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인원은 줄고 업무스트레스는 늘어간다

제2발 2011.12.26 조회 수 1702 추천 수 0

업무스트레스는 업무량에 대비한 적절한 인력이 배치되지 않았거나, 인력이 늘지 않은 상태에서 업무가 많아 질 때 생긴다. 직장 상사의 업무스타일과 관련한 스트레스는 개인적이며 일시적이다. 많은 노동자들이 노동현장에서 육체적·정신적 피로를 호소하는 것 대부분은 노동강도(업무강도와 업무량)와 관련되어 있다. 적절한 인원에 적절한 업무량이라면 업무로 인한 스트레스가 생길 수 없다.

 

 

그럼 여기서 적절한 인원과 적절한 업무량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절대적으로 말하자면 이런 것이다. 우리의 생산력 수준에 걸맞는 노동인력과 업무량을 말한다. 노동인력은 모두가 취업하고 있는 상태, 즉 완전고용상태를 가정해야 한다. 사회가 모든 구성원에게 일자리를 주는 것은 의무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모두가 취업한 상태에서 생활에 필요한 재화를 만들어내는 데 필요한 노동을 각자가 얼마나 하면 되는 가를 따진다.

 

 

전 세계적으로 가장 노동시간 짧은 나라가 네덜랜드다. 네덜랜드는 연평균 노동시간 2010년도 기준으로 1,377시간이었다. 이해 비해 최장 노동시간은 한국이고 무려 2,193시간이었다. 무려 한국의 노동자들은 네덜랜드 노동자들에 비해 무려 1.6배 일을 더하고 있다. 이를 기준으로 사회를 유지하는 데 필요한 노동을 제하면 약 주3.5일(주28시간) 정도면 될 것이다. 이렇게 잡을 수 있는 것은 자본주의 사회를 유지하는 데 엄청난 사회적 비용이 들어간다는 것이다. 사회적 비용에는 이 자본주의라는 노동자 착취체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군대, 경찰, 검찰, 법원, 정보기관 등의 직접비용기관과 그에 연관한 간접비용이 막대하게 들어가기 때문이다. 이것 역시 노동자들의 불필요한 노동으로 지탱되고 있다. 오히려 이런 기관들이 필요 없는 사회를 만든다면 우리는 노동시간을 더 단축할 수 있다. 그렇지만 그것은 노동하는 사람들이 이 사회의 주인이 되었을 때나 가능하다. 절대적 업무량이란 법정노동시간 내에 호들갑을 떨지 않고도, 50분 일하고 10분 쉬고도, 화장실에 편하게 다니면서도, 휴식을 위한 휴가와 기쁜일 슬픈일 휴가를 모두 쓰고도 일을 끝낼 수 있는 업무량을 말한다. 이것이 노동조합이 가지는 체제내적 한계에서 최대의 노동시간과 업무량인데, 노동조합을 넘어서 노동자 자신이 이 사회의 실질적 주인으로 등장하면 이 한계조차 넘어서 거의 노는 것과 일하는 것이 구분이 되지 않는 사회도 가능할 것이다. 놀이가 곧 노동인 사회 그것이 바로 모든 노동자들의 꿈이자 목표일 것이다.

 

 

노동강도는 인원의 문제다. 열 사람이 일하는 것을 여덟 사람으로 줄이면 노동강도는 그만큼 증가된다. 즉 육체적 피로가 가중된다는 뜻이며 이것은 건강과 수명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기계에도 기계적 피로가 있고 그 한계를 넘어서면 기계는 고장이 나거나 수명이 단축된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법정노동시간이라는 것이 물론 절대적 육제적 피로한도를 기준으로 정해진 것은 아니다. 법정노동시간은 자본주의체제가 노동자에 강제하는 노동시간이긴 하지만, 노동자와 자본가가 타협한 최대 노동시간을 나타낸다. 이 이상을 노동할 경우 노동자의 건강과 수명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법정노동시간을 초과해서 더 일을 시키려면 할증된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 자본가들은 노동시간의 초과가 바로 이윤으로 직결되기 때문에 어떤 수단과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초과노동을 시키려고 하고, 초과노동의 임금요율도 낮추어서 노동력 사용비용도 최소화하려고 한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이번 발전노조 임금협약에서 노동조합이 야간근무수당 할증을 0.1% 삭감에 합의한 것은 어리석고 바보 같은 짓이라 할 수 있다. 노동조합이 스스로 야간근무수당 할증률을 낮춰 자신의 노동력의 가치를 떨어뜨리다니! 혀를 찰 뿐이다.

