하는 안이다.

    노동계는 법원 판례에 맞게 노동부 예규를 수정하라고 요구하고 있으며, 노동부는 이 위원회의 논의 결과를 뼈대로 해서 올해 안에 정부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혀왔다.

    이 위원은 “1임금산정기간 내로 한정하는 기존 체계를 유지하는 방안의 보완책을 달아서 제2안으로 제출했지만 12명의 위원 중 8~9명이 동의한 1안을 다수안으로 봐도 무방하다”고 말했다. 노동부에 제출한 문서에는 1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논의했다’는 문구가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위원회는 기업 부담을 감안해서 몇년간 시행 유예기간을 두거나 확대된 전체 통상임금의 70%만 우선 적용하고 단계적으로 확대하는 등 보완책을 제시했다. 또 특별상여금처럼 회사 성과에 따라 지급 여부가 결정되는 돈은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했고, 소급 적용분에 대해서는 별도로 명시하지 않고 노사 합의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만 달았다.

    또 다른 위원은 “통상임금을 1임금산정기간 내로 한정하는 두번째 안도 ‘몇 달에 한 번씩 지급하는 돈의 사유를 명확히 하고 근로 대가가 아니라는 점을 사용자가 직접 입증’하도록 단서를 달았으며, 예를 들어 효도수당이나 크리스마스 특별 휴가비 같은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라면 근로 대가가 아니라는 점을 입증하기 어려울 것”이라면서 “어떤 안이 시행되더라도 통상임금 범위는 확대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4889 이것도 사실인가요? 1 나도궁금 2018.07.20 2789 0
4888 군산 & 서인천 : 몰매 안맞는 것도 다행! 피에타 2011.07.14 2786 0
4887 서울교통공사 국정조사 시행 꼼수박살 2018.10.18 2786 0
4886 히복이의 약속 2 요리조리 2011.08.16 2784 0
4885 그리스 노동자 자주관리, 노동자계급정당, 미국 녹색당 대선후보 노동과정치 2012.07.16 2784 0
4884 민영화가 전력부족사태 불러왔다 1 환경일보 2013.06.14 2784 0
4883 임금실무교섭 8 정시차려 2011.04.20 2783 0
4882 그들은 계속 뭉치고! 3 남동이 2017.08.28 2780 0
4881 중부본주 소식지 23호에 대해 5 중부 2013.06.04 2776 0
4880 퇴직연금 단상 3 이상봉 2011.04.07 2773 0
4879 발전회사 본사에서 선전전하라. 4 본사 2012.07.31 2773 0
통상임금에 정기상여금 포함된다 경향 2013.11.13 2772 0
4877 동서발전 사측; 우리는‘떡고물’을 던져줄 의사가 전혀 없다! 12 현투위 2011.06.24 2770 0
4876 전기요금, 산업용 올리고 주택용 누진제 손실 1 경향 2013.10.02 2768 0
4875 정치조직과 지형들 4 숲나무 2013.08.21 2767 0
4874 남부본부장 사퇴 발표 13 사퇴 2011.06.10 2765 0
4873 동서노조,조합간부가, 반대한 발전노조조하번들의 퇴직연금반대 4 본사 2011.06.17 2765 0
4872 왜 이지경까지 왔나? 우공이 2013.03.06 2765 0
4871 신자유주의 효시 대처의 죽음 "모든 문제의 근원, 국가적 재난" 1 참세상 2013.04.09 2764 0
4870 지금 중앙집행부중 제일 유명한 사람은? 4 중부맨 2011.03.31 2763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