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공공기관 선진화로 노동조합 권한 축소 됐다

경향 2012.10.22 조회 수 1159 추천 수 0
[단독]‘공공기관 선진화’로 노조 권한 축소 됐다
.
  • 이명박 정부의 ‘공공기관 노사관계 선진화 정책’(선진화 정책)이 공기업 노조의 권한 축소로 이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선진화 정책은 정부가 노사관계 선진화를 명목으로 2008년부터 공공기관 노사의 단체협약 개정을 지시하면서 시작됐다. 정부는 그 결과를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반영했다. 이후 현행 노동법에 보장된 공기업 노조의 권한까지 단체협약에서 삭제됐다.

    21일 경향신문은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장하나 의원(민주통합당)을 통해 기획재정부의 ‘공공기관 노사관계 선진화 정책성과’ 용역보고서를 입수했다.

    한국노사관계학회가 작성한 보고서는 179개 공공기관의 단체협약이 2007년과 2011년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비교했다. 공공기관의 인사권, 경영권, 불합리한 노조활동 관행 개선, 과도한 복리후생 개선 등 4가지 지표를 기준으로 평가했다.

    보고서를 보면 공기업의 인사권을 둘러싼 노사합의 규정이 줄어든 것은 모두 92건이었다. 전보·전출, 승진·승급, 징계·해고, 노조 간부의 인사 결정에서 노조의 권한이 삭제된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특히 노조 간부에 대한 인사권 행사에서 노사합의를 삭제한 기관이 31개로 가장 많았다. 비정규직 사용 시 노사합의를 거치도록 한 조항도 12개 기관에서 없어졌다.

    경영권 관련 노사합의 조항은 61건이 삭제됐다. 정리해고·구조조정 시 노사합의 조항을 삭제한 기관이 22개로 가장 많았다. 용역·도급 시 노사합의는 13개, 휴·폐업 및 분할·양도 시 노사합의는 12개 기관에서 삭제했다. 취업규칙의 제·개정을 노조와 협의토록 한 조항을 삭제한 기관도 6개였다.

    기존 법원 판결문을 보면 ‘노조 간부를 전보·인사 조치할 때 노조 측과 사전에 협의하는 내용도 단체교섭 대상’이라고 판단했다. 또 ‘경영권 및 인사권이라도 근로조건에 직접 관련되거나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면 단체교섭의 대상’이라고 결정했다.

    현행 근로기준법은 취업규칙의 제·개정 시 노조의 의견을 듣고, 정리해고의 방법과 기준에 관해 노조에 통보하고 협의할 것을 명문화하고 있다. 정부는 법적 기준보다 후퇴한 단협개정을 ‘선진화’의 기준으로 평가했던 셈이다.

    보고서는 불합리한 노조활동 관행 개선을 가장 큰 성과로 평가했다. 노조 전임자 수를 제한한 타임오프제도(근로시간면제제도) 시행 이후 조합원 100명당 전임자 수가 2007년 1.2명에서 지난해 0.91명으로 줄었다. 노조 전임자 근무평정 우대, 사무원 지원 등 노조활동 지원과 편의제공 관련 조항은 89건 감소했다.

    공공운수노조 관계자는 “상당수 공공기관에서 단협상 노조의 권리가 일방적으로 축소됐음이 나타났다”며 “정부의 개입으로 노사관계의 자율성이 심각하게 침해되고 있다”고 말했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490 학생들은 대한민국 정의와 민주주의 방향을 다 알고 있다. 1 민주주의 2013.12.14 2287 0
2489 민영화 분쇄 공공노동자들의 업종의 쟁의형태를 고민 해보자 1 2013.12.15 2150 0
2488 통상임금 소송 모집 다시 해주세요 21 통상임금 2013.12.18 5358 0
2487 상여금 통상임금 논란은 종결, 추가지급 소송 잇따를 듯 추가소송 2013.12.18 3277 0
2486 적자노선 포기→민간 참여→요금 인상 ‘전형적 민영화 수순’ 참세상 2013.12.17 2444 0
2485 공기업 혜택 글로벌 2013.12.17 2736 0
2484 서부 노조 같이 양아치 같은 놈들은 첨 본다 8 서부 2014.07.15 1573 0
2483 남동발전은 본사 직원들 진급시험 가점 준다내여 3 2014.07.14 1804 0
2482 민영화 재앙 노동구조조정 공공노동자들 총파업이 답이다! 노동자 2013.12.18 2351 0
2481 철도파업 해외에서도 관심집중 / 박근혜 당선 1주년 대규모 시위 참세상 2013.12.18 3592 0
2480 오늘 이전 기 소송건은 신의성실원칙 적용이 안된다는군요 2 발전짱 2013.12.18 3471 0
2479 대법원 판결에 따른 통상임금 분류 경향 2013.12.19 4116 0
2478 가족수당 이외는 전체가 통상임금 이라는 판결일세11 1 굿판결 2013.12.19 3291 0
2477 민영화 분쇄 공공노동자들 총파업 투쟁전선이 대안에너지 모색의 단초이다 2013.12.19 2763 0
2476 휴일근무수당도 소송하세요 통상임금 2013.12.20 4542 0
2475 쑥대밭 된 민주노총, 총력투쟁 결의 참세상 2013.12.23 3853 0
2474 일제시대와 발전회사...역사는 웃는다 1 강호 2013.12.21 3225 0
2473 귀마개는 빼고 국민의 소리를 들어야... 1 귀마개 2013.12.22 3626 0
2472 노동탄압 민주 2013.12.22 3921 0
2471 초간고시 합격자 알려주소! 1 남부 2013.12.23 5185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