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특정 정파의 정치적 입장을 정치방침으로 강요하는 민주노총 집행부

노동자 2012.03.26 조회 수 812 추천 수 0

김영훈 위원장을 배출한 정파의 정치적 입장이 민주노총의 정치방침으로 되는 현실, 민주노총 지지후보 34명 모두 통합진보당, 민주노총 소속후보 34명 중 3명만 진보신당

 

김영훈 집행부가 추진하는 총선대응 방침은 국민파의 정치적 입장일 뿐

 

민주노동당이 노무현 지지자들이 만든 국민참여당과 합당하면서 그동안 유지되어 왔던 민주노동당에 대한 배타적지지라는 민주노총의 정치방침은 자동으로 폐기되었다. 그러나 이를 대체할 새로운 정치방침을 정하기 위한 대의원대회는 유회와 무산으로 얼룩지면서 아무것도 정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현재 민주노총의 정치방침은 없다. 다만 김영훈 집행부는 그가 속한 국민파라는 민주노총의 한 정파의 정치적 입장을 가지고 총`대선 관련 정치사업을 하고 있다. 김영훈 집행부가 정치방침이라고 추진하고 있는 것은 민주노총 조합원들의 의사를 무시한 국민파의 정치적 입장에 불과하다.

 

대의원대회 무산을 조직한 김영훈 집행부

 

이런 상태에서 김영훈 집행부는 민주노총 내 다양한 정치적 입장들을 수렴해서 대의원대회 토론을 통해서 정치방침을 새롭게 수립하기보다는 2.22 대의원대회 무산을 조직함으로써 집행부가 독단적으로 밀고 나가고 있는 그들만의 정치사업을 민주노총의 정치방침인양 고수하고 있다.

 

김영훈 집행부는 지난해 12월 중앙집행위원회를 통해 총선 선거 방침을 적용할 진보정당으로 ‘통합진보당, 진보신당, 사회당’을 확정했다. 또한 4.11 총선 4대 방침에 따른 △1선거구 1후보 출마(진보진영 후보단일화) △반MB, 반FTA 1:1구도 형성(야권연대) △정당명부 비례대표 집중투표 △세액공제, 당원확대 적극 참여 등의 안건을 승인하기도 했다.

 

통합진보당은 진보정당이 아니다.

 

이렇게 김영훈 집행부는 통합진보당을 진보정당이며 노동자가 지지해야 할 정당이라고 하는데 이것 역시 억지에 불과하다. 구 민주노동당은 진보정당으로서 지녀야 할 최소한의 두 가지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하나는 자본주의를 극복하겠다는 강령, 둘째로는 당이 노동자가 중심이라는 것이 그것이었다. 그러나 민주노동당은 노무현 정권에서 신자유주의를 주도해왔던 세력인 국민참여당과 합당하면서 이 두 가지 정체성 모두를 버렸다. 그렇기 때문에서 김영훈 집행부를 배출한 정파인 국민파를 제외한 나머지 정파인 현장파와 중앙파는 통합진보당은 더 이상 진보정당이라고 할 수 없기 때문에서 통합진보당을 민주노총이 지지해서는 안 된다고 한 것이다.

 

이럼에도 불구하고 김영훈 집행부는 비례대표 집중투표라는 방침을 결정하면서 민주노총 내 국민파라는 정파조직을 동원해서 여론조사를 하고 그 결과로 정당명부 비례대표 집중투표 대상으로 통합진보당으로 결정했다고 조합원들에게 통보하였다. 이 여론조사의 편파성, 특정 정파원들만의 응답조직 등이 현재 여론조작의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통합진보당을 지지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하여 결과적으로는 통합진보당에 대한 배타적 지지로 몰아갔다는 것이 대다수 조합원들의 의견이다.

 

정당명부 비례투표 지지정당 결정은 여론조작에 가깝다.

 

김영훈 집행부는 다음과 같이 여론조사를 실시해서 통합진보당을 정당명부 비례대표 지지정당으로 결정하고 밀어붙이고 있다. 민주노총 조합원은 총 67만7790명인데 여론조사 표본으로 22만 명을 선정하고 이중 응답자는 2만4천명이었는데, 응답자 중 80%가 통합진보당 지지자들이었다. 결국 총 조합원 중 2.8%가 비례대표 배타적 지지정당으로 통합진보당을 결정한 것이다. 사실 이런 여론조사는 제도권의 보수정당도 차마 하기가 낯부끄러운 행태이다. 통합진보당의 공동대표인 이정희가 야권경선에서 여론조작으로 사퇴한 것도 이들의 습관화된 이런 행태로 인한 것이다. 목적을 위해서는 수단과 상식을 모두 무시한다는 것이 김영훈 위원장이 소속되어 있는 정파조직의 기본원칙으로 보여질 정도다.

