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법외노조 전교조, 일주일새 새조합원 171명 가입

참세상 2013.11.01 조회 수 2210 추천 수 0
 

법외노조 전교조, 일주일새 새조합원 171명

등기우편으로, 집회장에 찾아와서 줄 가입

 
한 달 평균 가입 숫자 100여 명인데 7일 사이에 북새통

고용노동부가 전교조에 ‘노조 아님’을 통보하자 교사들이 직접 전교조 지키기에 나섰다.

30일 오후 전교조 대전지부 사무실에는 등기우편 한 통이 도착했다. 전교조 가입 원서와 CMS 동의서 사이 손 글씨로 꼭꼭 눌러 쓴 메모에는 ‘게으름 때문에 이제야 가입하네요. 정부가 바뀌면서 너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교조에 작은 도움이라도 되길 바랍니다. 오늘 하루도 행복 하세요’라고 적혀 있었다.

사진을 찍어 SNS에 올린 송치수 대전지부 수석부지부장은 “어려운 전교조를 응원하는 진심이 느껴져 감동을 받았다”면서 노동부의 ‘노조 아님’ 통보 이후 가입을 문의하는 전화가 부쩍 늘었다고 했다.

1.jpg
  조합원 가입원서와 함께 들어있었던 메모 ©송치수 SNS [출처: 교육희망]

‘정부의 전교조 탄압 규탄 집회는 언제 있느냐’며 대전지부 사무실에 전화를 걸어왔던 한 교사는 이날 오후 대전시교육청 앞에서 진행된 ‘전교조 탄압규탄 대전교육주체결의대회’에 참가한 뒤 전교조 가입원서와 CMS 원천징수 동의서를 제출했다.

“집회 정리를 하느라 인사도 못했다”며 아쉬워하던 안동수 대전지부 사무처장은 “정부의 법외노조 통보 이후 20여 명이 가입 의사를 밝혀주셨고 등기우편 등을 통해 관련 서류를 보내주고 있다”면서 “육아휴직 중이라는 한 선생님은 교권상담 등을 통해 전교조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며 휴직중이지만 조합비도 내겠다고 하셨다”며 고마움을 나타냈다.

전교조 서울지부도 30일 현재 35명이 가입했다. 지난 달 12명에 비해 3배가 늘어난 것. 김한민 서울지부 사무처장은 기자와 통화 직전 “팩스 네 장이 들어왔다”고 자랑스레 말했다. 가입 문의 전화를 하는 교사들 대부분이 ‘이건 아니’라거나 ‘전교조에 힘을 싣고 싶다’는 이야기를 해준다고.

2.jpg
  지난 19일 열린 전교조 탄압규탄 전국교사결의대회에 참가한 교사들 ©안옥수 [출처: 교육희망]

서울 ㄱ초 분회는 이날 하루 3명의 교사가 한꺼번에 지부로 가입 원서를 보내왔다. 이 학교 양향자 분회장은 “세 분 중에 이전에 조합 활동을 하시던 선생님께는 조직이 어려우니 함께 해달라고 말씀드렸지만 나머지 두 분 선생님께는 권하지 못했는데 고맙다”면서 “조합원이 늘었으니 당장 분회 모임 날짜도 잡고 함께 파이팅 해야겠다”고 웃었다.

“살아있는 전교조를 느낀다”는 김한민 사무처장은 “이런 저런 이유들로 비판 받을 때도 많았지만 전교조 24년 역사가 헛되지 않았다는 점, 선생님들이 전교조를 꼭 필요한 조직으로 여기고 있다는 생각에 뿌듯하다”고 밝혔다.

전교조에 따르면 노동부가 전교조에 ‘노조 아님’을 통보한 지난 24일 이후 단 7일 만에(30일 현재) 전국 171명의 교사가 '나는 전교조 조합원이다'를 외칠 수 있게 되었다.

이병록 전교조 정보통신국장은 “월 평균 100여 명의 조합원이 가입하는 상황을 고려하면 일주일 만에 171명이 가입하는 것은 보기 드문 일”이라면서 “노동부의 법외노조 통보 이후 조합 가입과 CMS 동의서 제출에 대한 문의가 부쩍 늘었다. 우리 규정에 휴직 조합원의 경우 ‘조합비를 납부하지 아니할 수 있다’고 되어 있지만 휴직중이라도 조합비를 내고 싶다는 분들도 많다”고 밝혔다. (기사제휴=교육희망)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549 도입은 직권조인 인정 시행은 찬반투표로 보류시킬수 있다? 3 구조조정 2012.11.11 1054 0
2548 직무 성과연봉제 고도화 추진 계획[안] 2 조합원 2012.11.10 1496 0
2547 앞뒤가 안맞는 일련의 움직임에 대해서... 조합원 2012.11.10 1241 0
2546 게시판 작업하지 마라 .쪽팔린다. 4 진실위원회 2012.11.10 1405 0
2545 성과연봉제 합의서를 지키려는 작업이 시작되었다 1 조합원 2012.11.10 1214 0
2544 동서 기업별 노조 설립 2년여 만에 해체 수순 7 전력 2012.11.10 1525 0
2543 1천5백명의 생존권이 김용진이 싸인 한장에 사라졌단 말이다. 2 능지처참 2012.11.10 1227 0
2542 연봉제의 현실 조합원 2012.11.10 1264 0
2541 이제 발전기 잘 돌려야 할텐데...... 정말걱정 2012.11.09 1191 0
2540 민주노총·한국노총 현직 간부들, 문재인 지지 선언 똑바로 2012.11.09 1142 0
2539 김용진 일병 구하기 할까요? 안할까요? 1 용진구하기 2012.11.09 1252 0
2538 울산에서 벌어지는 일 5 야음동 2012.11.09 1468 0
2537 진현주 지부장님 폐기합의서 빨리 가져오세요 조합원 다 떠납니다. 3 울산 2012.11.09 1673 0
2536 이게 회사인가? 도대체 뭘 하자는건가? 지킴이 2012.11.09 1204 0
2535 회사가 너무 조용하네 동해맨 2012.11.09 1135 0
2534 철없이 탈퇴한 동서인을 보고! 8 도루코 2012.11.09 1353 0
2533 직권조인 무효??? 1 조합원 2012.11.08 1228 0
2532 울산 교대근무 상황종료 10 울산교대 2012.11.08 1944 0
2531 동서기업별 상황 끝 5 상황맨 2012.11.08 1443 0
2530 ★★ 동서기업별 통상임금소송 합의서 또 있는거 아닌가? ★★ 1 양아치 2012.11.08 1266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