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매일노동뉴스]발전노동자 건강 '빨간불'.... 노조탄압, 민영화 스트레스

노동조합 2013.02.21 조회 수 681 추천 수 0

발전노동자 건강 '빨간불' … 노조탄압·민영화 스트레스?

 

노조·노동안전보건연구소 실태조사 결과 10명 중 3명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고위험군'

 
김은성  |  kes04@labortoday.co.kr

 

발전회사 노동자들이 심각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발전노조(위원장 신현규)와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가 최근 5개 발전사 노동자 1천3명(조합원 522명·비조합원 481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다.

조사 결과 발전노동자들의 26%가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고위험군에 속했다. 일반 직장인 고위험군(19%)과 비교해 7%포인트 높다. 병원진료가 필요한 상태로 악화될 경우 극단적인 선택을 할 가능성도 있다.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건강군에 속하는 발전노동자들은 3%에 불과했다. 일반 직장인 건강군(19%)보다 16%포인트나 낮다. 안정된 직장으로 꼽히는 공기업에서도 노동자들의 건강권이 심각하게 위협받고 있는 셈이다.

◇수면장애·우울증 심각=응답자 중 60%는 우울증상이 의심됐다. 강제전보·해고·징계 경험이 있고 조합원일수록 그 정도가 심했다.

노조간부나 대의원 활동을 한 183명 중 절반은 징계와 강제이동 경험이 있었다. 수면장애도 심상치 않았다. 응답자의 36%가 수면장애 증상 중 한 가지 이상을 갖고 있었다.

가장 어려움을 호소한 증상은 잠에서 쉽게 깨는 것이었다. 이어 수면을 유지하기 어렵다는 답변과 잠들기 어렵다는 대답이 뒤를 이었다. 수면장애는 근속기간이 오래된 직원들에게서 자주 나타났다. 발전노동자들은 4조3교대로 일한다. 교대근무를 오래할수록 수면장애에 시달리는 셈이다.

이들은 노동강도 강화원인으로 ‘전력산업 분할과 민영화 정책’을 꼽았다. 특히 전력산업 분할 이후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다는 직원이 응답자의 5%나 됐다. 8명은 실제로 자살을 시도한 경험이 있었다. 이와 함께 △경영평가 등 일상적인 구조조정 △부당 강제 전출 등 노조탄압 △외주화 및 보직통합 △실적 중심 평가와 경쟁을 강화하는 경쟁보직제도 원인으로 지목됐다.

응답자의 80%는 “일하는 부서의 인력이 충분하지 않다”고 답했다.

◇"스트레스 개선책 마련 시급"=이번 조사를 담당한 공유정옥 노동안전보건연구소 연구원은 “지난 10년간 진행된 전력민영화 정책에 따른 폐해가 전력노동자의 몸에 고스란히 흔적을 남긴 결과”라며 “다른 공공기관 사업장과 비교해 정신적 육체적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더 큰 사고로 이어지기 전에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노조 관계자는 “업무스트레스에다 사측의 노조탄압 등의 외적인 스트레스도 적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이달 말 최종 보고서가 나오면 교대근무를 개선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발전노동자를 대상으로 건강권 조사를 실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응답자 중 98%는 정규직이고 평균나이는 40세다. 평균 근속기간은 14년이다.



기사 바로보기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07 [매노]긴급좌담회-에너지공기업 기능조정, 민영화인가 아닌가 발전노조 2016.07.05 655
406 [경향신문]ILO, 한국 공공부문 노동권 침해 조사 권고 노동조합 2012.11.20 676
[매일노동뉴스]발전노동자 건강 '빨간불'.... 노조탄압, 민영화 스트레스 노동조합 2013.02.21 681
404 [경향신문]"발전노조 해체, 청와대가 감독하고 총리실`경찰이 집행" 노동조합 2012.11.06 682
403 [매일노동뉴스]ILO, 이명박 정부에 "공공부문 노조탄압 중단"권고 노동조합 2012.11.20 683
402 [매일노동뉴스]"공공기관 선진화 정책, 국정조사 실시해야" 노동조합 2012.11.06 685
401 [한겨레]'발전회사가 민주노조 파괴' 사실로 노동조합 2012.11.06 695
400 [매일노동뉴스]공기업 최초 통상임금 소송 발전노조 승소 발전노조 2019.05.20 696
399 [참세상]공공기관 경영평가, 민영화와 자산매각 강제 논란 노동조합 2014.04.02 698
398 [아시아경제]새 전력계획 환경단체 반발하는 이유는? "발전 민영화" 노동조합 2013.02.21 704
397 [매일노동뉴스]"노동부는발전노조 탄압 관련자 처벌해야"노동 인권단체 기자회견 노동조합 2012.11.06 707
396 [매노]국회 노동계, 공공기관 임금피크제 강제 도입 공동대응 발전노조 2015.07.14 707
395 [한겨레]'발전노조 죽이기'에 청와대 지경부 경찰 개입 노동조합 2012.11.06 718
394 [연합뉴스]"공공노조 탄압 우려"...ILO, 한국정부에 권고 노동조합 2012.11.20 724
393 [연합뉴스]동서발전, 노조 요구로 임금협약서 이중작성 노동조합 2012.11.06 744
392 [한겨레]공공기관 임금피크제 몸살...직원 불러 "찬성하라" 발전노조 2015.08.25 750
391 [매노]부산지하철노조 임금피크제 퇴출제 도입 막았다 발전노조 2015.07.16 751
390 [한겨레]"공공부문 노조탄압 중단" 정부 권고 노동조합 2012.11.20 762
389 [매일노동뉴스]산자위 국감 도마 오른 발전 5사 부당노동행위 발전노조 2017.10.17 768
388 [민중의 소리]6차 전력수급계획은 전력산업 민영화 계획, 국민 80% 반대 노동조합 2013.02.21 781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