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부러진 화살!

하이로 2012.02.06 조회 수 795 추천 수 0

불의가 정의를 짓밟은 사건이 문제의 발단이었더군요.

-------------------------------------------------

<`판사 테러' 발단 성균관대 본고사 수학문제>

 

[핫이슈] 판사 석궁 피습 사건

 

판사 석궁테러, 문제의 소송내용은?

수학자는 왜 싸우는가

김명호씨, 본고사 오류 의혹제기로 정직

 

학계 중론 "문제 자체 성립 안돼"..공식적으론 `침묵'

 

해외 석학들 잇단 항의서한..`국제망신' 지적까지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전직 대학교수가 판결에 불만을 품고 저지른 `판사 테러' 사건의 발단이 된 수학문제 출제 오류 논쟁은 12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성균관대는 1995학년도 대학별고사 수학Ⅱ의 7번에 서술형 주관식 문제를 출제했다. 당시는 대학별 본고사가 시행되던 때였다.

 

문제는 "영벡터가 아닌 세 벡터 a, b, c가 모든 실수 x, y, z에 대하여 |x a + y b + z c|≥ |x a| + |y b|을 만족할 때, a⊥b, b⊥c, c⊥a 임을 증명하라"는 것이었다.

 

이 문제의 전제 조건은 `영벡터가 아닌 세 벡터 a, b, c가 존재해 모든 실수 x, y, z에 대하여 |x a + y b + z c|≥ |x a| + |y b|을 만족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전제 조건에 나온 부등식이 모든 실수 x, y, z에 대해 항상 성립한다고 가정하고 문제를 풀면 a, b, c는 모두 영벡터일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다.

 

즉 문제의 전제 조건 자체에 모순이 있는 것이다.

 

채점위원이던 김명호 당시 성균관대 수학과 조교수는 이를 지적하고 이 문제에 대해 전원 만점 처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학교측은 이에 대처하기 위해 나름의 `모범답안'이라는 것을 내놨다.

 

"해당 문제를 `영벡터가 아닌 세 벡터 a, b, c와 모든 실수 x, y, z에 대해 조건명제 p이면 조건명제 q'라는 방식으로 바꿔 쓰도록 하자. 그런데 전제조건 p를 모든 실수 x, y, z에 대해 만족하는 영벡터가 아닌 벡터 a, b, c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조건명제 p의 진리집합은 공집합이다. 이는 조건명제 q의 진리집합의 부분집합이다. 따라서 `p→q'라는 조건명제는 참이다"라는 내용이었다.

 

다시 말해 학교측이 `모범답안'이라고 내놓은 것은 `문제 자체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점을 보이라'는 내용인 것이다.

 

김씨 재임용 탈락 당시 서울대 등 전국 44개 대학 수학과 교수 1백89명은 "문제 자체가 성립하지 않으며 성균관대에서 제시한 `모범답안'은 문제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호도하기 위한 방편으로 보인다. 김씨의 이의 제기는 정당했으며 이를 둘러싼 갈등이 인사에 영향을 미쳤다면 매우 잘못됐다"라는 내용의 연판장을 당시 재판부에 제출하기도 했다.

 

김씨의 재임용 탈락이 1997년 들어 세계 수학계에 알려지면서 한국 수학계와 과학계가 `국제 망신'을 당하기도 했다.

 

세계 양대 과학지 중 하나인 `사이언스(Science)'는 `올바른 답의 비싼 대가(The High Cost of a Right Answer)'라는 제목으로, 수학 분야 국제학술지 `매서매티컬 인텔리전서(Mathematical Intelligencer)'는 `정직의 대가?(The Rewards of Honesty?)'라는 제목으로 김씨 해직 사건을 다뤘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모두 김씨를 지지하는 내용이었다.

 

대한수학회와 고등과학원 등이 1997년 당시 1심 재판부로부터 의견 제출 요구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계속 회피하자 세계 수학계의 거장들이 한국 학계의 자정 노력을 촉구하는 항의성 서한을 잇따라 보낸 일도 있었다.

