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한수원 사장도 모르고 있었던 고리원전 사고

노동자 2012.03.16 조회 수 1037 추천 수 0

(고리 1호기 사고)

 

발전기 보호장치를 시험하던 중

용역업체 직원의 실수로

외부 전원과의 연결차단기를 작동시켜

12분간 원자로 냉각수를 돌리는 전원이 상실되었다.

해당 직원은 6년간 일해 온 숙련공이었다.

 

이처럼 대부분 원전사고는 사람의 실수나 원전이 안전하다는 맹신에서 비롯되었다.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전력당국은

전원 상실사고에 대비해서 비상발전기뿐만 아니라 비상전원까지 3중 전력공급체계를 갖추었다고 자랑하였다. 그러나 사고 당일 비상발전기는 고장으로 가동되지 않았고 수동 비상교류발전기도 가동하지 않았다. 3중 전력 공급망이 순식간에 무력화되고 최악의 경우 핵연료봉이 녹아내릴 뻔 했다.

 

이렇게 될 경우

발전소에 근무하는 노동자와 지역주민은 피할 겨를 도 없이 치명적인 방사능에 노출된다.

 

(고리1호기 사고 후 진행과정)

 

2.9 사고발생

문병위 고리 1발 소장은 사고 사실을 외부에 알리지 않기로 결정하다.

그 날 김종신 한수원 사장은 지식경제부에서 원전안전 대책을 주제로 기자회견을 하였다.

한 달 동안 사고 사실을 쉬쉬하다가

김수근 부산시 의원이 2.20 우연히 음식점에서 사고소식을 듣게 되었다.

3.6 고리 1발전소 소장과 본부장은 인사발령으로 교체되었다.

김 의원은 3.8 고리원전 대외협력처장에게 문의하였지만 모른다는 답변을 들었다.

한수원은 3.11 신임 본부장이 사장에게 사고소식을 보고했다고 한다.

사장은 지식경제부와 한국원자력안전위원회에 3.12 사고 사실을 보고했다.

원전관리의 총책임자인 김종신 사장은 한 달 동안 사고 사실조차 모르고 있었다.

 

 

(사고가 일어난 후에도 국제적으로 원전 안전홍보 계속)

 

고리1호 원자력발전소는 사고를 한달 이상 은폐하는 동안에도 외국언론사 취재진을 초청하여 원전의 안전성을 알리는 행사를 실시했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초청으로 3.26 열리는 핵안보정상회에 참가하는 나라의 해외 유력언론사 취재진 16명이 한수원 보사를 방문하고 3.1에는 고리원자력까지 시찰하여 한국 원전의 안전성을 홍보하였다. 당시 취재진들은 세계적 수준의 원자력 기술 보유국으로 한국을 재조명할 수 있는 기회였다고 호평하였다고 한다.

 

(1986년 체르노빌 원전사고)

 

작업자들의 전기 출력을 높이는 실험을 하던 중

상황을 통제하지 못하는 일이 일어났고

원전 출력이 통제수준 이상으로 높아지고

원자로가 제어폭을 벗어나 폭발하였다.

당시 구소련은 체르노빌이 가장 안전하다고 했다.

이전에도 체르노빌 원전은 기술적 문제로 71회 긴급 정지한 사례가 있었다.

사고가 난 뒤에도 쉬쉬하다가 스웨덴 정부가 방사능 유출 의혹을 제기하자 인정했다.

(1979년 스리마일섬 원전사고)

 

작업자가 원자로 이상으로

자동 작동한 긴급 노심 냉각장치를 한동안 멈추게 하는 바람에

핵연료봉이 녹아내렸다.

 

(2011년 후쿠시마 원전사고)

 

원자력 민간 운영업체인 도쿄전력은

큰 지진과 쓰나미에 대비해야 한다는 사전 경과와 예측을 무시하였다.

사고 뒤에도 사고규모를 축소`은폐하여 지역주민들이 방사능에 그대로 노출되었다.

일본도 자신들의 원자력이 세계 최고의 안전성을 가지고 있다고 자랑하고 있었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270 지구가 불타고 있다. 숲나무 2022.07.15 37 0
269 CPTPP라는 초신자유주의 숲나무 2022.07.19 31 0
268 기다릴만큼 기다렸나? 숲나무 2022.07.19 42 0
267 CPTPP 문제점과 노동자민중의 과제 숲나무 2022.07.18 27 0
266 이번 대의원대회는 대전근처에서 하면 좋겠습니다. 2 대의원 2022.04.14 117 0
265 6.1 지방선거에 대한 약평 숲나무 2022.06.02 46 0
264 6.1 지방선거 평가 1 : 전체 및 진보정당 결과 숲나무 2022.06.04 23 0
263 화물연대 6.7 안전운임제 총파업 돌입 숲나무 2022.06.06 21 0
262 [이호동]을 기억하시요! 다시 싸워야 할 때가 되는 듯..... 무더운 여름이 될듯 합니다.... 1 발전인 2022.04.29 90 0
261 수도 전기 가스 철도 민영화 신호탄 쏘다..... 민영화 귀신 2022.04.29 81 0
260 "남는 전기" 오류 블랙다운 2022.04.29 69 0
259 화물연대, 무기한 총파업 돌입 / 안전운임제 폐지 말라 숲나무 2022.06.08 22 0
258 새 책! 『들뢰즈 다양체 : 편지와 청년기 저작, 그리고 알려지지 않은 텍스트들』 질 들뢰즈 지음, 다비드 라푸자드 엮음, 서창현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2022.06.08 22 0
257 시장기반이나 민간개방이나 모두 민영화다. 숲나무 2022.08.04 23 0
256 (배교수 현장직강) 집에 선풍기들은 다 있지? 숲나무 2022.08.05 26 0
255 화물연대 파업 4일차 숲나무 2022.06.10 24 0
254 지방선거 이후, 민주노총 대정부투쟁 본격화 숲나무 2022.06.12 23 0
253 복지 서비스 아직도 유효한지요? 1 지나가다 2022.06.12 53 0
252 교섭창구단일화제도 위헌 촉구 집중투쟁 숲나무 2022.06.15 26 0
251 우리나라 에너지정책의 성공을 바라는 청원 이정태 2022.06.15 32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