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5년은 족히 걸리는 통상임금소송으로 사기치지말라

브로커법률원 2012.05.28 조회 수 2460 추천 수 0
최근 법원이 인정하는 통상임금 인정범위를 넓혀 가는 흐름만 본다면 근로기준법 시행령(제6조)상 통상임금 정의를 바꿔야 할 지경이다. 더 이상 정기적이고 일률적으로 지급될 것을 통상임금의 필수불가결한 요건으로 보지 않기 때문이다. 판례에 따라서는 두 요건(정기적·일률적)을 탄력적으로 적용하거나 사실상 필요치 않다는 의견도 있다.

바라건대 명칭을 불문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노동의 대가는 모두 임금으로 봐야 한다. 그렇게 되면 임금인상을 회피하기 위한 사용자의 편법도 더 이상 통하지 않을 것이다. 아울러 제도적으로 통상임금과 평균임금으로 양분된 복잡한 임금체계를 바꾸기 위한 논의가 시작됐으면 한다.

이상과 같은 긍정적인 평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지만 통상임금 소송의 부정적인 면도 찾을 수 있다. 우선 통상임금소송은 오늘날 노사관계의 단면을 그대로 드러낸다. 사용자와 비교해 노조의 힘이 급격히 약화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과거 단체협약의 대상이었던 것들이 법원으로 향하기 일쑤다. 통상임금소송이 대표적이다. 동종 사례에 관한 법원의 판결이 있어도 다시 소송을 하지 않으면 인정받기 어렵다.

일부이긴 하나 소송을 조직경쟁의 수단으로 악용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예를 들어 선거에서 패배한 집행부가 기존 조직을 추스르기 위해 겉으로는 조합원의 권리를 찾아주겠다고 포장한다. 하지만 실은 자신의 세를 만회하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한 것이다. 더욱 심각한 것은 필연적으로 기존 자신들이 체결한 단협을 부정하고서야만 가능하다. 소송과 함께 노조 내부 단결력은 물론 사용자와의 관계에서 교섭력까지 약화되는 결과에 이를 뿐이다.

더욱 안타까운 것은 영세사업장에서 벌어지는 소송은 그 과실이 조합원들에게 돌아가지 않는 경우가 허다하다. 소송을 당하게 되면 사용자는 공공연하게 “법원에서 인정한 임금만큼 향후 임금교섭에 반영하겠다”고 한다. 윗돌을 빼서 아랫돌을 괴는 것밖에 되지 못하는 것이다.

지난해 7월1일 창구단일화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면서 이 같은 유혹은 더욱 커졌다. 하게 되더라도 부디 소송이 전체 조합원들의 권리를 지키는 것은 물론 노조의 힘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진행됐으면 한다. 또 하나, “여러분의 권리를 찾아주겠다”며 통상임금 소송을 돈벌이로 여기는 브로커들도 조심해야 한다.

7개의 댓글

Profile
도둑이제발저려
2012.05.30

회사노조 한테 하는 말이죠?

 

발전노조로 오지 마세요!!

 

우리끼리 소송하게

Profile
도둑
2012.06.01
@도둑이제발저려

회사노조도 소송 들어간답니다

뭘 그리 생색이시오?

Profile
무슨소리
2012.05.30

도서지부경우를 잘봐라 1심 민사사건 100% 승소하였다 알고나 하는소리여

 

시간이 무서워서 할일못하나 구더기무서워 장못담구남 헐

Profile
ㅎㅎㅎ
2012.06.01

ㅎㅎㅎ 도서지부같이 작은 사업장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하다

발전을 비롯한 큰 회사노조들이 너도나도 통상임금소송에 불을 붙이고 있는 지금과 같은 시점에서는

법원의 판결도 정치적일 수 밖에 없다

승소한다면 더없이 좋은 일이지만 이미 다 된 것 처럼 샴페인부터 터뜨리는 행태는 보기 좋지 않다

조합원에게 솔직히 말해줬으면 좋겠다

오래걸리고 힘든싸움이지만 최선을 다해 보겠다고......

Profile
도서지부
2012.06.01

도서지부는 발전노조 입니다.

 

40개 지부중 특별지부..

Profile
발전조합원
2012.06.02

도서지부도 그렇게 작은사업장은 아닌것같던데?

전우실업직원이 500명이 훨씬넘고 한해 사업금액이 한천억쯤 되는것같던데

적은건 아니지 얼마나 되야 많은것인가?

누구는 되고 누구는 덩치가 커서 정치적으로

흐흐 발전은뭐큰회사인가 몇천명안되는구만 흐흐

Profile
역량강화
2012.06.02

이미 누구는 되고 누구는 안된 상황이다

지난 4월 판결(?)을 제외하고는 과거 오랫동안 대법원은 판결을 통해 상여금의 통상임금 포함을 부정해왔다

게다가 지난 4월 판결은 대법원의 실질적인 판결이 아니며 사건을 고등법원으로 돌려보낸것이다

즉, 아직 판결이 종료된 사건이 아니라는 것이다

 

또한 발전노조가 덩치가 크다는 말이 아니라 큰 회사 노동조합들이 앞다퉈 소송을 진행하고 있기때문에 이제 통상임금 문제는 노동계와 경영계의 핵심이슈가 된 만큼 정권의 정치적 판단이 향후 판결에 미칠 영향이 크다는 것이다

 

어떤 문제를 바라볼때 아전인수격으로만 해석하지 말고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볼 수 있는 능력도 키워야한다

그래야 문제해결에 어려움이 생기더라도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법이다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250 발전노조 중앙 및 본부상근자 정리 11 조합원 2011.10.31 1593 0
2249 성과급이 이상타 2 서부 2015.07.07 1593 0
2248 역겨운 이중인격자 김재현을 보다 7 참담한심정 2011.10.28 1594 0
2247 남부 인사이동에 따른 기업별노조의 항의? 남부 2015.07.25 1594 0
2246 퇴직연금 찬성하는 조합원은 복수노조 만들자.. 8 복수노조 2011.05.03 1595 0
2245 노동조합의 존재이유와 우리가 해야 할 일 9 남부군 2011.05.30 1596 0
2244 남부노조홈피에서 펌 3 2012.04.18 1596 0
2243 박근혜VS문재인 6 대선 2012.11.30 1597 0
2242 나도 궁금해요... 8차 회의록에서 빠진 퇴직금 중간정산부분은 어떻게 되나요 3 동서인 2011.11.13 1597 0
2241 통상임금 갈 길이 아직 멀다.... 3 통상임금 2015.01.15 1597 0
2240 남동발전 가짜정상화 확대 이사회 조건부 의결 1 바람길 2014.09.26 1598 0
2239 김동성동지 노조사무실 출입, 회사측 어용노조 간판 자진철거 숲나뮤 2011.12.14 1599 0
2238 노조미가입자 임금협상 문의? 5 노조미가입 2011.12.19 1599 0
2237 아래 동서 토마토 님아.. 이제 그만 해줄래..아 정말 떠나고 싶다 8 동서조합원 2011.10.18 1599 0
2236 가짜정상화 결국 탄로났다.(경향신문 기사) 기사났네 2014.09.04 1600 0
2235 뉴라이트를 박살낸 한국일보 서화숙기자 유튜브 2 곰곰이 2013.01.08 1601 0
2234 개 풀뜯어 먹는 소리 글쓴이 2016.08.13 1601 0
2233 중부노조 임금협약 내용 5 히복기 2011.12.23 1602 0
2232 한전은 문제없나? 매일경제 2011.10.12 1602 0
2231 발전5사 임원 인사 단행 봄바람 2014.03.18 1602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