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인수위 한전 판매 민영화한다.

인수네 2013.01.14 조회 수 1551 추천 수 0

일본 전기요금 18% 내렸는데, 한국만 계속…

한전 판매독점으로 시장왜곡… 한국 등 OECD 3개국만 경쟁도입 안돼

     
 
전력 판매시장의 경쟁체제 전환. 상시화 되는 전력난,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한국전력 (34,200원 상승550 1.6%) 적자 등 위기의 한국 전력산업 정상화를 위해 박근혜 대통령직 인수위원회가 내린 처방이다.

인수위 핵심 관계자는 "그동안 공급경쟁에 집중했으나 정작 수요시장을 한전이 독점하고 있어서 발전회사 간 가격경쟁이 전혀 이뤄지지 않고 있는 상태"라며 "수요시장을 활성화해 수요-공급 균형이라는 시장매커니즘을 통한 전력시장거래제도 정상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전했다.

◇전력시장 왜곡 '주범'은 한전=우리나라 전력산업구조는 크게 발전, 송·배전, 판매 부문으로 이뤄진다.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 부문은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동서발전, 한국남동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남부발전 등 한전의 발전자회사와 민간발전회사가 담당한다.

발전회사로부터 전력을 구입해 도시 인근의 변전소로 보내는 송전 업무와, 변전소에서 전압을 낮춘 전기를 사용자에게 전달하는 배전 업무는 한전이 맡고 있다. 전기를 사용자에게 판매하는 업무 역시 한전 담당이다.

현행 제도 아래서 한전은 1시간마다 전력거래소를 통해 발전자회사들과 민간발전회사에서 전기를 사온다. 발전업체가 입찰가격에 대한 선택권이 없고 사전에 결정된 발전기종에 따른 입찰가격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A발전소(원자력) 10원/kWh, B발전소(석탄화력) 50원/kWh, C발전소(가스복합화력) 70원/kWh와 같은 식이다.

그런데 A발전소 전력을 전부 구매하고도 전력량이 부족해 B발전소의 전력을 낙찰 받으면 A발전소의 낙찰가격도 kWh당 50원으로 변경된다. 송·배전, 판매를 한전이 독점하다 보니 '일물일가(한가지 물건에 한가지 가격)' 원칙을 적용하기 때문이다.

발전회사들은 보유한 발전기종별로 입찰가가 정해져 있고 그마저도 가격이 아닌 용량단위로 입찰을 하다 보니 다른 발전회사와 경쟁을 하거나 발전설비에 대규모 투자할 유인도 없다.

바로 이 부문의 비효율을 해소하겠다는 것이 인수위의 구상이다. 전력판매시장이 경쟁체제로 전환될 경우 시장가격을 놓고 발전업체 간, 그리고 판매업체 간의 경쟁이 이뤄지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는 전력의 생산과 공급이 효율적으로 이뤄지고 장기적으로는 발전설비, 즉 예비전력에 대한 투자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선진국 대부분 '판매경쟁' 도입=이미 대부분의 국가들은 전력산업에 경쟁 도입을 강화하는 추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판매 부문의 경쟁체제가 도입되지 않은 국가는 우리나라와 멕시코, 이스라엘이 유일하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난해 말 '한국 에너지정책 국가보고서'를 통해 전력과 가스시장에 민간이 진입할 수 있도록 독점적 구조를 개선하는 등 경쟁 시스템을 도입해야 한다고 권고한 바 있다.

전력판매시장의 경쟁체제 확대에 가장 적극적인 나라는 미국이다. 미국은 1996년부터 각 주별로 전력산업 구조 개편에 착수해 현재 약 민간판매회사가 전체 전력 판매량의 약 60%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와 비슷한 전력산업 구조를 가진 것으로 평가받는 일본도 국외 대비 높은 전기요금과 고비용 구조를 해소하기 위해 2000년부터 대대적으로 전력시장 개방을 단행했다. 2005년까지 시장의 64%를 개방해 평균 전기요금의 18% 하락을 유도하는 등 가시적 성과를 거뒀다.

호주 역시 전력산업의 개방과 경쟁에 집중하고 있다. 공급사들의 경쟁으로 인해 전기·가스·통신 등 결합상품을 만들어 요금을 할인해면서 소비자가 전력공급사를 바꾸는 비율은 2008년 기준으로 평균 10%대에 달한다. 호주는 이를 통해 연간 15억호주달러의 경제적 편익을 얻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330 해복투는 위원장실 점거에 들어가라 7 해복투 지지자 2011.12.12 1147 0
3329 안철수 대선후보, 환경에너지 분야 정책 발표 1 전부퇴출 2012.11.02 1147 0
3328 ‘님아, 그 강을 건너지 마오!’와 에너지 에너지 2015.01.22 1147 0
3327 발전노조 적전분열....! 7 발전사랑 2012.01.06 1148 0
3326 [남동] 2차 가짜정상화 반대합니다! 남동본부 2015.05.11 1148 0
3325 이명박근혜정부에서 발전노조 정의로운 사회를 2017.05.18 1148 0
3324 중앙집행부의 실질적 리더 5 확인 2011.05.06 1149 0
3323 근무형태 변경은 언제쯤.. 5 태안교대 2011.12.18 1149 0
3322 보령화력뿐이 아니고 여수화력에도 산재사고 발생 2명 중상.... 1 여수여수여수 2012.03.31 1149 0
3321 3연속 나이트 끝났다 4 산재예방 2015.05.19 1149 0
3320 (토론회)비정규 불안정 노동자의 정치세력화와 진보정치 혁신 새로운진보정당연구모임(준) 2011.04.21 1150 0
3319 발전노조 성명 감사드립니다. 김모 2017.05.17 1151 0
3318 가스공사노조, 가스직도입 추진했던 신임사장 출근저지투쟁! 발전노조는? 민영화저지 2018.01.21 1151 0
3317 앞으로의 집행부 일처리계획 4 여왕 2011.05.04 1152 0
3316 제정신이 아닌 이종술본부장 14 허허 2011.05.09 1152 0
3315 부산복합화력지부장 후보 홍보물 중앙선관위 2018.02.28 1152 0
3314 공공기관 '사회통념상 합리성' 논란 증폭..법조계 "극히 일부 판례" 로동자 2016.05.30 1154 0
3313 6대 집행부 출범식 사진을 보며 하나가 되어 2012.03.09 1155 0
3312 집행부가 발악을 하구나!!!!!!!! 7 아수라 2012.01.02 1156 0
3311 발전회사의 문제점 ? 2 궁금 2012.02.03 1156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