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70%가 2%에게 지배당한다

노동자 2013.01.08 조회 수 1714 추천 수 0

1 [한국사회의 계급 구성]

 

통계청 2012. 5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경제활동인구는 2,548만 명이다. 이중 노동자가 1,763만 명으로 69.2%, 농림·어민이 178만 명으로 22.2%, 자영업자가 566만 명으로 7%를 차지한다. 대기업들의 이익단체인 전국경제인연합회의 회원사는 506개, 중·소기업의 이익단체인 중소기업협동조합의 조합원 수는 2012년 9월말 현재 646,000명이다. 따라서 자본가는 646,506명으로 추산되며 2.5%에 불과하다. 자본가 1명이 평균 27명의 노동자를 고용하고 있는 셈이다.

 

 한국사회계급구성.jpg

 

한국사회에서 1,763만 명의 노동자들은 자신의 노동력을 646,506명의 자본가들에게 팔아 가족의 생계를 이어가고, 중간계급인 자영업자와 농림·어민 744만 명은 스스로 벌어서 먹고 산다. 2%의 자본가는 극소수의 비생산계급으로 대다수인 노동자들이 노동을 해서 벌어들인 돈으로 사회의 모든 부와 향락을 누리며 사는 기생계급이다. 이것이 바로 대다수의 노동자와 극소수 자본가의 이해가 일상적으로 대립하고 충돌하는 자본주의 사회다. 2%의 자본가들은 그 독점적인 경제력으로 법을 만드는 국회와 그 법을 집행하는 국가의 정치권력까지 장악하고 있기 때문에 노동자 착취체제인 자본주의가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민주주의는 1인 1표다. 그러나 경제는 1원 1표다. 따라서 경제에서 노동자들의 몫은 없고, 중간계급은 미미하거나 자본가에 종속적이다. 오직 자본가들만이 경제 독점과 정치 지배로 학교, 신문, 방송 등의 국가장치와 사회종교단체로 자본주의 유지를 위한 이데올로기를 생산하여 노동자들에게 365일 주입하여 계급 대립·적대 의식을 마비시킨다.

 

 

(노동조합)

 

노동조합은 민주주의 핵심인 1인1표 원리를 껍데기에 불과한 정치 민주주의에서 경제로 확장하여 실질적 민주주의를 쟁취하는 것을 자신의 사회적 과제로 삼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 노동조합의 계급 의식적 활동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먼저 노동자 개개인은 일상적으로 퍼부어지는 자본가 국가의 온갖 쓰레기 이데올로기에 맞서려는 노동자 자신의 노력이 필요하다. 자본주의 체제 유지 이데올로기를 생산하여 합리화하는 자본가 보수신문들(조선, 중앙, 동아 등)을 거부하고 진보적이고 노동자 우호적인 일간신문(경향, 한겨레 등)을 구독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노동조합은 자체 정기 신문과 선전지 등으로 자본가 이데올로기의 허구를 노동자가 당면한 구체적인 현실에서 일상적으로 폭로하고 선전해야 한다.

1개의 댓글

Profile
종북주의자
2013.01.09

ㅋㅋ 그럼 북한은 몇%가 몇 %에게 지배 당하고 있는지 분석 좀 해 주실라우?  어떤 근거로 한경오가 진보적이고 친노동자적이라는지... 내가 보니 종파적이고 편향적인데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4230 민주노총 대선방침, 해석의 여지를 남겨서는 안 된다 1 숲나무 2017.02.23 1476 0
4229 중부본부 부정선거 합리화 규정 개정 추진 6 민주주의 2017.02.20 1660 0
4228 (제안) 100만 촛불경선운동으로 노동자·민중(촛불)의 독자적인 대선후보를 만들자 2 숲나무 2017.02.19 1424 0
4227 중부본부가 이랬구먼 15 너무했네 2017.02.07 2540 0
4226 해고자 생계비 2.5%인상? 11 중집회의 2017.02.01 2226 0
4225 세계적 사회학자 에릭 올린 라이트의 『계급 이해하기』를 소개합니다. 산지니 2017.01.25 1721 0
4224 중앙 바쁘신가요? 5 중부 2017.01.24 1829 0
4223 한국갈등관리연구소 제18차 갈등관리상담사/협상전문가 자격과정안내 한국갈등관리연구소 2017.01.18 2260 0
4222 서부발전 별 지랄을 다하네 서부사장은 순실이랑 친구나 2 서부 2017.01.13 2196 0
4221 - 제15기 청년인권학교 - 인권을 배우자, 그리고 행복해지자! 인권연대 2017.01.12 1389 0
4220 태안 사장은 누가? 서부 2017.01.07 1673 0
4219 1/7 개강!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읽기 : 촛불혁명 시대의 정치와 전쟁 (강의 김만수) 다중지성의 정원 2017.01.06 1996 0
4218 이게 회사냐! 2016년 중부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부결시키고 재교섭하자 10 재교섭 2017.01.06 1803 0
4217 남부본부는 해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6 발노사랑 2016.12.30 2101 0
4216 성과연봉제 합의!!!!!!! 3 민이 2016.12.28 1844 0
4215 1/2 개강! 노동과 건강에 대한 세미나 (강의 장훈교) 다중지성의 정원 2016.12.27 2386 0
4214 남부발전 성과연봉제 도입되나? 남부하동 2016.12.27 1271 0
4213 성과연봉제는 "빛 좋은 개살구"라네 1 성과연봉제 2016.12.27 1228 0
4212 다중지성의 정원 2017년 1분학기가 1월 2일(월) 개강합니다~! 다중지성의 정원 2016.12.20 4410 0
4211 [새책] 『잉여로서의 생명 ― 신자유주의 시대의 생명기술과 자본주의』(멜린다 쿠퍼 지음, 안성우 옮김) 출간되었습니다! 갈무리 2016.12.20 2497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