 

 

2001년 발전노동자들의 발전설비당 인원은 0.17인/MWH 이었다. 2010년에는 0.14인/MWH 으로 줄어들었다. 모든 조합원들은 과거 10년에 비해서 0.2인의 일을 무상으로 나누어서 더 해왔다. 발전회사들은 품질관리경연대회까지 경쟁적으로 벌이면서 업무를 개선해왔다. 그러나 그런 개선의 결과가 업무량의 감소나 노동강도의 완화가 아니라 인력구조조정과 노동의 강도를 더 강화하는데 이용되어 왔다는 사실을 우리는 직시해야 한다. “개선하는 만큼 짤리고 고되어진다”는 것이 우리가 노동현장에서 체험하는 역사적 진리다.

 

 

노동조합의 투쟁은 과학과 기술이 발전하는 만큼 자본가들이 이윤으로 독점하지 못하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 사회가 발전하는 만큼 노동시간을 단축하거나 인력을 늘려서 노동강도를 줄여나가는 방향으로 가도록 투쟁해야 한다. 먼저 야간노동이나 초과노동을 철폐하는 쪽으로 가되, 불가피 한 경우에라도 임금 할증요율을 높여서 자본가들이 법정노동시간을 벗어나 초과노동에 미련을 갖지 않도록 노동조합이 투쟁해 나가야 한다.

 

 

그런 노동조합의 투쟁은 노동자의 건강과 수명을 보전할 뿐만 아니라 노동자의 삶을 그나마 덜 고통스럽게 만들어 갈 것이다. 조합간부는 “노동자는 인간이지 기계가 아니다”라는 말을 끊임없이 되 뇌이면서 조합활동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5649 비 온뒤 햇볕이 비칠때 1 이노센트 2011.07.18 18235 2
5648 검찰, 한국남부발전 압수수색…"운영비리 수사" 2 남부 2015.03.24 2954 1
5647 가스나 수도는 미래유보, 전기는 현행유보...발전매각은 예정된 수순 5 반대fta 2011.11.18 24550 1
5646 “헉, 충격이네” ‘대기업 전력사냥꾼’ 영상 화제 1 고발 2013.01.12 10740 1
5645 OECD 최하위 노동후진국의 악질적인 탄압 2 조약돌 2011.07.26 12856 1
5644 새 책! 『사변적 은혜 : 브뤼노 라투르와 객체지향 신학』 애덤 S. 밀러 지음, 안호성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5 일 전 2 0
5643 2020년 총선, 부정선거의 전모와 그 원흉을 밝힌다 김호준 8 일 전 6 0
5642 초대! 『육식, 노예제, 성별위계를 거부한 생태적 저항의 화신, 벤저민 레이』, 『죽음의 왕, 대서양의 해적들』 출간 기념 마커스 레디커, 데이비드 레스터 저자 화상 강연 (2024년 6월 2일 일 오전 10시) 도서출판갈무리 13 일 전 6 0
5641 새 책! 『객체란 무엇인가 : 운동적 과정 객체론』 토머스 네일 지음, 김효진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19 일 전 4 0
5640 마음 속 우편함 정현 2024.04.24 15 0
5639 한국발전산업노동조합 조합원분들을 위한 의료복지(약 650개 진료 프로그램) 서메메 2024.04.12 29 0
5638 초대! 『기준 없이』 출간 기념 스티븐 샤비로 강연 (2024년 4월 20일 토 오전 10시) 도서출판갈무리 2024.04.07 4 0
5637 초대! 『예술과 공통장』 출간 기념 권범철 저자와의 만남 (2024년 3월 31일 일 오후 2시) 도서출판갈무리 2024.03.19 10 0
5636 제12대 발전노조 위원장, 사무처장 후보 제용순, 박정규 선전물 발전노조 2024.03.13 59 0
5635 제12대 발전노조 남부본부장 후보 하연경 메일 발전노조 2024.03.13 32 0
5634 제12대 발전노조 중부본부장 후보 국재민 메일 발전노조 2024.03.13 35 0
5633 제12대 발전노조 서부본부장 후보 이재백 포스터 및 메일 발전노조 2024.03.13 29 0
5632 제12대 발전노조 동서본부장 후보 최재순 1, 2, 3차 메일 발전노조 2024.03.13 22 0
5631 새 책! 『기준 없이 : 칸트, 화이트헤드, 들뢰즈, 그리고 미학』 스티븐 샤비로 지음, 이문교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2024.03.08 4 0
5630 초대! 『벤야민-아도르노와 함께 보는 영화』 출간 기념 문병호·남승석 저자 화상 강연 (2024년 3월 10일 일 오후 2시) 도서출판갈무리 2024.03.02 5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