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최근 사업장에서 일어나고 있는 직장폐쇄는 위법

매일노동 2012.08.29 조회 수 831 추천 수 0

 

국회 입법조사처가 직장폐쇄 요건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법)을 개정해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최근 SJM이 단행한 직장폐쇄는 위법이라고 봤다.

입법조사처는 "직장폐쇄는 노사 간 힘의 불균형이 현저하게 나타날 경우 힘의 균형 회복이 필요하기 때문에 최후수단으로 인정되는 것”이라며 이렇게 밝혔다. 또한 “최근 사업장에서 빈발하고 있는 직장폐쇄와 시설경비용역업체의 투입, 폭력행위 등은 정당성 관점에서 대항성·방어성·상당성의 의미를 갖기 어려운 사례가 있다”고 못 박았다. 노조법을 위반했다는 설명이다. 노조법은 공격적 직장폐쇄를 금지하고 있다. 직장폐쇄는 노조의 쟁의행위로 사용자의 교섭력이 현저하게 약화됐을 경우에 한해 수동적·방어적 수단으로만 사용할 수 있다.


입법조사처는 최근 발생하는 직장폐쇄를 5가지 경향으로 분류했다. 입법조사처에 따르면 우선 부분파업이나 태업 등 노조의 쟁의행위 직후에 곧바로 직장폐쇄가 단행됐고, 직장폐쇄 단행 뒤 경비용역업체 투입으로 폭력사태가 발생했다. 또 특정 부서나 특정 조합원에 대한 직장폐쇄 뒤 출입을 금지하는 부분적 직장폐쇄가 진행됐고, 비조합원이나 파업불참자를 중심으로 조업을 계속한 사례가 적지 않았다. 이어 노조의 업무복귀 선언 등 쟁의행위 종료 선언 뒤에도 직장폐쇄가 계속되는 경향을 보였다.


한인상 입법조사관은 "현실에서 공격적 직장폐쇄가 단행되더라도 정당성 판단이 법원에 맡겨져 있기 때문에 사후적으로 법원이 직장폐쇄의 불법성을 인정한다고 하더라도 해당 사업장의 노동조합이 이미 무너진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또 “정부가 위법한 직장폐쇄에 소극적으로 대응해 직장폐쇄로 인해 발생하는 노사분쟁에 대한 조정자 역할에 충실히 이행하지 못하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한 조사관은 “직장폐쇄의 정의·요건·효력 등에 대한 명확성이나 예측가능성을 담보하기 위해 직장폐쇄의 본질에 부합하도록 입법적 보완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250 동서 기업별 노조 설립 2년여 만에 해체 수순 7 전력 2012.11.10 1525 0
3249 강제이동 남부발전이 일,가정 양립기업문화?? 4 열받아 2012.08.28 1525 0
3248 노조 위원장 되었다고 똥폼내며 목에다 힘주는 6 조합원 2015.07.23 1525 0
3247 통합보다 청산과 극복이 우선이다 숲나무 2017.03.13 1524 0
3246 변화를 바란다면...... 향나무 2011.04.10 1523 0
3245 전력산업 분할과 경영평가가 발전노동자 노동조건 악화의 주요인 전기신문 2013.03.14 1523 0
3244 '원전비리' 뇌물챙긴 한수원 간부 22명 구속 동서발전 2012.07.10 1523 0
3243 친박노조. 반문재인 노동단체 누굴까요? 2017.05.30 1523 0
3242 법원, 동서발전 노조설립 반려 부당 “복수노조 아니다” 3 동서노조 2011.05.04 1522 0
3241 [본부장의 편지] 졸속적이고 굴욕적인 임금교섭 잠정합의(안)는 폐기돼야 4 남부본부 2011.12.10 1522 0
3240 어용노조의 정의 4 조합원 2011.06.23 1520 0
3239 남부본부장의 기만행위 4 부결최후 2011.12.21 1520 0
3238 박종옥 집행부는 발전노조를 포기하였습니다. 21 조합원 2011.12.29 1520 0
3237 공공기관 경영평가제도 개선돼야 전기신문 2013.03.12 1519 0
3236 정말 이러다간 4 남부 2011.05.18 1519 0
3235 내양심의 발전노조여 안녕! 4 안녕발저노조 2011.12.10 1519 0
3234 ◆◆ 동 서 에 x 파 일 이 ◆◆ 2 저승사자 2011.12.15 1519 0
3233 [펌]진보, 그런게 아직도 남아 있다면, 남은 선수끼리 가자 NLPD 2012.05.13 1519 0
3232 교대근무 형태변경 결사 반대 2 막가파 2015.02.24 1519 0
3231 차라리 찢어지자 6 민초 2011.05.19 1518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