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신재생E 체제 ‘보급→지원개념’ 전환

지경 2012.03.30 조회 수 793 추천 수 0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방향이 기존의 보급개념에서 지원개념으로 바뀔 것으로 보인다. 기존 신재생에너지 보급체제가 주택과 건물, 지역 등으로 명확해지는 동시에 구역단위의 보급을 확대키 위해 융합지원 프로그램이 추가로 신설되기 때문이다.

지식경제부는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체제의 현행 그린홈 100만호와 일반보급, 지방보급 프로그램을 주택지원과 건물지원, 지역지원, 융합지원 등으로 변경하거나 신설하고, 기준단가 공지방식을 정액지원으로 전환한다는 등의 내용을 담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체제 개편(안)’을 29일 열린 공청회에서 발표했다.

이 개편(안)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시장이 초기단계를 거쳐 성장기로 진입함에 따라 보급사업의 양적 확대와 질적 확대의 내실화를 기여할 필요가 있음을 정부가 판단하고 재정립한 것.

이 개편(안)에 따르면 그린홈 100만호 사업은 현 사업명칭의 정체성 부족이 고려돼 ‘주택지원’ 프로그램으로 변경된다. 이와 관련 이해관계자 혼선과 프로그램의 정책의지가 약해질 것에 대비한 대책이 마련된다.

일반보급사업도 모호한 명칭의 이유로 ‘건물지원’ 프로그램으로 변경된다. 명칭변경과 함께 정체성이 명확해질 수 있고, 민간·공공부문의 비주택용에 맞는 원별 베스트 믹스가 검토될 방침이다. 반면 시범사업은 추가로 신설되는 융합지원 프로그램으로 이관된다.

지방보급사업의 명칭은 ‘지역지원’ 프로그램으로 변경된다. 이 프로그램과 관련 자급집행실적이 부진한 지방자치단체 등의 예산이 삭감되고, 지방자치단체의 비주택용에 맞는 원별 베스트 믹스가 검토될 예정이다.

융합지원 프로그램은 주택과 민간, 지역건물을 포함한 패키지사업 지원을 위해 추가로 신설된다. 또 수요가 급증하는 구역과 패키지 형태의 안정적인 지원과 R&D 개발사업 적용확대를 위해 실증사업과 시범사업이 포함된다.

이밖에도 시장가격에 대한 조사방식도 개선된다. 그 일환으로 공신력 있는 기관의 전망자료를 활용해 현실성과 객관성을 높이기 위해 기존 기준단가 공지방식이 정액지원으로 변경된다. 또 시장가격과의 밀착도를 높이기 위해 기술별, 용량별 차등(안)도 검토된다.

우수 전문기업 지정제도와 전문기업 등급제도가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도입된다. 우수 전문기업은 기술역량과 관리역량, 신용상태 등을 기준으로 선별될 예정이다.

이날 김준동 지식경제부 기후변화에너지자원개발정책관국장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사업 체제는)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 기업이 평가를 받아 계속 살아남을 수 있는 구조를 만들 것”이라면서 “기존의 경우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기대수준에 따라오지 못해 수술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정부정책은 국내보다 해외지향을 해야 한다”면서 “자국 내에서 경쟁력을 가져야 해외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고 특히 국내에서는 서로가 윈-윈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한다”고 밝혔다.

김형진 신재생에너지센터 소장은 “앞으로 의견수렴을 거쳐 오는 9월 한차례 공청회를 열 계획”이라면서 “연말까지 개편(안)을 확정해 단계적으로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패널토론에서 국자중 태양광산업협회 부회장은 신재생에너지 설치기준 지방보급의 정량적 지표를 만들어 지방의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하고, 지역별 잠재량을 도출해 할당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진민근 신재생에너지협회 본부장은 수요자가 기업을 선택할 때 대기업으로 편중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경쟁력 있는 중소기업의 참여율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091 남제주는 낙동강 오리알 4 한라산 2011.06.10 1672 0
2090 진현주 지부장님 폐기합의서 빨리 가져오세요 조합원 다 떠납니다. 3 울산 2012.11.09 1673 0
2089 박종옥 위원장 그냥 회사명퇴 해라 11 노민추 2012.01.25 1673 0
2088 교대근무 악화로 선호도를 줄이겠다? 5 서부현장 2015.04.13 1673 0
2087 발전노조의 역전극 조합원 2015.06.28 1673 0
2086 태안 사장은 누가? 서부 2017.01.07 1673 0
2085 임금차액소송 1 임금차액소송 2012.06.27 1674 0
2084 전북교육감, 전교조 법외 통보는 위법 참세상 2013.11.06 1674 0
2083 남동 조직 재정비 10 조직 재정비 2011.10.07 1675 0
2082 한국동서발전(주)[사장 이길구], 전자액자로비로 전력대란 준비_02 인과응보 2011.07.27 1676 0
2081 서부돌쇠 김용화니가 태안지부장 폭행? 7 발전서부 2014.06.18 1676 0
2080 찐짜 깨놓고 이야기 해봅시다-노무팀 16 호떡집 2012.11.07 1677 0
2079 동서에는 흉흉한 소문이 돌고 있는것 같습니다 8 조합원 2015.01.20 1677 0
2078 서부노조선거예측 11 남도사랑 2015.02.10 1677 0
2077 보령과 관련된 발전노조 성명서를 보고..... 3 보령 2012.03.20 1678 0
2076 성과연봉제 합의서를 지키려는 동서노조와 회사의 협잡 조합원 2012.11.15 1679 0
2075 노동자 대통령 김소연 후보 홈페이지 / 노동캠프 1 노동자선대본 2012.12.11 1680 0
2074 퇴직연금 과열경쟁에 감독당국 교통정리..7%대 금리 4%대로 낮아져 자운영 2011.05.25 1681 0
2073 618 집회 참가 문의 10 인원이? 2016.06.21 1681 0
2072 태안에 태근이가 3 ㅆㅂ 2014.12.23 1682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