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발전공기업, 화학 등 소수직군 발전으로 흡수 의견분분

전기신문 2012.08.27 조회 수 1938 추천 수 0
발전공기업, 직군통폐합 ‘의견 분분’
일부 회사, 화학 등 소수직군 '발전'으로 흡수
노조 "인력감축 의도"...간부들 생각도 '제각각'


일부 발전공기업에서 추진한 직군통폐합을 놓고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이 분분하다.
직군통폐합은 소수인 화학직군을 주류인 발전직군으로 통합하는 게 뼈대다. 전산, 통신 직군은 개인의사에 따라 사무나 발전직군 등으로 흡수된다.
발전회사들이 직군통폐합에 나서는 까닭은 인력운영의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발전공기업 관계자들은 간부, 말단사원 등 직급에 상관없이 엇갈린 반응을 나타내고 있다.
◆소수직군의 비애〓 발전공기업에서 화학직군 비중은 전체 인원의 7~8% 안팎이다. 다수를 점하고 있는 기계, 전기 등 발전직군과 달리 소수정예다. 채용인력이 적다보니, 입사경쟁률도 높다. 우수인력이 포진해있다는 자부심도 있다. 대기, 환경, 화학, 수처리 등 전문성도 인정받고 있다.
그러나 소수자로서 상대적 박탈감은 숙명으로 다가온다. 주류가 아니기 때문이다. 외곽으로 돌 수밖에 없다. 당연히 승진에서 밀린다. 경영진 입장에서도 발전처장 등 주요 보직을 맡기기 불안하다.
차라리 이럴 바에 주류에 편입되는 게 나을 수도 있다. 지난해 11월 A발전사가 화학직군 간부사원들을 상대로 의견조사를 했을 때, 대다수가 직군통합에 찬성했던 이유다.
물론 발전직군에 흡수되는 걸 반대하는 내부의견도 있다.
주류에 편입되더라도 여전히 ‘서자(庶子)’ 취급받을 게 뻔하다는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화학직군으로 남아 자기계보를 유지하는 게 최선이란 반응도 나온다.
발전직군들도 화학직군 흡수를 그다지 곱게 보지 않는 눈치다.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낼 수 있어서다.
◆반발하는 노조〓 노조는 직군통폐합을 인력 구조조정의 연장선으로 해석하고 있다. 화학직군 인력을 발전직군에 편입시킨 뒤 관련 업무를 외주 처리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발전노조는 최근 배포한 소식지에서 “정부 경영평가에서 높은 점수를 받기 위해 정원, 인건비를 축소하고 부족인력을 채우지 않음으로써 표면적으로 노동생산성이 높아지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효과를 사측이 노리고 있다”고 주장했다.
신현규 위원장은 “소수직군 통폐합은 연봉제 도입과 맞물려있으며, 이는 인력감축을 위한 시발점”이라고 지적하고 “선제적 대응 차원에서 직군 통폐합 문제를 쟁점화하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7월 전후로 발전노조에서 결별하고 사측과 상생의 길을 걷고 있는 발전5사 기업별 노조도 이 같은 인식에 동의하고 있다.
B발전사 노조 관계자는 “접근방법이 발전노조와 다를 뿐, 사측의 소수직군 통폐합 움직임에 문제가 많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사측의 해명〓 발전공기업들은 “직군통폐합이 인력축소를 위한 방편”이란 노조의 주장에 “사실과 전혀 다르다”고 해명하고 있다.
C발전사 인사팀 관계자는 “직군통폐합은 내부적으로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전제하고 “일부 잡다한 화학 관련 업무를 외주처리하려는 까닭은 고급인력을 난이도 높은 일에 더욱 집중시키기 위한 방편”이라고 강조했다.
A발전사 인사팀 관계자는 “지난해 11월 화학 외에도 토목·건축 직군 담당자들을 대상으로도 의견을 수렴했었다”며 “하지만 토목·건축 직군은 토건직군으로 통폐합하는 방안을 반대해 종전 체계를 그냥 유지키로 했다”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또 “직군 조정은 인력운영에 효율성을 도모하기 위해서지, 인력감축 등과는 하등의 관계가 없다”며 “노조가 너무 앞서나간 것 같다”고 덧붙였다.
황인국 기자 (centa19@electimes.com)

1개의 댓글

Profile
차이점
2012.08.28

발전노조는 위원장이 실명으로 입장을 내고

기업별노조는 회사에 찍힐까봐 익명으로 하고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270 간접고용 폐지, 현대차 주말 44시간 연속노동, 스페인 구제금융 노동과정치 2012.06.11 1101 0
3269 아직도 너무나 멀리 있는 노조 bbb 2012.08.15 931 0
3268 "직무순환제 때문에 퇴사·이직 많이 고려" 뺑뺑이 2012.06.12 1500 0
3267 전력산업 민영화 코 앞에, 1개월 알바가 현대차 만든다. 노동과정치 2012.06.13 1580 0
3266 불신임당하고 고소당한 전 위원장 박종옥 4 조합원 2012.02.14 1389 0
3265 29만원 할아버지 1 연희 2012.06.12 1048 0
3264 국가부채 1300조원 국민분산, 스페인 특혜금융, 첫 석탄민자발전 승인 노동과정치 2012.06.12 1169 0
3263 법보다 웃도는 내용과 법에 없는 것들을 담아내야 제2발 2012.02.14 812 0
3262 공기업 경영평가 10 중부 2012.06.13 3484 0
3261 성과급 지급율 2 서부노조 2012.06.15 2881 0
3260 동서노조 울산 간담회 어떻게 됐나요? 3 궁금이 2012.11.21 1785 0
3259 사외메일이 왜안돼? 1 서부발전 2012.06.28 1316 0
3258 복직 ㅊㅋㅊㅋ 1 똘스 2012.06.28 1344 0
3257 금융회사들, 4%로 빌려서 20%로 고금리 대출 경제읽기 2012.07.09 4138 0
3256 복직 소식을 접하게 되어 기쁩니다 조합원 2012.06.28 1282 0
3255 성과연봉제 도입을 완전하게 차단 확정하는 것 3 합의 2012.11.19 1850 0
3254 노조탈퇴 유도한 사용자, 노조에 위자료 지급하라 4 발전은 2012.06.14 1666 0
3253 우리 중부의 김본부장님 여전히 1 신보령 2012.06.15 1757 0
3252 임금청구소송은 언제 하나요? 무식이 2012.06.16 1321 0
3251 성과연봉제 도입을 확정하는 조합원 찬반투표 7 조합원 2012.11.19 2646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