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겨레]정부가 자초한 전력대란으로 돈방석에 앉은 재벌, 대기업

노동조합 2013.06.07 조회 수 1170 추천 수 0

[왜냐면] 정부가 자초한 전력대란으로 돈방석에 앉은 재벌·대기업 / 김동성

 

등록 : 2013.06.05 19:15 수정 : 2013.06.05 19:15

 
올해는 뜨거운 여름이 석달이나 지속된다고 한다. 그러나 2011년 9·15 정전사태 이후로도 전력공급 예비력은 500만㎾ 이하로 떨어지는 전력수급 비상이 수시로 발령되고 있다. 설상가상으로 지난 5·29 불량부품 사용 문제로 원자력 3기가 운전을 멈췄다.
 

최근 수년간 지속되고 있는 만성적인 전력수급 비상사태는 정부가 강행하고 있는 전력산업 민영화가 초래한 하나의 단면이다. 정부의 전력산업 구조개편으로 발전산업에 영리만을 목적으로 하는 민자발전이 대거 진출하였다. 정부는 민자발전을 포함하여 전력수급계획을 세웠으나 사기업에 대한 통제는 제한적이거나 거의 할 수 없는바, 필요한 발전설비를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건설하지 못하였다. 민자 발전회사들이 임의로 취소하거나 포기한 발전설비만 해도 전체 발전설비의 10%인 8000㎿에 이른다. 이로 인해 적정 설비예비율 15%가 무너지고 예비율이 6% 안팎으로 떨어져 만성적인 전력난 시대가 도래하게 되었다.

 
그러나 설비예비율의 저하와 만성적인 전력난은 민자 발전회사들에 삼중의 막대한 이익을 안겨주는 호기가 되었다. 첫째, 지난해 포스코, 엘지, 에스케이 등 5대 민자 발전회사가 전기를 생산하여 거둔 순이익은 9400억원에 달해, 규모면에서 민자 발전회사보다 5배가 큰 발전공기업(화력) 총이익 7000억원보다 많았다. 둘째, 산업용 전기요금은 생산원가의 90%에도 미치지 않아 2011년 삼성, 현대, 엘지 등 재벌·대기업이 원가 이하의 전기 사용으로 챙긴 간접이윤도 약 1조원에 달했다. 셋째, 전력공급 예비력이 450만㎾ 미만으로 떨어져 정부가 전력수요관리 명목으로 재벌·대기업들에 지급한 보조금만 해도 작년 한 해 4000억원이었다. 이것이 그동안 정부가 추진해온 전력산업 민영화의 본질인 것이다.

 
전기 사용량을 보더라도 산업용 전기는 전체 사용량의 55%를 차지하는 데 비해 국민들이 쓰는 가정용 전기는 14%밖에 되지 않는다. 우리나라의 산업용 전기 요금은 오이시디(OECD) 국가 평균의 절반이다. 이렇듯 전기 소비량의 급증과 30조원에 달하는 한전의 막대한 누적적자는 원가 이하의 산업용 전기에서 기인한다. 전력대란이라는 국가적 불행을 초래한 정부와 이 상황에서 특별이윤까지 누리는 재벌·대기업들이 요즘 신문·방송에서 펼치는 절전 호들갑은 전력대란의 근본원인을 가리고 그 책임을 국민 개개인에게 떠넘기는 가림막이다. 산업용 전기 요금을 원가 이상으로 현실화하고 국민의 부담만 가중시키는 전력산업 민영화를 즉각 중단해야 한다.

 
전력산업의 민영화와 자유화를 15년 이상 먼저 추진했던 영국과 미국은 만성적인 전력난과 대규모 정전사태 그리고 요금폭등을 일으켜 국가가 공적자금을 투입하여 국유화하거나 규제를 강화하였다. 아직도 일부 단체와 관변 학자들은 현재의 전력난국을 전력산업 민영화의 미진함에 책임을 돌리는 어이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 우리는 탈핵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모범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독일이나, 에너지를 국민의 기본권으로 인식하고 전력산업 전반을 국가가 소유하되 정부·회사·노동조합·지역주민·환경단체가 사회적으로 운영하는 프랑스전력공사(EDF)에서 전력산업 구조개편의 현재적 대안을 찾아나가야 한다.

 
김동성 한국발전산업노조 정책실장
 

기사 바로보기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7 [참세상]공기업노조 파업 ‘선진화’가 불러온 필연/ 공공부문 노동자 왜 공동파업인가(1) 노동조합 2009.11.11 1165
306 [0620 mbn뉴스] 공기업 경영실적, 한전 1위·석탄공사 꼴찌 교육선전실 2008.06.27 1166
305 [문화일보]발전노조 지명파업 돌입 노동조합 2009.11.03 1169
[한겨레]정부가 자초한 전력대란으로 돈방석에 앉은 재벌, 대기업 노동조합 2013.06.07 1170
303 [참세상]노조파괴가 노사관계 ‘선진화’라는 MB /공공부문 노동자 왜 공동파업인가(2) 노동조합 2009.11.11 1172
302 [경향신문] 동서발전, 민주노총 탈퇴 반대 노조원에 ‘인사 불이익’ 노동조합 2011.01.17 1175
301 [한겨레신문]발전 5개사 노조 6일부터 전면 파업 1 노동조합 2009.11.03 1178
300 [매일노동뉴스] 전력그룹사 사장단회의 뭘 논의하길래 노동조합 2011.09.06 1184
299 [0712 연합뉴스]<공기업 개혁 가속..FTA 연내비준 추진> 교육선전실 2008.07.14 1187
298 [매일노동뉴스] 이길구 동서발전 사장, 뇌물청탁·허위보고 논란 노동조합 2011.08.03 1191
297 [참세상]“발전 사측 파업 참가 조합원 강제 출장” 노동조합 2009.11.11 1194
296 [매일노동뉴스]'반쪽짜리' 시간선택제 일자리, 노동시장 뒤흔든다 노동조합 2013.11.12 1195
295 [0624 기사모음]공기업 민영화로 남는 인원 2~5년 동안 고용 보장 추진 교육선전실 2008.07.01 1200
294 [0612 기사모음]'후순위' 밀린 공기업민영화 어떻게 되나 교육선전실 2008.06.27 1201
293 [매일노동뉴스]섬발전소, 한전이 직접운영하고 노동자 직접고용 해야 발전노조 2018.02.08 1204
292 [한국경제] `경영평가 1위` 사장만 탈락...이상한 공기업 인사 노동조합 2011.09.07 1207
291 [연합뉴스] 노동부, 동서발전 특별조사 착수 노동조합 2011.01.17 1210
290 [연합뉴스] "민노총 탈퇴유도 동서발전 국정조사하라" 노동조합 2011.01.19 1211
289 [한겨레] 민주노총, 동서발전 노조파괴 공작 국정조사 촉구 노동조합 2011.01.20 1211
288 [0625 기사모음]"선개혁 후 민영화" 바람직···원칙없는 개혁 위험 교육선전실 2008.07.01 1214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