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발전노조 발전민영화 정책 대응 본격화

뉴시스 2013.01.28 조회 수 1119 추천 수 0

[시선집중] '전력산업 구조개편' 종착역은?…'민영화'득실 꼼꼼히 따져봐야



 
KDI, 판매경쟁체제 도입 필요…시민단체, 과(過) 많은 정책 국민부터 납득시켜야

【서울=뉴시스】이상택 기자 =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전력산업의 경쟁체제 도입 문제가 불거지면서 전력산업 구조 개편에 대한 논란이 거세질 전망이다. 특히 박근혜 당선인이 전기요금 인상 현실화를 여러 차례 제기한 바 있어 이것이 전력산업 민영화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예상을 낳고 있다.

20일 전력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 9일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발표한 '전력산업 위기의 원인과 향후 정책방향' 보고서가 전력산업 민영화에 다시 불을 지피고 있다. 또한 정부가 지난 14일부터 평균 4%의 전기요금을 인상하자 사실상 전기요금 현실화 및 민영화의 신호탄이 아니냐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전력산업 민영화는 지난 1999년 전력산업구조개편 기본계획에 담겨 추진됐다. 한전의 독점 체제에 경쟁을 도입하고 전력공급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발전부문을 6개 회사로 쪼갠 뒤 분할된 자회사를 단계적으로 민영화해 효율성과 발전원가 절감 등 두 마리 토끼를 다 잡겠다는 취지였다.

이번에 발표된 KDI의 보고서 내용도 전력산업구조개편과 핵심은 유사하다.

보고서는 전력산업의 불안정한 경쟁체제는 비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하지 않다며 차라리 공기업 독점체제로 돌아가거나 실질적인 경쟁체제를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신 외국의 사례를 볼 때 공기업 독점체제로의 회귀보다 경쟁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현 제체를 유지할 경우에는 도매전력시장 경쟁, 요금규제 개선, 전력사 지배구조 개선을 촉구했다.

또한 정부가 지난해 말 TF팀을 구성해 전력구조 개편과 관련한 검토작업을 마쳤다는 얘기가 돌면서 민영화 논의 재개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전력산업 민영화가 다시 공론화될 움직임을 보이면서 우려의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한전은 비효율적인 발전비용 등을 이유로 전면적인 검토에는 수긍하면서도 대부분의 연료를 수입에 의존하는 국내 특성상 판매경쟁은 도매전력가격을 급상승시키고 안정적인 전력공급도 취약하게 할 수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한전은 이에 따라 전기요금 현실화, 전압별 요금제 시행, 적정 공급예비율 확보, 기저 발전설비 확충 등 전제 조건이 선행된 후 중장기적 과제로 경쟁체제 도입을 검토해도 늦지 않다는 주장이다.

한국발전산업노동조합의 반발은 더 심하다. 노조는 18일 오전 과천종합청사 앞에서 "정부의 전력산업 민영화는 민자발전회사에게 돈 만 벌어주는 정책"이라며 피켓 시위를 감행하는 등 반발 수위를 높일 움직임이다.

노조는 한전이 6개 발전자회사로 부터 전기를 원자력은 1㎾h당 43원, 다른 발전은 91.5원에 싸게 구입하지만 민자발전사로부터는 142.5~203.6원에 구입하고 있다며 민자발전사업이 대기업에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인식되고 있다고 비판했다.

또한 민자발전사로부터 전기를 비싸게 구입하면서도 전체 전기사용량의 55%를 차지하는 기업에는 산업용이란 이름으로 1㎾h 당 81.2원에 싸게 팔아 한전의 적자는 눈덩이처럼 불어났다고 통박했다.

 
노조 관계자는 "민자발전사엔 고수익, 재벌기업에는 낮은 전기요금으로 간접 이윤까지 챙겨주는 것이 전력산업 민영화의 실체"라며 민영화 논의의 즉각적은 중단을 촉구했다.

