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인물과 노동조합 3 (바뵈프 2)

제2발 2012.03.15 조회 수 858 추천 수 0

 

최초의 공산주의자 바뵈프 2

 

 

프랑스에서 다가오는 혁명을 위해 사람들을 깨우쳐 주던 위대한 인물들은 스스로 혁명적인 행동을 하였다. 그들은 모든 외적 권위를 인정하지 않아서 종교, 자연관, 사회, 국가제도 등 그 모든 것들을 무자비하게 비판하였다. 모든 것들은 이성의 심판대에 세워졌다. 과거의 모든 사회형태와 국가 형태 그리고 모든 전통적 관념은 불합리한 것으로 인정되어 쓰레기 통으로 던져졌다. 이성이 왕국이 태어나면서 미신, 부정, 특권, 압박은 진리, 정의, 평등, 인권에 그 자리를 내어주어야 했다.

 

그러나 그들의 이성의 왕국이란 부르주아 왕국의 이성화에 지나지 않았다. 정의는 부르주아 법질서로 실현되고 평등은 법률 앞에서의 부르주아적 평등이었고 인권은 부르주아적 소유였다. 이성 국가는 부르주아 민주공화국으로 실현될 수밖에 없었다. 18세기 위대한 사상가들도 시대가 설정한 한계를 벗어날 수 없었다.

 

따라서 프랑스 혁명이 비록 봉건제에 대항한 부르주아지들의 투쟁인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이었지만 봉건귀족과 부르주아 사이의 대립과 아울러 착취자와 피착취자, 부자와 빈자 사이의 일반적인 대립도 혼재하여 있었다. 다만 부르주아지가 당시에 고통 받는 모든 계급의 대표자로 나선 것뿐이었다. 그 모든 계급의 대표자인 부르주아지는 내부에 자신이 착취해야 할 대립물인 노동자를 내포하고 있었다. 중세시대 동업조합의 장인이 부르주아로 발전했다면 동업조합의 직인과 날품팔이는 노동자로 전락하였다. 따라서 부르주아 투쟁의 발전 속에는 노동자 계급의 투쟁도 같이 성장해갔다. 독일 농민혁명 당시의 종교개혁과 함께 토마스 뮌쩌의 운동, 영국 대혁명 당시의 수평파 운동, 프랑스대혁명과 바뵈프 운동의 그러하다.

 

역사적으로 미숙단계에 있는 이런 피착취계급의 혁명적 무장봉기에는 이에 상응하는 이론이 뒤따랐다. 18세기에 이르러 모렐리와 마블리의 공산주의 이론이 나타나 정치적 권리뿐만 아니라 평등에 대한 요구가 사회적 지위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특권뿐만 아니라 계급 자체도 폐지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첫 공산주의 이론은 모든 향락을 금하는 금욕적 스파르타식 공산주의 형태로 나타났다. 이어서 생시몽, 푸리에, 오언 등의 공상적 사회주의자들이 나타났다. 그러나 이 세 사람은 역사적으로 발생한 노동자 계급의 이익을 대변하는 자로 나서지 않았다. 그들은 계몽사상가들과 마찬가지로 어떤 특정한 사회계급을 해방하려 하지 않고 인류 모두를 해방하려 하였다. 그렇지만 그들은 계몽 사상가들의 부르주아 체제 또한 봉건제와 마찬가지로 불합리하고 불공정한 것으로 이것 또한 쓰레기통에 버려야 했던 것이었다. 그들은 진리가 바르게 인식되기만 하면 참된 이성과 정의가 실현될 수 있다고 보았다. 이들의 주장은 비역사적이고 비경제적이었다.

 

혁명을 준비하고 있던 18세기 철학자들은 유일한 심판자로 이성에 호소하였다. 그러나 그 영원한 이성이란 당시 부르주아로 발전하고 있었던 중산 시민의 이상이었을 뿐이었다. 프랑스 혁명으로 이성사회와 이성국가가 이룩되었을 때 매우 합리적이기는 하였지만 절대 이성적인 것은 아니었고 이성 국가는 파산하였다. 자기 자신의 정치적 능력을 믿지 못한 부르주아지는 처음에는 집정 정부를 매수하고 나중에는 나폴레옹 전제 정치를 비호하는 데서 피난처를 구했다.

