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노동조합 조직률 확대 추이와 한계

노동자 2013.01.28 조회 수 8183 추천 수 0

6 [노동조합 조직률]

 

 

노조조직률및조합원수추이.jpg

 

노동부가 발행하는 2011. 11월 노동조합 조직현황에 의하면 2010년 노동조합 조직률은 9.8%이고 약 160만 명에 불과하다. 이것도 1987년 노동자 대투쟁으로 폭발적인 노동조합 조직률을 기록한 1989년 19.8%에 비하면 조직률은 반 토막 났다. 부문별 조직률을 보면 공무원 58%, 교원이 18.9%로 민간부문 8.6%보다 훨씬 높다.

 

1987년 노동조합 설립이 폭발적으로 일어난 이후에 인구증가에 비해 노동조합 설립은 정체상태에서 자연감소로 약 20년 사이에 30만 명 정도의 조합원이 줄어들었다. 87년 노동자 대투쟁은 사회민주화 요구와 동시에 노동자들의 권리 요구가 겹쳐서 노동조합을 조직하는데 유리한 국면이었으나 97년 노동자 투쟁은 정치 민주화가 이미 진전된 상태에서 자본가들의 공격에 노동자들이 대응적 성격의 방어투쟁으로 노동조합 조직률을 확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더구나 지난 15년간 자본의 신자유주의 노동유연화로 비정규직 노동자가 양산되었고, 이 들이 취업하는 곳도 대개는 기존 회사에서 외주화로 만들어진 하청·용역업체들이다. 이들 업체들은 노동조합 설립 자체를 막을 뿐만 아니라 업체의 수명도 짧아 노동조합을 조직하고 유지하기가 더욱 어렵다. 노동조합에서 산별노조로 전환하여 이들을 흡수하려고 조직 형식은 갖추었지만 비정규직 노동자 조직에는 좀처럼 성공하지 못하고 있다. 현재의 산별노조 대부분은 과거 정규직노동자들의 기업별 노동조합 연합체 이상의 의미를 갖지 못하고 있다. 또한 산별노조를 건설할 때도 노동조합 지도부는 정치투쟁은 정당이, 경제투쟁은 노동조합이라는 이분법적 구도아래 산별노조를 구상하고 추진하여 자본가 정권이 깔아놓은 궤도대로 나아갔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949 위원장 어찌하오리까 3 남동인 2011.05.28 1402 0
2948 [위기의 KAIST] ‘서남표式 개혁’ 안팎서 역풍… 조합원 2011.04.11 1400 0
2947 부산 성베네딕도 수녀회 일부 수녀님들과 부천시 일부 공무원들의 과거 토지착복 비리의혹 소명을 요청드립니다 윤종호35 2015.09.01 1400 0
2946 남동발전 의견수렴, 거부하라!! 2 남동본부 2016.04.14 1400 0
2945 울산화력 조합간부..? 1 조합원 2014.10.16 1399 0
2944 한국동서발전 사장 이길구 백서 004 동서토마토 2011.09.28 1398 0
2943 교대 근무 버스 7 태안발전본부 2015.07.08 1398 0
2942 서부의 퇴직연금 찬반투표 2 써부 2011.05.31 1397 0
2941 이제는 정리할 때가 되었다 (3가지 요구) 4 조합원 2011.11.16 1397 0
2940 한 일 없는 발전노조 5 한일없는 2012.08.14 1397 0
2939 에너지 산업 활성화 조합원 2014.07.19 1397 0
2938 화력 대기업 대거 진출 흑기사 2013.01.21 1396 0
2937 단체협약안에 대한 잘못된 분석과 설명 (단체협약과 노동조합 8) 제2발 2012.02.28 1395 0
2936 요즘 남동 욕본다 2 영흥 2015.05.09 1395 0
2935 6.30 민주노조 사수를 위한 출근 선전 민주노조 2011.07.03 1394 0
2934 동서노조 자유게시판에 뜬글(인센티브 관련 발전노조 성명서) 안돼~~ 2016.04.26 1393 0
2933 (국정감사) 민간대기업 발전사업 진출 확대 우려 제기 조합원 2012.10.12 1392 0
2932 지금은 실명으로 당분간운영하는것이 좋은것 같다...냉무 물폭탄 2011.07.08 1391 0
2931 배임죄 성립되며, 구속처리 하라 1 배임죄 2011.10.14 1391 0
2930 직권조인 관련 동서노조 6개 지부장 사퇴 성명서 2 조합원 2012.10.31 1391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