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통합진보당 이정희, 윤원석, 정진후 사퇴해야

진보신당 2012.03.21 조회 수 1040 추천 수 0

진보신당, “이정희, 윤원석, 정진후 후보 사퇴해야”

 

“사퇴 거부 시 ‘진보’의 이름 더럽히는 꼴”

 

윤지연 기자 2012.03.21 10:56

 

 
통합진보당이 이정희 대표의 관악을 여론조사 조작, 윤원석 후보의 성추행 전력 등으로 최대 위기를 맞이한 가운데, 진보신당이 이정희, 윤원석, 정진후 후보 등의 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진보신당은 21일, 논평을 발표하고 “이정희 후보와 윤원석 후보는 국민 앞에 반성하고 후보직을 사퇴하는 것이 맞
다”며 “그렇지 않는다면 통진당의 당명 자체가 ‘진보’의 이름을 더럽히는 꼴이 될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진보신당은 이정희 후보의 관악을 경선 부정투표와 관련해 “이정희 후보의 재경선 주장은 부정투표 당사자로서 반성을 커녕 매우 뻔뻔한 행태일 뿐”이라며 “문제가 일어나면 보좌관의 실수나 과잉충성으로 덮어씌우는 보수정치의 행태와 무엇이 다른가”라며 강도 높게 비판했다.

 
성남중원 윤원석 후보의 성추행 전력 역시 “성추행 가해자를 떡하니 공천하고 그것도 경선지역도 아닌 민주통합당 용퇴지역으로 선정한 것 또한 통진당의 허술한 후보 검증 시스템과 여성주의에 무딘 감수성을 알 수 있게 한다”며 “그동안 강용석, 최연희 등 수많은 보수 정당 정치인들의 뻔뻔한 자리보전에 그토록 치열하게 싸워온 진보진영과 여성진영의 싸움의 성과를 무로 돌리는 일은 반드시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통합진보당 비례후보로 출마한 정진후 전 전교조 위원장의 공천 당시에도 성추행 은폐와 2차 가해 의혹에 대한 논란이 일어, 진보신당은 당시에도 정진후 후보에 대한 사퇴 의사를 표명하고 나섰다.

 
박은지 대변인은 “통합진보당은 정진후 전 전교조 위원장 공천 당시 성추행 은폐와 2차가해 의혹에도 불구하고 공천을 확정했다”며 “진보신당은 정진후 전 위원장 역시 사퇴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전했다.

 
한편 진보신당은 “통진당이 제대로 순항하려면 이 모든 문제를 일으킨 일부 세력에 대해 당의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충고했다.
 
 
20120321_2860_01_001.jpg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050 남부노조의 선택 6 남부 2012.07.26 6300 0
3049 인물과 노동조합 5 ( 레닌 2 ) 제2발 2012.03.20 869 0
3048 원자력마피아들 (정부, 학계, 한수원, 건설업자, 규제기관) 노동자 2012.03.20 825 0
3047 수명이 만료된 핵발전소 폐기하자! 녹색당 2012.03.20 817 0
3046 인물과 노동조합 6 ( 그람시 2 ) 제2발 2012.03.22 906 0
3045 희생자 구제심사위원회는 언제 심사위 2012.03.20 767 0
3044 보령과 관련된 발전노조 성명서를 보고..... 3 보령 2012.03.20 1678 0
3043 인물과 노동조합 6 ( 그람시 1 ) 제2발 2012.03.21 793 0
3042 수요관리 중심으로 전력정책을 바꿔야 1 노동자 2012.03.21 714 0
통합진보당 이정희, 윤원석, 정진후 사퇴해야 진보신당 2012.03.21 1040 0
3040 고리원전 운영일지도 조작, 사고은폐도 체질화 노동자 2012.03.22 864 0
3039 고리, 보령발전 사고는 공기업선진화의 결과 노동자 2012.03.23 1437 0
3038 다시 정몽준에게 승리할 것인가 ? 김순자 2012.03.23 917 0
3037 남동 1,2직급 발령 발령남동 2013.05.03 3352 0
3036 전력그룹사, 기관장 거취 '초미관심' 1 시사인 2013.05.03 3731 0
3035 매일노동뉴스 메인 반대 2013.03.29 2389 0
3034 공기업 정책연대(의장 김주영) ㅋㅋ 1 니들이 2013.03.29 3147 0
3033 한전 통합이냐? 분할 경쟁이냐? 1 전기신문 2013.04.01 4415 0
3032 경 선봉 서부 발전.!! 축 서부 2013.03.28 2427 0
3031 전시 작전통제권과 자주성 숲나무 2013.07.30 2953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