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신임과 불신임의 차이

조합원 2012.01.09 조회 수 823 추천 수 0

노동조합의 위원장은 총회에서 과반의 참여와 과반의 득표로 선출된다.

 

그러나 위원장이 임기 내에 어떤 이유에 의해 그 직을 그만두어야 할 경우는

 

1) 본인이 사퇴할 경우

2) 여러 가지 이유로 신임여부를 물을 경우

3) 조합원들이 위원장 불신임을 요구할 경우

 

신임여부는 통상 과반이 득표로 선출되었기 때문에 과반으로 진퇴를 결정한다. 그리고 신임여부는 위원장이 자기를 선출한 조합원들에게 묻는 방식이다.

 

그러나 조합원들이 불신임을 요구할 때는 2/3의 찬성으로 위원장 퇴진이 가능하다.

 

이렇게 선출할 때는 과반이고 불신임일 경우에는 2/3가 되는 것은 하나의 전통적 관례인데, 그것은 노동조합이나 회사나 노동조합 집행부의 잦은 교체가 불러오는 노사 양측에 유발하는 부작용 때문에 노사가 암묵적으로 집행부의 안정성을 도모하였기 때문이다. 이것은 이후에 노동조합이 위원장 불신임 여부를 1/2로 정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 노동조합은 자율적인 조직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위원장이 스스로 신임여부를 2/3의 찬성으로 진퇴여부를 불신임으로 묻는다면 다음과 같은 불일치가 발생한다.

 

그럼 위원장도 선출될 때 2/3이상의 찬성으로 선출되었어야 했다. 선출될 때는 1/2이고 신임여부는 2/3로 묻는다는 것은 앞뒤와 논리상 맞지 않는다.

 

따라서

위원장은 신임여부를 1/2이상으로 물어야 하고

조합원들이 불신임을 요구할 경우 2/3 이상의 찬성이 있어야 퇴진할 수 있다는 것이 원칙이자 상식적인 일이다.

2개의 댓글

Profile
영도다리
2012.01.09

너희들이 언제는 상식이 있었니?

까는소리 그만들해라.

노민추니,정추위니 조직잡기에 멍들은건 우리 조합원뿐이다.

 

 

 

Profile
다안다
2012.01.09

영도다리 완전히 물타기하러 들어왔네, 니 의견을 내야지 양비하면 어쩌자는 거냐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730 반대한다. 임금피크제를 8 남동본부 2015.07.21 1645 0
1729 서부기업노조는 정부는 3.8% 올리라는데 임금3.5%인상 가지고 임금피크제와 묶어서 투표 3 슬라이딩 2015.07.22 1444 0
1728 중부노조가 한국노총으로 상급단체 가입 찬반투표를 했다던데... 1 중부 2015.07.21 1349 0
1727 한국 고용불안 OECD 최고 수준…평균 근속연수 5.6년 OECD 2015.07.22 737 0
1726 영혼없는 임금피크제, 반드시 부결되어야... 남동본부 2015.07.22 1431 0
1725 서부 임금피크제 무엇이 문제인가? 3 서부본부 2015.07.22 1664 0
1724 서부 투표결과 예측 16 서부인 2015.07.22 2134 0
1723 노조 위원장 되었다고 똥폼내며 목에다 힘주는 6 조합원 2015.07.23 1525 0
1722 박근혜정권의 한국사회 구조개악 fortree 2015.07.23 885 0
1721 통상임금 못받는다고 하는데 맞나요 5 순둥이 2015.07.23 1755 0
1720 서부노조 임단협 가결 61.44% 3 슬라이딩 2015.07.23 1503 0
1719 남부발전, 임금피크제 최초 도입 1 남부 2015.07.23 1657 0
1718 집행부에 바랍니다 10 4차 소송자 2015.07.23 1786 0
1717 서부노조의 투표결과를 보고 느낀점. 12 2015.07.24 2215 0
1716 남부 인사이동에 따른 기업별노조의 항의? 남부 2015.07.25 1594 0
1715 노무팀이 나대자 결과는 최하 공직감사 2015.07.25 1513 0
1714 발전노조 9.11 공투본 파업 참여 결의! 2 태풍권 2015.07.25 1316 0
1713 재적조합원의 의미는? 6 조합원 2015.07.25 2158 0
1712 서부노조 투쟁기금은 어디 쓰였는지 궁금하다.. 5 서부 2015.07.25 1410 0
1711 서부 통상임금 정산분 지급 8 서부인 2015.07.26 3270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