 

미국수학회 회장을 지낸 로널드 루이스 그레이엄 캘리포니아대 샌디에이고 석좌교수는 "해당 가정이 만족되는 경우가 없고 해당 문제를 채점에서 제외하거나 모든 수험생을 만점 처리했어야 한다는 김씨의 주장이 옳다는 것이 내 의견"이라고 말했다.

 

수학의 여러 분야에 업적을 남기고 유명한 학부 및 대학원 교과서를 여러 편 저술한 서지 랭 예일대 명예교수는 "문제를 바로잡기 위해 국제 수학계에 호소해야 할 정도로 상황이 확대됐다는 것 자체가 이미 불행한 일"이라며 김씨를 옹호했다.

 

20세기의 가장 위대한 기하학자 중 하나로 평가되는 마이클 아티야 에딘버러대 명예교수는 "한국 과학의 국제적 입지와 평판을 위한다면 김 박사 사건을 조사하고 김 박사에게 합당한 지지를 보내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그러나 한국 과학계는 이런 항의와 조언에도 불구하고 공식적인 침묵으로 일관했으며 이것이 결국 10년 뒤 `법관 테러'라는 비극으로 이어졌다.

 

오늘  KRX의 한화 사태를 보면서 10년후 어떤 일이 벌어질지 우려되는 상황이지요 !

 

 

1개의 댓글

Profile
안타깝소
2012.02.06

석궁테러 기사를 언론에서 본적이 있다

근데 윗글의 내용을 읽어보니 본질적으로 잘못된 사건이라는 생각이든다

헌데 왜 문제의 대학교는 김명호의 주장을 외면하고 재임용에서 탈락 시켰으며

법원은 왜 학교의 손을 들어줬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다

학교도 나름의 인사위원회라던지 뭔가 심도있는 회의가 있었을 것이고

법원의 판사들도 고뇌에 찬 결단을 내렸을텐테 왜 그랬을까 하는 의문이다.

좌우간 요상한 세상이다. 세상은 요지경!!!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929 서부대의원들 참 잘 했어요 9 수안보 2015.04.17 1414 0
1928 모이자! 광화문으로 가자~~청와대로 fortree 2015.04.17 1060 0
1927 성과연봉제 도입 묘수 2 30대 2015.04.19 1542 0
1926 남부발전 삼척화력 남부노조 소식! 3 정치판 2015.04.20 1497 0
1925 보령지부 홈페이지에서 발췌) 중부발전 개선 되어야 할 부분들 1 보령지부홈페이지 2015.04.20 1219 0
1924 양수는 초과근무중 9시간만 반납하고 이전 근무형태 및 특근발생 유지 발전 2015.04.20 1223 0
1923 [단독]정부 전력산업 구조조정… 발등 찍힌 민간발전 (아주경제) 2 민자발전 2015.04.21 1836 0
1922 세월호는 총파업의 물결을 타고 가야한다 fortree 2015.04.21 782 0
1921 이런데도, 우리는 더 기다라고 더 참아야할까? 3 fortree 2015.04.23 1369 0
1920 [긴급 공개수배] 중부랑 동서 조합원들 봐라. 김찍찍 2015.04.24 1568 0
1919 현장 뜯어먹는 파렴치한 본사 4 서해교대 2015.04.25 1568 0
1918 연간 25일 휴가 언제 쓰나 3 웨스턴 2015.04.25 1861 0
1917 서부 근무형태 9 서부 2015.04.26 1583 0
1916 노조위원장이란 3 방글이이 2015.04.26 1720 0
1915 더 큰 집회, 더 큰 시위, 더 큰 파업으로 제2의 6월 항쟁을 fortree 2015.04.28 862 0
1914 서부 교대근무자들은 지금 엄청난 모순속에 빠져있는것은 아닌가? 14 서부바보 2015.04.29 1694 0
1913 발전노조 정기 대대에서 조합원 두 명을 징게했다는 소문이...!? 5 BTG 2015.04.29 1745 0
1912 국민들의 '여가 있는 삶' 보장위한 법적근거 마련 부러운 삶 2015.04.30 833 0
1911 통상임금 변론기일 연기 3 통상임금 2015.05.04 1507 0
1910 나이트 힘들다 14 서부 2015.05.01 1654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