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근 사업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직장폐쇄는 위법

매일노동 2012.08.29 조회 수 831 추천 수 0

 

국회 입법조사처가 직장폐쇄 요건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최근 SJM이 단행한 직장폐쇄는 위법이라고 봤다.

입법조사처는 "직장폐쇄는 노사 간 힘의 불균형이 현저하게 나타날 경우 힘의 균형 회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후수단으로 인정되는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또한 “최근 사업장에서 빈발하고 있는 직장폐쇄와 시설경비용역업체의 투입, 폭력행위 등은 정당성 관점에서 대항성·방어성·상당성의 의미를 갖기 어려운 사례가 있다”고 못 박았다. 노조법을 위반했다는 설명이다. 노조법은 공격적 직장폐쇄를 금지하고 있다. 직장폐쇄는 노조의 쟁의행위로 사용자의 교섭력이 현저하게 약화됐을 경우에 한해 수동적·방어적 수단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입법조사처는 최근 발생하는 직장폐쇄를 5가지 경향으로 분류했다. 입법조사처에 따르면 우선 부분파업이나 태업 등 노조의 쟁의행위 직후에 곧바로 직장폐쇄가 단행됐고, 직장폐쇄 단행 뒤 경비용역업체 투입으로 폭력사태가 발생했다. 또 특정 부서나 특정 조합원에 대한 직장폐쇄 뒤 출입을 금지하는 부분적 직장폐쇄가 진행됐고, 비조합원이나 파업불참자를 중심으로 조업을 계속한 사례가 적지 않았다. 이어 노조의 업무복귀 선언 등 쟁의행위 종료 선언 뒤에도 직장폐쇄가 계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인상 입법조사관은 "현실에서 공격적 직장폐쇄가 단행되더라도 정당성 판단이 법원에 맡겨져 있기 때문에 사후적으로 법원이 직장폐쇄의 불법성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해당 사업장의 노동조합이 이미 무너진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또 “정부가 위법한 직장폐쇄에 소극적으로 대응해 직장폐쇄로 인해 발생하는 노사분쟁에 대한 조정자 역할에 충실히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한 조사관은 “직장폐쇄의 정의·요건·효력 등에 대한 명확성이나 예측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직장폐쇄의 본질에 부합하도록 입법적 보완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4150 남부노조 통상임금 소송 결과 6 법원 2015.01.24 2057 0
4149 중간평가 결과를 바라보며.... 8 조합원 2014.10.31 2055 0
4148 한전 출신 중부발전 부사장 선임 반대 중사모 2016.04.04 2055 0
4147 발전노조는 임금협상과 퇴직금 중간정산은 어떻게 되어가고 있지요 6 발전조합원 2011.07.04 2054 0
4146 이종술위원장님 내 돈 돌려주세요 8 독도지킴이 2011.03.25 2052 0
4145 발전노조 내부 세력들과 복수노조 13 분석가 2011.05.25 2052 0
4144 주휴 야비 하는 발전소 1 질문 2016.02.07 2052 0
4143 동서사장 결국 짤렸네요. 이길구에 이어 6 잘해라 2014.11.26 2051 0
4142 조합원 징계 4 똥개 2017.11.30 2051 0
4141 서인천의 기업별 개별탈퇴 작업이 시작 되었다. 지킴이 2011.07.17 2050 0
4140 중국 노동자운동, 관변노조 변화시켜 참세상 2013.03.26 2050 0
4139 팀장 오빠 4 17 2014.10.11 2049 0
4138 산별노조란?기업별노조란? 조합원 2011.06.03 2048 0
4137 동서노조가 회사아 31일 전격합의하고 사업소 설명회를 4 동서노조 2014.08.01 2048 0
4136 남부노조는 무너졌다 기회 2015.08.03 2048 0
4135 당과 당 그리고 당 숲나무 2013.08.27 2045 0
4134 투표총회는 해봐야 손해다. 9 노동자 2011.06.26 2044 0
4133 김명환 위원장 "정부가 민주노총 마녀사냥"…영장심사 출석(종합) 2 마녀사냥 2019.06.21 2043 0
4132 제주조합원의 감동적인 글 11 조합원 2011.11.17 2042 0
4131 기해년을 맞이하며 시대 2018.12.25 2042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