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영국 노동자의 정치 2

LP TBN 2012.05.02 조회 수 954 추천 수 0

노동당(Labour Party)

 

1900년 독립노동당, 페이비언협회, 사회민주연맹, 노동조합 등이 결성한 노동대표위원회로 시작하였다. 1906년 총선거에서 29의석을 획득하면서 노동당으로 개명하였다. 제1차 대전이 발발하자 반전을 주장한 독립노동당파와 참전을 주장한 페이비언협회와 노동조합이 분열하였으나 1918년 노동조합 중심에서 탈피하고 조직, 정책을 확대개편하면서 당세를 확장하였다.

 

1929년에는 제1당이 되어 제2차 맥도널드내각을 성립시켰으나 세계공황의 대책을 둘러싸고 당내 분열이 생겨 당세가 약화되었다. 그 후 당의 재건에 힘써 제2차 대전에는 처칠의 연립내각에 참가하여 파시즘 타도에 협력하였다.

 

1945년 선거에서는 393의석을 차지하는 압도적 승리로 애틀리 내각을 조직하여 주요산업의 국유화와 사회보장제도의 정비 등 사회주의정책을 추진하였으나 당내의 대립으로 인하여 1951년 선거에서 보수당에 패배하였다. 1950년대에는 당의 사회주의적 접근법을 풍요로운 사회에 적응시킬 지의 여부와 산업의 국유화 문제로 노동당은 분열하기 시작했다. 당내 좌파는 사회주의적 경제정책의 확대와 대미 의존적 경제의 개선을 주장했다. 반면에 수정주의자들은 산업의 국유화 공약을 포기해야 된다는 주장을 폈다.

 

1979년 대처의 보수당에 참패한 후 노동당은 심각한 내분에 휩싸였다. 노동조합의 지원을 받은 당내 좌파는 국회의원 후보와 당수 선출에 있어 대중 활동가들과 노동조합의 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내부 조직을 바꾸는 데 성공했다. 그러나 이에 반발하여 간부급 국회의원들과 그 지지자들이 1981년 노동당을 탈당하고 사회민주당을 창당했다.

 

1983년 총선에서 마이클 풋 노동당 당수는 산업국유화 확대실시, 핵무기의 일방적 폐기, 유럽 공동시장 탈퇴 등의 급진적 공약을 내걸었다. 그러나 결과는 50여 년 만의 최악의 참패로 끝났다. 선거에서 패배한 후 중도좌파가 당을 이끌어나갔다. 그 후 1989년 핵무기의 일방적 폐기정책을 포기하고 현실노선으로 수정했다. 1992년 총선에서도 여전히 보수당에게 패배하였고 중도좌파의 정책은 존 스미스와 토니 블레어에 의해 계승되었다. 이들이 채택한 실용주의 정책과 조직개편으로 노동당은 과거의 급진성을 탈피하여 신노동당으로 불리게 되었다. 신노동당의 주요 정책으로는 과거 수정주의자들이 주장한 혼합경제를 강화하고 유럽연합(EU) 내에서 영국의 역할을 계속 수행하며 산업국유화 정책을 포기하고, 제도와 사회정책 분야에서 전면적 개혁을 시행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신노동당의 강령과 고도의 정치 선전 기법이 결합하여 1997년 총선에서 압승을 거두어 권력을 다시 잡게 되었다

 

그러나 2010년 총선에서 노동당은 29%의 지지율로 258석을 얻어 36%의 보수당에 이어 제2정당이 되어 집권당에서 물러났다. 노동당(Labour Party)은 중도좌파정당으로 자칭 민주사회주의당이라고 하나 정책은 사회민주주의에 가깝다.