 

빈부의 대립은 점점 첨예해졌고 이 대립을 완화하던 교회의 자선시설은 폐지되었다. 봉건적 질곡으로부터 소유의 자유가 이루어졌지만 농민이나 소부르주아들은 경쟁에 압도되어 자신들의 조그만 재산을 대자본과 대지주에게 넘겨야 했다. 공업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노동자의 가난과 궁핍은 사회 존립의 필수 조건이 되었다. 범죄는 늘어갔고 비밀스러운 부르주아적 죄가 더 성행하게 되었다. 상업은 사기가 되어 갔고 박애라는 혁명 표어는 경쟁에서 사기와 질투로 실현되었다. 폭력적 억압대신 매수가, 칼 대신 돈이 사회 권력의 가장 중요한 지렛대가 되었다. 초야권은 봉건영주에게서 공장주로 넘어갔고 매음이 번창하였다. 결혼은 법적으로 승인된 매음이었고 무수한 간통으로 보충되었다.

 

당시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 사이의 대립은 아직 발달하지 못한 상태였다. 영국에서 대공업이 생겨났고 프랑스에는 아직 없었다. 프랑스혁명에서 한 때 파리의 무산대중이 권력을 잡기는 하였으나 오랫동안 지배할 수 없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당시 노동자 계급은 일반 무산대중으로부터 떨어져 나와 독자적인 정치행동을 할 수 없었다. 노동자 계급은 스스로 자신을 구원할 능력이 없었으므로 외부의 도움을 받아야 했다. 초기 사회주의 창시자들의 관점은 바로 미숙한 자본주의 발달상태와 미숙한 계급관계에 상응하여 미숙한 이론에 머물렀다. 이런 상황에서 사회적 과제의 해결책은 머리속에서 꾸며졌으며 그것이 바로 공상적 사회주의가 되었다.

 

참고자료

[공상에서 과학으로의 사회주의의 발전, 엥겔스 1880] 대부분 인용

[프랑스 대혁명사, 알베르 소부울] 일부 인용

[민중의 세계사, 크리스 하먼] 일부 인용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129 1천5백명의 생존권이 김용진이 싸인 한장에 사라졌단 말이다. 2 능지처참 2012.11.10 1227 0
3128 부패척결추진단, 화력발전소 부품납품 비리 12개 업체 적발 납품비리 2015.03.09 1227 0
3127 삼척조합원도 발전노조 조합원이다. 1 죽서루 2011.05.02 1228 0
3126 이백만원씩 나누자 6 이백만원 2011.12.29 1228 0
3125 직권조인 무효??? 1 조합원 2012.11.08 1228 0
3124 성과연봉제는 "빛 좋은 개살구"라네 1 성과연봉제 2016.12.27 1228 0
3123 윤상직 신임 지경부 장관의 에너지 정책 전기신문 2013.03.13 1229 0
3122 발전노조는 각성하라 1 발전노조 2011.05.02 1229 0
3121 ‘발전노조 죽이기’에 청와대·지경부·경찰 개입 한겨레 2012.10.09 1229 0
3120 이제는 퇴직연금제 논란을 종식합시다 2 상근자 2011.05.06 1230 0
3119 한국동서발전 사장 이길구 백서 020 동서사과 2011.10.20 1230 0
3118 동서는 어떤분들이 징계를 받으셨나요...참으로 개탄할 지경입니다...혹시 울산지부장이해고를 당했나요 당진 2011.11.15 1230 0
3117 양수조합원은 발전노조조합원인가 안조합원인가? 1 이상봉 2011.11.28 1230 0
3116 한국경제의 위기, 새누리당 노조, 강만수 노동과정치 2012.06.07 1230 0
3115 위원장 직권조인 악습이 존재하는 회사가 어딥니까? 1 기업 2012.08.23 1230 0
3114 "엄중히 처리"하라던 MB에 청와대는 '초토화' 비리천국 2012.07.14 1230 0
3113 발전 현장의 발피아 1 발피아 2014.06.22 1230 0
3112 원전 이어 화력발전소에서도 납품비리 ‘충격’ 청렴1등 2015.01.24 1230 0
3111 서부3일씩근무. 가정이 무너지고 있네요. 5 읍내동현대 2015.05.05 1230 0
3110 제대루 한것 하나도 없는 애가 아는척하기는 !! 2 보령화력 2011.04.29 1231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