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전력선 끊어야돼, 말아야 돼

돌아이 2013.05.03 조회 수 3204 추천 수 0
'전력선' 끊어야 돼, 말아야 돼
"전력선 살아 있어야 남북관계 개선 실타래로 활용"
정수장 가동 등 인도주의 문제로 확대 가능성 '부담'

남북관계 경색으로 4월 29일 개성공단이 폐쇄된 가운데, 전력공급 중단 문제가 초미의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전력공급 문제는 단순히 공단 폐쇄 조치의 일환이 아니라 향후 남북관계 개선의 실타래가 될 수 있어 정부도 쉽사리 결정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개성공단에서 사용하는 전력은 우리측 154kV 문산변전소에서 개성공단에 있는 평화변전소를 통해 공급된다. 하지만 송전선로를 통한 전력공급은 중단된 상태다. 현재는 배전선로 2개 라인을 통해 전력공급이 이뤄지고 있다. 전력당국은 정부의 결정이 있을 경우 배전선로를 통한 전력공급도 중단할 계획이다. 한전 개성지사에는 평시에 13명의 직원이 근무하고 있었다. 4월 29일까지 4명의 직원이 마지막 까지 남아있다 전원이 철수한 상태다.
정부가 개성공단 전력공급 중단을 쉽게 결정하지 못하는 것은 전력공급선이 남북을 연결하는 유일한 끈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력당국 관계자는 “남북관계가 아무리 안 좋아도 전력선이 연결돼 있으면 우리측 기술자들의 선로순시나 설비점검을 북측이 허용 할 것” 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전력공급이 살아 있어야 남북관계가 풀려 개성공단이 정상화 될 때 신속한 공단가동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전력공급을 유지해야만 하는 이면에는 물 공급 문제가 걸려 있다. 개성공단 안에는 정수장이 있다. 이 정수장에서 공단은 물론 개성시 일부까지 물을 공급하고 있다. 전력공급이 중단될 경우 정수장 가동이 중단되기 때문에 개성시는 단수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정부도 이 문제를 고민하고 있다. 남북 간 정치관계를 넘어 인도주의적인 문제로 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전력당국도 내심 전력공급이 끊기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특히 전력당국은 올 초에 개성공단의 전력사용량이 증가할 것에 대비해 설비용량 확대를 계획했었다.
10만kW 용량의 평화변전소는 현재 부하가 7만kW 이상인 것으로 알려 졌으며, 한전은 통상 설비용량 대비 부하가 70% 이상 되면 증설계획을 수립한다.
한편 한전은 지난 2007년 6월 21일 10만kW 용량의 평화변전소를 준공했다. 당시 한전은 평화변전소를 통한 전력공급을 위해 우리측 문산변전소 부터 개성공단 내 평화변전소까지 16km(남측 10.5km, 북측 5.5km) 구간의 송전선로를 건설했다. 한전은 송전선로 준공에 앞서 2개 라인의 배전선로를 건설하고 이를 통해 전력을 공급 했었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5109 제 발등 찍기하는 님들에게 1 허당 2011.05.14 1372 0
5108 지금 분위기에 광고는 금감.... 조합원 2011.05.15 1 0
5107 산별위원장 보세요 조합 2011.05.15 1258 0
5106 음모론적 소설을 써보자4(부제 : 대화1) 12 이상봉 2011.05.15 1566 0
5105 이상봉 너는 뭐하는 놈이냐? 7 안상봉 2011.05.15 1671 0
5104 박종옥 위원장은 답변해야 한다. 3 총의 2011.05.16 1164 0
5103 정말 실제적 현장의 분위기를 즉시하지못하고 오직 투쟁질만을 일삼는 자들에게 분노하는 조합원 11 발전소 2011.05.16 1585 0
5102 미래 언젠가... 3 노동자 2011.05.16 1078 0
5101 퇴직연금제 도입여부 찬반투표 결과 효력유지 가처분 신청 결과 5 노동법원 2011.05.16 1418 0
5100 선배의 말을 귀담아 들어보자 1 2011.05.16 966 0
5099 세상에 3 현장 2011.05.16 1192 0
5098 퇴직연금전환하고 중간정산 받고 싶은데.. 2 연금 2011.05.16 1212 0
5097 차교성 너무했어, 좀 참지 얼마나 남았다고.... 4 너무했어 2011.05.16 1672 0
5096 서차교의 위대한 탄생! 6 벌써누가 2011.05.16 1558 0
5095 [정세워크숍]후쿠시마 핵발전 사고! 한국의 '핵르네상스'는 괜찮은가 사회진보연대인천지부 2011.05.16 791 0
5094 발전노조, 퇴직연금제 부결 ‘후유증’ 3 전기신문 2011.05.16 1219 0
5093 발전노조에는 동서발전이 없어졌다..언제부터인가 동서가 거론조차 동서인 2011.05.16 1030 0
5092 서부본부의 특별노사협의회(퇴직연금제 도입)에 대한 문제점 2 남동패 2011.05.16 1361 0
5091 전기신문 내용입니다 6 노조원 2011.05.16 1306 0
5090 음모론적 소설을 써보자5(부제 : 대화2) 2 이상봉 2011.05.16 1065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