 

현재까지 민주노총이 지지해야 할 진보정당은 진보신당뿐이다.

 

김영훈 민주노총 집행부의 이런 편파적이고 조작적인 비례대표 집중투표 대상 정당 결정 여론조사로 민주노총 후보 34명 중 통합진보당 소속 후보는 31명인 반면, 진보신당 소속 후보는 재보궐 선거 후보 1명과 지역구 선거 후보 2명 등 3명에 불과하다. 비례후보 역시 통합진보당 후보들로만 선정됐다. 재보궐 선거와 지역구 선거에서 민주노총 지지후보는 모두 통합진보당 소속 후보들이다.

 

진보신당은 김영훈 집행부의 잘못되고 편파적 정치방침에 반발해서 민주노총 후보, 지지 후보 신청에 참가조차 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성폭력사건 해결과정에서 문제를 야기하여 피해당사자로부터 사퇴요구를 받고 있는 전교조 출신의 정진후 통합진보당 비례대표 후보는 민주노총의 지지후보가 된 반면 같은 조직 출신의 장혜옥 진보신당 후보는 지지후보에서 제외되었다.

 

야권연대가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 양 당 중심으로 진행되고 진보신당이 배제되면서 ‘1선거구 1후보 출마’라는 후보단일화도 어그러진 상태다. ‘3자통합당 배타적 지지 반대와 올바른 노동자계급정치 실현을 위한 민주노총 조합원 선언운동본부’는 성명서를 내고 “민주노총 집행부는 분열을 부추기고 있는 총선방침에 대해서도 적절한 기구와 절차를 통한 즉각 수정에 나서야 한다”며 “앞으로 이어질 정치방침 논의 과정에서도 ‘패권’에 기대기보다는, 진중한 논의와 폭넓은 의견수렴을 통한 조직적 합의를 우선에 둬야 한다”고 했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010 발전노조위원장님이제결단을내리십시요 8 신하동 2011.06.06 1264 0
3009 투쟁경과 보고 [현대판유배제도 폐지] 남제주화력지부 2014.03.28 1264 0
3008 [펌] 민주노총 총파업 성사와 박근혜 정권 퇴진을 위한 노동자 서명(2차 서명) 노동자연대 2016.11.08 1265 0
3007 ★★ 동서기업별 통상임금소송 합의서 또 있는거 아닌가? ★★ 1 양아치 2012.11.08 1266 0
3006 한전 노사합의없이 구조조정가능 1 발전노동자 2014.06.29 1266 0
3005 집, 더 이상 투자 목적으로 사지 마 부동산 2014.12.31 1267 0
3004 하동지부장 메일에 대한 이상봉조합원의 단상(?) 8 하동조합원 2011.05.12 1268 0
3003 배후조정자 문부장이 보면 좋은 글 7 조합원 2012.01.04 1268 0
3002 사장 및 일부간부를 위해 우리가 희생하는 이유는 뭔가? 4 직원 2015.05.29 1268 0
3001 남부기업별노조 추진과 양재부 9 다안다 2011.06.03 1269 0
3000 5번째 삭제된 글을 다시올리며...공식 조사를 요구합니다. 6 노동자 2011.11.27 1269 0
2999 혁신 협약? 막장협약 ㅎㅎ 2014.08.12 1269 0
2998 서부 팀별평가 시행의 진실은 무엇인가? 4 궁금해 2015.07.09 1269 0
2997 남부 조합원이 김갑석이에게 6 조합원 2011.06.03 1270 0
2996 남부 기업별 추진위 믿을 수 있나요? 6 생각 2011.06.07 1271 0
2995 남부발전 성과연봉제 도입되나? 남부하동 2016.12.27 1271 0
2994 정부의 퇴직연금법 개정안의 독소조항-- 노동조합 또는 다수노동자의 동의절차 축소 퇴직연금법 2011.05.05 1272 0
2993 동서본부 집행부에 대한 제명을 요구합니다. 5 당진조하번 2011.11.02 1272 0
2992 퇴직연금 분란 일으킨 군산 신동호지부장 훌륭하십니다. 13 동호싫어 2011.05.10 1274 0
2991 약속위반! 배신!! 회사가 발전노조하고 임금 타결안한다고 했는데.. 1 중부노조 2011.12.11 1274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