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윤상직 신임 지경부 장관의 에너지 정책

전기신문 2013.03.13 조회 수 1229 추천 수 0
윤상직 지경부 장관 취임식, "국민여론 최대한 수렴 공감하는 정책 수립"
중소·중견기업 중심의 '창조경제 실현' 주문
에너지구조 선진화·해외자원개발 내실화 약속

윤상직 제 57대 지식경제부 장관이 인사 청문회를 마치고 11일 취임했다.
윤 장관은 취임 일성에서 “대통령의 뜻에 부응해 산업·통상·자원 등 실물경제를 담당하는 지식경제부의 소임을 더욱더 잘 수행해야 겠다는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지난 5년간 지식경제부가 해왔던 일들을 엄정하게 돌아보고, 성과는 계승하고 부족한 점은 보완해 새로운 역할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어 “지속적인 성장 동력 확충과 좋은 일자리 창출, 부문간 균형있는 성장이 선 순환되는 '창조경제의 패러다임'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취임사를 통해 원칙이 바로선 시장경제질서 확립과 중소 ․ 중견기업 중심의 ‘창조경제 실현’ 을 주문했다. 또 에너지분야 정책 수립과정에서 국민들의 여론을 최대한 수렴해 반영 하겠다고 밝혔다.
향후 윤 장관이 역점을 두고 추진할 산업정책 분야를 보면 중소 ․ 중견기업에 대한 지원과 함께 이들 기업이 시장에서 공정한 경쟁을 할 수 있는 풍토조성, 세계적인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반 마련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윤 장관은 취임사에서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불공정∙불합리∙불균형' 관행을 근절해 공정한 경쟁 기반을 조성하고, 동반성장의 문화와 관행이 기업 현장에 정착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또 "중소기업이 글로벌 전문기업으로 발전할 수 있는 '희망의 성장사다리' 구축을 위한 노력과 함께 맞춤형 중소기업 정책을 수립하겠다" 고 밝혔다.
윤 장관은 또 IT∙SW∙지식과 제조의 융합을 통해 주력 제조업을 고부가가치화하고, '추격자'가 아닌 '선도자'형 신산업 창출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노동집약적 전통산업에 대해선 혁신주도형 산업으로 육성하고, 소재∙부품 및 뿌리산업 분야의 경쟁력 확보도 역점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에너지분야는 일방적인 밀어붙이기식 정책 보다는 국민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후 국민들이 공감하는 정책 수립을 약속했다.
새롭게 출범할 산업통상자원부에 놓인 현안도 에너지문제가 주를 이룰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국민들의 여론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당장 사용후핵연료 공론화 문제를 비롯해 설계수명이 다해 계속운전을 기다리는 월성1호기, 국가에너지기본계획에 반영될 원자력발전소 확충 계획 등 찬반의견이 분명한 현안이 많아 윤 장관 어떻게 이를 슬기롭게 해결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윤 장관은 “향후 에너지 정책은 국민의 소통과 참여를 기반으로 추진할 계획이며, 특히 원전은 안전을 최우선에 두고 운영하는 등 에너지 시설의 안전관리를 강화해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중장기 에너지수급 전략을 새롭게 수립하고, 원활한 에너지수급을 보장하기 위해 시장구조의 선진화와 해외 자원개발의 내실화”를 약속했다.
윤 장관이 밝힌 새로운 에너지수급전략은 공급위주의 정책에서 벗어나 수요관리 등 효율적인 에너지분배 정책을 통해 국가적 낭비를 줄이고, 화력․ 원자력 중심의 전력공급 정책에 대한 변화로 읽을 수 있다. 에너지구조 선진화도 향후 중요 이슈가 될 전망이다.
에너지구조 선진화의 중심에는 전력과 가스 산업이 놓여 있기 때문이다
.
윤 장관의 핵심정책에는 또 지역균형발전을 통한 지역 일자리 창출 및 지역경제 활력 제고도 주요 추진정책으로 포함됐다. 통상정책에 대해서는 국익과 경제적 실리에 충실한 통상전략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윤 장관은 직원들에게 “ '손톱 밑 가시'처럼 작지만 절실한 것들을 찾아 장∙차관부터 실무자에 이르기까지 이를 해결하는데 적극 나설 것” 을 주문했으며 “특히 소상공인 및 중소기업 등 경제적 약자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관심과 감성적 소통”을 요구했다.
유희덕 기자 (yuhd@electimes.com)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130 사퇴합니다 11 동서 2011.06.04 1475 0
3129 변혁모임, 노동자 대통령 공동선거투쟁 본부 제안 1 노동자정당 2012.10.15 1475 0
3128 회사 마다 짤리신분들 현황? 발전 2015.01.11 1475 0
3127 외주화로 현장 길들이고 컨설팅 회사 돈 따먹기 2 울퉁불퉁 2012.10.30 1474 0
3126 현장순회단 투쟁일정(2차)-부당징계철회, 민주노조`학자금 사수! 2 순회단 2011.12.02 1474 0
3125 보령화력뿐이 아니고 여수화력에도 산재사고 발생... 밀알 2012.04.01 1474 0
3124 조직의 규율을 바로 세워야 한다. 3 보령 2011.07.03 1473 0
3123 남부 탈퇴와 관련하여 글 하나 더 보탠다. 20 이상봉 2011.06.03 1473 0
3122 박** 중앙위원이 발의한 안건의 본질 5 바태한 2012.01.03 1473 0
3121 서부 부결 4 똘스 2011.06.07 1472 0
3120 '최후의 보루' 남동, 발전노조와 결별하나 발전기자 2011.10.10 1472 0
3119 근무형태 안바꿔주는 사측에 진절머리! 10 열린뚜껑 2015.07.08 1472 0
3118 중간정산 희망하신분들 기쁜 소식 5 조합원 2011.05.04 1471 0
3117 사상이 불온하면 취업할 수 없다 (동서발전회사 취업규칙) 1 제2발 2012.02.01 1471 0
3116 통상임금지급에 대해서 정확히 6 직원 2015.07.07 1471 0
3115 인철아~ 약속 좀 지켜라 길에서 2015.07.16 1471 0
3114 조환익 한전사장 조기퇴임, 후임 송인회 한전 2017.12.07 1471 0
3113 잡무 좀 없애라.. 2 못해먹겟다 2017.12.22 1471 0
3112 이미 다들 알고 있자나요 1 서부인 2011.07.06 1469 0
3111 남부본사 단신부임자 부산시내 오피스텔 100세대 계약 9 남부본사 2012.04.16 1469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