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건설노조 무기한 총파업 돌입, 미국 사회불평등 100년만에 최고

노동과정치 2012.06.27 조회 수 947 추천 수 0

건설노조, 무기한 총파업 돌입

 

 

화물연대가 25일 총파업에 돌입한 데 이어, 건설노조까지 파업에 돌입하면서 특수고용노동자의 투쟁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현재 건설노조는 △특수고용노동자 노동기본권 쟁취 △건설기계 임대료 및 건설노동자 임금체불 근절 △건설기계 표준임대차계약서 의무작성 등 18대 대정부 요구안을 발표한 상태다.

 

 

건설노조는 파업 첫날인 27일에는 건설노조 지도부가 현장을 순회하며 파업 참여를 독려하고, 28일 오전 9시부터는 전국 각지의 대규모 현장에서 집회를 개최한다. 건설노조는 내일을 기점으로 최소 50만 명의 건설 노동자들이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하고, 28일에는 합원 2만여 명이 상경투쟁을 벌일 예정이다.

 

 

건설노조는 18대 대정부 요구안을 중심으로 국토해양부, 고용노동부와의 교섭을 진행 중이다. 건설노조 관계자는 6.5 건설노조가 전국 동시다발 기자회견으로 파업을 홍보한 이후 정부측에서 교섭 요청이 들어왔다며 현재 노조의 주된 요구인 특수고용노동자 노동기본권, 건설노동자 체불문제 등을 포함하는 건설산업기본권 개정에 대한 교섭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건설노조 관계자는 “화물과 건설노조의 동시다발 공동투쟁으로, 특수고용문제가 단지 산업 하나만의 문제가 아닌 전반적인 사회적 문제라는 것이 공론화 될 것이다. 특수고용노동자 산재 전면 적용 등의 노동기본권 보장을 위한 여러 요구들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화물과 건설의 총파업이 연이어 진행되면서, 오는 28일 예고된 민주노총 경고파업 역시 탄력을 받게 됐다. 민주노총은 오는 28일 오후 5시, 국회 앞에서 △비정규직 철폐 △정리해고 철폐 △노동법 재개정 등의 3대 요구안 쟁취를 내걸고 ‘민주노총 파업승리 결의대회’를 개최한다.

 

 

프로야구 선수협, 올스타전 보이콧

 

 

야구 선수들의 '노동'은 고액 연봉이라는 화려함 속에 감춰진 측면이 많다. 2009년 선수협이 노조설립을 추진할 당시 500여명의 선수들 중 50%가 연봉 3,000만원 이하의 임금을 받고 있었다. 평균 정년도 5년에 불과했다. 또 선수들은 개인사업자로 간주되어 4대 보험 혜택을 받지 못한다. 뛰어난 선수가 아니면 자비로 부상을 치료 해야 한다. 구단이 선수의 부상을 치료해줘야 할 의무는 없고, 제도적 근거도 없다.

 

 

25일 선수협이 올스타전 보이콧을 결정한 이유도 선수들의 감춰진 고용불안으로부터 비롯되었다고 볼 수 있다. 프로야구 역사상 선수협의 보이콧 선언은 앞서도 3차례나 비슷한 일이 있었다. 3차례의 보이콧 선언 또한 선수들의 임금, 고용안정, 노동조건 등의 문제를 안고 있었다.

 

 

미국, 사회적 불평등 100년 만에 최고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스티글리츠 미국 컬럼비아대 교수 “미국은 더 이상 기회의 땅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스티글리츠 교수는 기고문에서 미국의 사회적 불평등이 약 100년 만에 최고조에 달했다. 미국은 중산층의 나라로 자평해왔지만 이는 더 이상 사실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상위계층의 부를 늘리면 파급효과가 하위계층으로 이어진다는 ‘낙수효과’는 일어나지 않은 것이다. 일각에서는 시장경제의 불평등은 불가피하다고 지적하지만 스티글리츠는 “여러 국가들은 경제성장을 유지하면서도 불평등을 줄이고 있다”고 반박했다.

 

 

그는 “현 정치제도는 다른 구성원들을 희생시켜 부유층에게 혜택을 주는 방식”이라고 비판했다. “금융규제 방식은 하위계층에서 상위계층으로 부를 이전시키는 약탈적인 금융과 악의적인 신용카드 관행을 허용하고 있다. 세계화 속에 기업들은 일자리를 해외로 이전하겠다고 위협하며 노동자들의 양보를 강요한다”는 것이다.

 

 

스티글리츠는 “사회·경제·정치적 불안정과 낮은 경제성장은 불평등에 따른 막대한 비용이다 . 평등 수준이 높은 나라는 경제도 건전하다”고 지적했다. 미국은 비교적 평등했던 2차 세계대전 직후 높은 경제성장세를 보였지만 1980년대 부의 편중이 심화되면서 점차 둔화됐다고도 설명했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150 [경제와 세상] 노동이 빠진 복지 논의 강신준 2012.03.09 725 0
3149 6대 집행부 출범식 사진을 보며 하나가 되어 2012.03.09 1155 0
3148 가스공사지부 쟁위행위 찬반투표 실시 매일노동 2012.09.05 800 0
3147 박전익 조합원 부당징계 철회를 위한 일일호프!! 3 당진 2012.08.30 1303 0
3146 (국정감사) 민간대기업 발전사업 진출 확대 우려 제기 조합원 2012.10.12 1392 0
3145 한전-전력관계자 수고가 많습니다" 한전 2012.09.03 1234 0
3144 연봉제에 대해 7 현장 2012.09.03 1415 0
3143 발전노동자 26호 소식지를 보고 질문??? 2 조합원 2012.09.03 1034 0
3142 남부역량평가 2 다시시작 2012.09.04 1246 0
3141 "자본"을 읽어야 하는 이유 조운찬 2012.09.04 858 0
3140 굴욕적인 중부노조의 고백 4 개보기 2012.09.04 1626 0
3139 87년 노동자대투쟁 25주년 기념강좌 노동자교육센터 2012.09.04 817 0
3138 5조3교대제로의 근무 형태 변경과 정년연장 제도 도입을 제안하며 10 이상봉 2012.03.11 2861 0
3137 동서발전과 이마트 동서 2013.03.15 2665 0
3136 [인권연대 기획강좌] 역사의 광해군, 영화의 광해 - 사실과 상상 사이 인권연대 2013.03.15 2090 0
3135 [최고위원후보] 중단없는 혁신! 이홍우가 하겠습니다! 이홍우혁신선본 2012.06.26 816 0
건설노조 무기한 총파업 돌입, 미국 사회불평등 100년만에 최고 노동과정치 2012.06.27 947 0
3133 [성명] 물류를 멈춰 세상을 바꾸자! 화물연대의 총파업투쟁을 지지한다 사노위 2012.06.27 1362 0
3132 임금차액소송 1 임금차액소송 2012.06.27 1674 0
3131 송유나님의 "전력산업 민영화현황 - 민자발전시장의 급성장" 을 읽고 1 이상봉 2012.06.27 1556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