시민단체들도 민영화에는 우려 섞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서민생활과 직결되는 전기요금 인상 우려. 도매가격에 경쟁을 붙이면 산업용은 물론 주택용 소비자가격에도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는 것.

특히 그동안 추진했던 전력구조 개편이 전력수급 안정에 기여도 못하고 흐지부지된 상황에서 이를 다시 추진하려면 국민들이 납득할 만한 설명이 있어야 한다는 주문이다.

아울러 전력산업이 망(網)산업이란 특성상 경쟁체제를 구축해도 통신사업과 같이 종국에는 독점이나 과점체제로 재편될 수 밖에 없다며 판매경쟁이 경제효율성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니라고 꼬집었다.

차정환 에너지시민연대 국장은 "전력산업의 민영화를 공론화하는 자체를 문제삼을 수는 없지만 민영화를 기정사실화하고 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며 섣부른 논의를 경계했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5649 비 온뒤 햇볕이 비칠때 1 이노센트 2011.07.18 18235 2
5648 검찰, 한국남부발전 압수수색…"운영비리 수사" 2 남부 2015.03.24 2954 1
5647 가스나 수도는 미래유보, 전기는 현행유보...발전매각은 예정된 수순 5 반대fta 2011.11.18 24550 1
5646 “헉, 충격이네” ‘대기업 전력사냥꾼’ 영상 화제 1 고발 2013.01.12 10740 1
5645 OECD 최하위 노동후진국의 악질적인 탄압 2 조약돌 2011.07.26 12856 1
5644 새 책! 『사변적 은혜 : 브뤼노 라투르와 객체지향 신학』 애덤 S. 밀러 지음, 안호성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10 일 전 2 0
5643 2020년 총선, 부정선거의 전모와 그 원흉을 밝힌다 김호준 13 일 전 7 0
5642 초대! 『육식, 노예제, 성별위계를 거부한 생태적 저항의 화신, 벤저민 레이』, 『죽음의 왕, 대서양의 해적들』 출간 기념 마커스 레디커, 데이비드 레스터 저자 화상 강연 (2024년 6월 2일 일 오전 10시) 도서출판갈무리 18 일 전 6 0
5641 새 책! 『객체란 무엇인가 : 운동적 과정 객체론』 토머스 네일 지음, 김효진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24 일 전 4 0
5640 마음 속 우편함 정현 2024.04.24 15 0
5639 한국발전산업노동조합 조합원분들을 위한 의료복지(약 650개 진료 프로그램) 서메메 2024.04.12 29 0
5638 초대! 『기준 없이』 출간 기념 스티븐 샤비로 강연 (2024년 4월 20일 토 오전 10시) 도서출판갈무리 2024.04.07 4 0
5637 초대! 『예술과 공통장』 출간 기념 권범철 저자와의 만남 (2024년 3월 31일 일 오후 2시) 도서출판갈무리 2024.03.19 10 0
5636 제12대 발전노조 위원장, 사무처장 후보 제용순, 박정규 선전물 발전노조 2024.03.13 59 0
5635 제12대 발전노조 남부본부장 후보 하연경 메일 발전노조 2024.03.13 32 0
5634 제12대 발전노조 중부본부장 후보 국재민 메일 발전노조 2024.03.13 35 0
5633 제12대 발전노조 서부본부장 후보 이재백 포스터 및 메일 발전노조 2024.03.13 29 0
5632 제12대 발전노조 동서본부장 후보 최재순 1, 2, 3차 메일 발전노조 2024.03.13 22 0
5631 새 책! 『기준 없이 : 칸트, 화이트헤드, 들뢰즈, 그리고 미학』 스티븐 샤비로 지음, 이문교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2024.03.08 4 0
5630 초대! 『벤야민-아도르노와 함께 보는 영화』 출간 기념 문병호·남승석 저자 화상 강연 (2024년 3월 10일 일 오후 2시) 도서출판갈무리 2024.03.02 5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