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에너지 소비 '저소비형 국가'로 전환

지경 2012.01.26 조회 수 749 추천 수 0
지난해 에너지소비 증가율이 경제성장률 보다 밑돌았고, 에너지 소비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산업 부문의 에너지 효율도 꾸준히 개선돼 저소비형으로 전환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식경제부는 '2011년도 에너지 총조사' 결과 2007년부터 2010년까지 에너지소비 증가율이 5.8%로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8.9%보다 낮았다고 19일 밝혔다.

정부의 공공·대형건물에 대한 소비효율화, 온도규제 등의 정책 추진으로 상업·공공부문의 에너지원단위가 대폭(8.0%) 개선된 것으로 조사됐다.

에너지원별로는 2007년에 비해 도시가스(13.2%), 석탄(12.5%), 전력(9.8%) 등의 소비증가율이 대폭 증가했으며, 석유 소비증가율은 2.3%로 상대적으로 둔화됐다.

특히 석유의존도는 2007년 57.9%에서 2010년 55.9%로 2.0%P 감소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평균 석유의존도(2009년 기준 49.8%)에 접근했다.

부문별 소비 추이로는 모든 부문에서 에너지소비가 증가한 가운데 산업부문이 최종에너지소비의 56.8%를 차지하고, 이중 제조업이 여전히 산업부문 소비의 94.8%를 점하고 있다.

수송부문은 최종에너지소비의 23.2%를 차지했다. 수송부문에서는 자가용 차량 및 운수분야의 물량 증가로 2007년 대비 에너지 소비가 6.5% 증가했다.

상업·공공 부문은 최종에너지소비의 8.7%를 차지했다. 특히 이 부문은 2010년 현재 전력의존도는 65.1%로 다른 부문에 비해 전력, 가스의 소비 비중이 높은 것이 특징이었다.

가구 부문의 최종에너지소비 점유율은 11.3%로 조사됐다. 이상기온에 따른 냉난방수요 증가와 가전기기 대형화 등으로 석유를 제외한 모든 에너지소비가 증가했다.

특히 1인 가구 수 증가로 가구당 에너지소비는 소폭 감소했으나, 가구 1인당 에너지소비량은 2007년 대비 9.0% 증가했다.

이호준 지경부 에너지자원정책과장은 "우리나라 에너지 소비구조가 저소비형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라며 "이번 조사결과를 주요 에너지자원정책 수립 시 적극 활용하고, 현재 3년마다 실시하는 조사주기의 단축 및 표본수 확대 등의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3391 (추천) 복지자금 본부 2014.08.07 1855 0
3390 남동발전 등 5개 발전사 10년간 ‘일감 몰아주기’ 4200억 비리척결 2014.08.06 1041 0
3389 한국동서발전, ‘발전비리 그림자’ 언제쯤 벗을까 정도경영 2014.08.06 1537 0
3388 서부의 돌쇠장군과 그 잔당들(대학학자금 지켰다고. ...) 70 돌쇠장군 2014.08.06 1555 0
3387 서부, 대학 학자금 제도 11 개탄 2014.08.05 1625 0
3386 투쟁하는 노동자들과 <맑시즘2014>에서 함께 토론해요! 맑시즘 2014.08.03 741 0
3385 동서노조가 회사아 31일 전격합의하고 사업소 설명회를 4 동서노조 2014.08.01 2048 0
3384 으악, 또 안전사고....!!! 3 학암포 2014.07.30 1387 0
3383 한수원 공공기관 정상화 잠정합의안 가결 1 소식통 2014.07.28 1479 0
3382 홈페이지 잘 보고 있습니다. 3 **감사 2014.07.27 1070 0
3381 서부 궁금합니다. 8 서부 2014.07.24 1827 0
3380 서부노조 노사합의서는 유효하다. 6 노무사 2014.07.21 3873 0
3379 서부인 여러분 모두 아래 한국서부발전노동조합으로 오세요... 3 서부인 2014.07.21 1887 0
3378 순환근무좀 합시다 2 하감포 2014.07.20 1532 0
3377 서부는 혼란스럽습니다 3 석정리 2014.07.20 1578 0
3376 에너지 산업 활성화 조합원 2014.07.19 1397 0
3375 하동소식지를 보고 한가지 정보를.... 4 딴지는 아님 2014.07.19 1385 0
3374 [새책] 무지개 속 적색: 성소수자 해방과 사회변혁 책갈피 2014.07.18 861 0
3373 김x한이 보거라 8 서부 2014.07.18 1721 0
3372 월급이 반으로 깎여서 못살겠네요.~~ 2 월급이 중요 2014.07.17 1698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