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성과연봉제 도입 가능성을 열어 둔 수정합의서

조합원 2012.12.04 조회 수 1956 추천 수 0
 

11.30 직권으로 체결한 수정합의서는

성과연봉제 도입 가능성을 여전히 열어놓고 있다 !

 

 


동서노조 위원장 김용진과 장주옥 사장은 지난해 직권 조인한 성과연봉제 도입 합의서를 일부 수정하여 체결하였다. “전 직원에 대하여 조직(집단)성과 중심의 연봉제를 도입하기로 한다. 도입시기 및 방법은 조합과 합의 후 조합원 찬반투표로 결정한다”. 이를 두고 동서노조는 “이것은 합의서 폐기보다 강력한 수단이 될 것입니다.”라고 강변하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허구적 주장과는 달리 가장 강력한 것은 합의서 폐기다. 위와 같이 수정합의서는 성과연봉제 원천봉쇄가 아니라, 회사와 동서노조가 마음만 먹으면 언제라도 도입할 가능성이 여전히 열려진 채로 있다. 회사가 여전히 성과연봉제 도입을 기도하고 있고, 동서노조 김용진과 6개 지부장들 그리고 대의원들조차 성과연봉제에 대해 조합원들만큼 심각성을 인지하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제 공은 조합원들의 손으로 넘어왔다. 앞으로 조합원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성과연봉제 도입 기도를 감지하면서 언제라도 반대투쟁에 나설 태세를 갖추어야 한다. 그러나 사람의 경계심도 시간이 흐르면 풀어지게 되는데 회사와 동서노조는 이런 수를 노리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동서노조는 결코 합의서를 폐기할 수 없다.


 

알다시피 직권조인 합의서 사태는 동서노조 위원장 김용진이 초래한 것이었다. 임금체계의 중대한 변경에 관한 사항은 정상적인 노동조합이라면 조합원 투표를 거쳐 체결해야 한다. 그러나 김용진은 아무도 모르게 직권으로 체결하였다. 동서노조 지부장들도 처음엔 합의서 파기를 요구하다가 갑자기 마음을 바꿔, 합의서는 인정하고 하위사항인 도입 시기 및 방법에 대해서만 수정하여 투표에 부치자고 했다. 설상가상으로 동서노조 대의원들까지도 파기는 고사하고 김용진에게 직권으로 수정합의서를 사장과 체결하라고 한 결과가 이것이다. 이로 볼 때 동서노조는 성과연봉제 도입 일부를 고칠 수는 있어도 폐기할 수는 없는 조직임을 알 수 있다.


 

합의서 폐기를 위한 투쟁은 계속 된다 !


 

성과연봉제 도입 합의서는 폐기되지 않았다. 따라서 우리들은 마음을 놓아서는 안 된다. 회사와 동서노조가 그동안 취해왔던 입장과 태도를 볼 때 그들은 시간이 일정기간 흐르고 기회가 온다면 도입을 시도할 것이다. 따라서 발전노조는 합의서 폐기를 위한 투쟁을 지속할 것이다. 발전노조와 조합원들의 반대로 중단된 성과연봉제가 동서노조의 선전대로 도입 자체가 봉쇄되었다고 생각해서는 안 된다. 동서노조는 여전히 과반의 지위에 있고 직권조인을 할 수 있었던 것도 그와 같은 지위 때문이다. 우리에게 남겨진 숙제로 발전노조가 합의서 폐기투쟁을 지속하고 동시에 동서노조 조합원들은 탈퇴와 가입으로 동서노조 과반의 지위를 빨리 무너뜨리는 것이 성과연봉제를 깔끔하게 막을 수 있는 지름길임을 잊지 말자. 그동안 천막농성에 같이 해준 조합원 동지들 그리고 관심과 기대를 갖고 천막을 지켜보아온 동서노조 조합원 동지들에게 감사드린다. 투쟁 !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049 삼성과 김앤장을 이긴 거제의 후보 김한주 2012.03.19 963 0
3048 경찰, 군인도 참여한 긴축반대 시위, 그리스 9월 파산 전망 노동과정치 2012.07.23 1158 0
3047 영흥 화학직군 아웃소싱이 정말인가요? 4 플랩툰 2012.07.24 1670 0
3046 서부노조 신동호 집행부의 역주행 13 조합원 2012.07.23 2125 0
3045 신자유주의의 죄를 묻는 프랑스 목수정 2012.07.19 974 0
3044 남부노조의 선택 6 남부 2012.07.26 6300 0
3043 인물과 노동조합 5 ( 레닌 2 ) 제2발 2012.03.20 869 0
3042 원자력마피아들 (정부, 학계, 한수원, 건설업자, 규제기관) 노동자 2012.03.20 825 0
3041 수명이 만료된 핵발전소 폐기하자! 녹색당 2012.03.20 817 0
3040 인물과 노동조합 6 ( 그람시 2 ) 제2발 2012.03.22 906 0
3039 희생자 구제심사위원회는 언제 심사위 2012.03.20 767 0
3038 보령과 관련된 발전노조 성명서를 보고..... 3 보령 2012.03.20 1678 0
3037 인물과 노동조합 6 ( 그람시 1 ) 제2발 2012.03.21 793 0
3036 수요관리 중심으로 전력정책을 바꿔야 1 노동자 2012.03.21 714 0
3035 통합진보당 이정희, 윤원석, 정진후 사퇴해야 진보신당 2012.03.21 1040 0
3034 고리원전 운영일지도 조작, 사고은폐도 체질화 노동자 2012.03.22 864 0
3033 고리, 보령발전 사고는 공기업선진화의 결과 노동자 2012.03.23 1437 0
3032 다시 정몽준에게 승리할 것인가 ? 김순자 2012.03.23 917 0
3031 남동 1,2직급 발령 발령남동 2013.05.03 3352 0
3030 전력그룹사, 기관장 거취 '초미관심' 1 시사인 2013.05.03 3731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