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절전하라고?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이 문제다.

오마이뉴스 2013.06.15 조회 수 2939 추천 수 0

'절전'하라고?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이 문제다

[현장]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의 수립원칙과 방향 토론회
13.06.11 09:54l최종 업데이트 13.06.11 09:54l
기사 관련 사진
10일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의 수립원칙과 방향’ 토론회
ⓒ 권승문

관련사진보기


올해 말 수립되는 제2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은 다양한 에너지 분야를 포괄하며 향후 20년 이상의 중장기 정책방향과 비전을 제시하는 것으로 국민들의 삶과 직결되는 중요한 사안이다.

최근 잇따라 벌어진 핵발전소 부품 위조성적서 파문을 시작으로 매년 여름 반복되는 전력수급 불안 등 여러 에너지 관련 이슈들은 국민들을 불안에 떨게 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 대한 국민들의 관심도 그 어느 때보다 높다. 하지만 정작 계획을 수립하고 결정하는 과정에 국민들의 의견은 반영되지 않는 실정이다.

10일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의 수립원칙과 방향' 토론회가 기후정의연대와 국회입법조사처, 아이들에게 핵없는 세상을 위한 국회의원 연구모임 주최로 국회도서관 4층 입법조사처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이진우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부소장은 "사회적 의견수렴을 위해서는 에너지 공급 위주의 단일안이 아니라 규범적 방식의 에너지 체계 전환에 관한 시나리오를 포함해 복수의 시나리오가 제시되어 국민들이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주영준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정책 과장은 "정부는 지난 5월 민관 워킹그룹을 구성해 추진과제를 논의 중"이며 "올해 3분기 관계부처 협의를 거쳐 정부안을 마련하고 4분기에 정부 심의를 통해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을 확정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진우 부소장은 이에 대해 "사회적 협의를 전제로 수립에 관한 절차 논의가 끝날 때까지, 현재 정부가 전문가 중심으로 진행하고 있는 국가에너지기본계획 워킹 그룹의 논의를 보류하거나, 불가능할 경우 회의 내용을 전면적으로 국민들에게 공개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제남 진보정의당 국회의원은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의 위상과 수립절차 개선을 위해 현행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및 '에너지법'을 개정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의 원칙과 방향은?

주영준 과장은 "환경성과 경제성, 원활한 전력공급, 국민안전 등 핵심가치들을 균형 있게 반영하는 것이 2차 에너지기본계획의 관건"이라고 말했다.

이진우 부소장은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이 원자력 계획이나 전력 계획으로 편향되지 않도록 에너지 믹스에 있어 체계적인 분야별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며 "특히 공급 중심의 계획 수립에서 수요관리 중심의 계획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사고와 비리로 얼룩진 핵발전으로 인해 전력난이 심각해진 상황에서 에너지의 비효율적 이용과 시설 용량의 과도한 확보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전력공급 위주의 정책이 아닌 에너지원간 적정성을 확보해 핵발전과 전력 의존도를 낮추고 이를 위한 수요관리 정책에 집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용신 환경정의 사무처장은 "정부가 수요관리 정책의 의지와 능력이 있는지 의문"이라며 "전기요금 현실화 등 수요관리 정책 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경제성장률이 낮아지는 상황에서 에너지 소비량이 증가하는 이유는 바로 잘못된 제도와 정책 때문"이라고 말했다.

김동성 한국발전산업노동조합 정책실장은 "우리나라의 전력을 포함한 에너지소비 증가는 산업부분에 인한 것으로 산업구조가 에너지 다소비 구조로 가고 있다"며 "산업용 전기요금이 원가 이하로 판매되어 전력소비를 부추기고 있다"고 강조했다.

산업용 에너지 가격 현실화로 산업구조를 에너지 절약형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

에너지 수요 전망이 과다하게 예측돼 전력 공급 중심의 계획 의존도를 심화시키는 요인이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진우 부소장은 "인구 증가율 정체, 에너지 다소비 제조업 감소와 서비스업 증가를 가정하고 있음에도 에너지 수요가 큰 폭으로 늘어나는 수요 전망 예측치를 신뢰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유재국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도 "2030년 이후 에너지수요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불확실성에 대비한 논의를 지금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에너지 수요 감소를 고려하지 않은 정책은 전력 유휴설비 증대를 불러와 전력산업에 오히려 부담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909 발전노조 9.11 공투본 파업 참여 결의! 2 태풍권 2015.07.25 1316 0
2908 서부본부 투쟁보고 8호 서부본부 2011.07.27 1317 0
2907 하지만, 발전노조는 중부 제3노조 설립을 결정한 바 없다 9 숲나무 2016.10.27 1317 0
2906 분열의 씨앗을 거둬들여라 4 청라 2011.05.23 1319 0
2905 밑에 1556번에 댓글 쓴 님 오늘 임금정산분 입금된다고 하시더니 아직 입금이 안됐네요.. 정확히 아시는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3 동서인 2011.12.26 1319 0
2904 서부본부 연금단상^^^^ 15 서부단상 2011.05.07 1320 0
2903 남동본부 기업별 재추진을 예측하다 5 2011.10.10 1320 0
2902 조합간부와 대의원 모두가 추진한 서부노조 (5) 2 민주노조 2011.11.22 1320 0
2901 해복투 윤유식 상근비의 불편한 진실 6 조합원 2012.01.30 1320 0
2900 (현장활동가전국토론회) 투쟁하는 노동자'민중의 독자 대선후보 낸다. 1 노동자 2012.09.10 1320 0
2899 임금청구소송은 언제 하나요? 무식이 2012.06.16 1321 0
2898 “1학년이 불량식품 먹으며 초딩 2학년 문제집 풀면, 전과2범?” 학부모 2012.12.17 1322 0
2897 ■■ 동서발전산업노동자의 참 선배란 ■■ 2 동서조합원 2012.02.07 1322 0
2896 한전에서 떨어지는 낙하산을 반대한다! 사장들도 각성하라! 5 발전본사 2012.02.07 1322 0
2895 발전노조 파괴공작에 개입한 정황 11 용기백배 2012.03.15 1322 0
2894 통상임금소송 관련 아시는분 계시는지 3 궁금 2014.12.03 1322 0
2893 중부는 1안 부결, 짝퉁 2안 일방적 변경 1 무늬만 2016.04.29 1322 0
2892 중앙위원회좀 합시다. 발전노조 현직 지부장이 해고 당했다. 1 제발 2011.11.15 1324 0
2891 언제적 얘기를 이제서야 하는건지....성과금은 언제 나옵니까 이런 얘기나 13 울산2발 2014.11.18 1324 0
2890 서울지하철노조 민노총 탈퇴…제3노총 추진 6 국민노총 2011.04.30 1325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