 

2) 영국의 노동조합과 정당의 관계

 

영국노동조합회의(TUC)

 

영국노동조합회의는 영국을 대표하는 노동조합 전국 조직이며 산업별 노동조합 들을 포괄하고 있다. 영국 노동당의 모태이며 노동당의 전통적 지지 기반이기도 하다. 영국노총으로 불리기도 한다.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등이 독자적인 자치권을 가지고 있어 스코틀랜드 노동조합회의, 웨일스 노동조합평의회, 아일랜드 노동조합회의는 독자적으로 운영된다.

 

영국은 자본주의가 가장 먼저 발전한 나라여서 노동조합 운동도 가장 먼저 시작됐다. 17세기 말 직업그룹의 형태로 노조 운동이 시작됐고 1811∼1817년에는 기계파괴운동이 진행됐다. 1838∼1848년에는 노동자를 중심으로 한 민중운동인 차티스트운동이 진행되기도 했다. 이후 영국의 노동운동은 사회주의를 꿈꾸는 세력, 노동자의 권익 향상을 목표로 하는 세력 등 다양한 성격의 정파로 분열됐다. 1840년대 숙련 노동자를 중심으로 노동조건의 개선을 도모하는 직종별 조합이 만들어졌는데 이들이 전국으로 결성된 것이 영국노동조합회의이다. 영국노동조합회의는 주 8시간 근무제 확립, 1926년 전국 총파업을 주도하고 1930년대 이후에는 정부와 교섭을 시작하면서 영향력을 키웠다.

 

1979년 대처가 이끄는 보수당 정권이 들어서면서 세력이 약화되기 시작해서 1979년 1200만 명이었던 회원은 1989년에는 800만 명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노동당 총리가 영국노동조합회의 연례 회의에 참석할 정도로 여전히 영국 노동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870 동서 연봉제는 발전노조에는 효력이 없나요? 6 연봉제 2012.08.20 1334 0
2869 팽당한 박지만, 추락한 박근혜.. 정윤회만 웃었다 뉴~스 2014.12.31 1334 0
2868 [동서본부장 후보]불평등/차별/불이익이 사라지는 날까지 끝까지 싸우겠습니다! 동서본부장후보 2018.02.28 1334 0
2867 발전노조에 대 변혁 예고 예언가 2012.02.15 1335 0
2866 [남부본부장 후보] 1차 홍보물 중앙위원장후보 2018.02.22 1335 0
2865 한상균 “文, 노동적폐 청산 못해” 비판 조합원 2018.04.05 1335 0
2864 109분의 남부 발령자들 모두 모두 건강하시기를.... 3 남부발령 2011.05.31 1336 0
2863 제일나쁜게....3성 ㄲ ㄲ ㄲ 남부시대 2011.06.09 1336 0
2862 부산복합화력지부의 현 상황에 대하여 5 부산 2011.06.03 1337 0
2861 동해 바이오매스 시운전에 지원하라고 해서 힘듭니다 3 싫다 2012.08.09 1337 0
2860 서부노조 위원장은 과연 누구? 1 참극 2014.06.13 1337 0
2859 즉시 박종옥 집행부 일동을 사법 조치하고 제명하여야 한다 15 이상봉 2012.02.07 1338 0
2858 동서는 통상임금 언제 준답니까! 1 조합원 2015.07.15 1338 0
2857 화력발전사업자 선정 재심의, 2월초 공청회 거쳐 최종 확정 전기신문 2013.01.25 1339 0
2856 슬픈약속(뮤비 동영상 역사알기) 여린마음 2013.01.22 1339 0
2855 이광희, 장기성 그리고 동서본부 욕하는 놈들.... 4 호랑이 2011.11.04 1339 0
2854 지역난방공사 정상화 노사합의 완료 1 뉴스룸 2014.06.26 1339 0
2853 동서노조 임단협 부결? 2 동서 2014.12.19 1339 0
2852 전력노조 투표 결과 아시는 분? 4 남동 2016.04.22 1339 0
2851 ★ 발전임직원 복지자금 행사중~! 특별행사 2011.06.14 1340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