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임금인상을 위한 두 가지 기준 (임금과 노동조합)

제2발 2011.12.06 조회 수 2114 추천 수 0

임금인상을 위한 두 가지 기준

 

 

노동조합의 결성 목적 중 임금은 노동자와 그 가족의 생활수준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사안이다. 그것은 임금수준에 따라 노동자의 생활수준(삶의 질)이 근본적으로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 노동자(임금으로 생활하는 자)의 임금결정을 위한 기준은 무엇인가? 거기엔 ① 현재의 임금인상을 위한 기준과 ② 임금이 도달해야 할 목표라는 두 가지가 있다.

 

 

현재의 임금인상을 정하는 기준, 세 가지 요인

 

 

노동조합은 매년 임금인상을 요구하는 데, 물가상승률·경제성장률·노동생산성향상만큼의 임금을 인상할 것을 자본가에게 요구한다. 물가상승률만큼의 인상은 임금의 실질구매력(실질임금)을 보전해야 한다는 것이며, 경제성장률은 노동자의 노동으로 인한 경제발전에 대한 분배를 하라는 요구이며, 마지막으로는 집단적 노력의 결과인 생산기술 발전의 결과인 노동생산성 향상에 대한 혜택을 같이 누리자는 요구다. 어느 하나도 빼놓을 수 없는 것이고, 하나라도 빠지게 되면 노동자의 삶은 상대적 하락을 면치 못한다.

 

 

이제까지 그런 역사가 없었지만(사실 매년 임금은 물가상승률보다도 낮게 결정된다) 설사 이 세 가지 요인이 매년마다 임금인상률에 다 반영된다하더라도 노동자의 임금과 자본가의 이윤은 기하급수적인 차이가 생기게 마련이다. 300만원을 받는 노동자의 임금이 10% 올라봐야 30만원인데 비해 자본가의 이윤이 1,000만원이면 100만원이 된다. 다음 해에도 같은 비율도 올라가면 그 차이는 더욱 벌어진다. 이렇게 해서 노동자와 자본가의 삶의 수준은 얼마가지 않아 천양지차가 된다. 따라서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정률분배뿐만 아니라 정액분배도 가미되어야 그 차이를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이것도 노동자 임금과 자본가 이윤사이의 기하급수적 차이확대를 원천적으로 줄일 수 없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임금 목표가 설정되어야 그나마 임금인상의 좌표를 잃지 않고 분배평등으로 다가 갈 수 있다.

 

 

임금이 목표로 해야 할 기준, 1인당 국민소득

 

그 기준이 바로 1인당 국민소득이라는 것이다. 1인당 국민소득은 한 국가가 생산한 부를 모든 국민이 평등하게 나눌 때 각자 얼마씩 돌아가느냐를 나타낸다. 우리는 1인당 국민소득과 자신이 받는 임금을 비교함으로써 이 사회에서 자신의 생활수준이 어떤 위치인지 어떤 분배 불평등에 놓여 있는지 확연하게 알 수 있다.

 

2010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1인당 국민소득은 약 20,600달러이고 원·달러 환율은 1,100원 이었다. 한 달에 국민 1인이 받아야 할 몫이 약 1,888,000원에 해당한다. 우리나라 비정규직노동자의 한 달 급여가 평균 1,300,000원 정도 된다니 비정규직 노동자들은 국민으로서 1인의 몫조차 분배받지 못하고 실정이다. 부양가족이 1인(2인 가족)이라면 한 달 소득이 3,776,000원이 되어야 한다. 이 역시 도시근로자 평균 월소득이 2,400,000원 정도이니 노동자들은 평균적으로 국민 2인의 몫도 받지 못하고 있다. 3인 가족이면 5,664,000원, 4인 가족이면 7,552,000원 되어야 한다. 발전사장들은 월 1,000만 원정도 받고 있다니 1인당 국민소득을 상회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발전노동자의 평균 월급이 3,500,000원 정도라니 이 정도면 1인당 국민소득의 2인분도 되지 않는다. 조·중·동 보수언론이 신의직장이라며 그렇게 매도하던 소위 공기업이면서 정규직노동자인 발전노동자들의 월급이 이정도 수준이니 다른 노동자들은 말해서 무엇하랴! 임금으로 지급되지 않은 돈은 당연히 자본가들의 금고로 들어갔고, 그들은 지금 이 사회의 빼앗는 1%가 되어 빼앗긴 99%의 저항을 받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노동조합은 평등한 분배를 추구하는 조직이기 때문에 노동조합의 임금인상의 최종 목표를 1인당 국민소득으로 놓고 끊임없이 싸워나가야 사회로부터 소외당하지 않는다. 즉 1인당 국민소득은 임금인상 전략의 최종 목표로 설정되어야 한다. 나의 임금과 1인당 국민소득과의 격차를 해소하는 것이 임금으로 먹고사는 노동자와 그 결사체인 노동조합의 가장 중요한 투쟁과제이다.

 

1개의 댓글

Profile
신입사원
2011.12.08

님은 누구시나요?  발전노동자 평균월급이 350만원이라니 알리오에가서 한번보세요 얼마인지 그것도 안보고 논리를펴서 혹하면 신뢰가 떨어집니다.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4229 중부본부 부정선거 합리화 규정 개정 추진 6 민주주의 2017.02.20 1660 0
4228 (제안) 100만 촛불경선운동으로 노동자·민중(촛불)의 독자적인 대선후보를 만들자 2 숲나무 2017.02.19 1424 0
4227 중부본부가 이랬구먼 15 너무했네 2017.02.07 2540 0
4226 해고자 생계비 2.5%인상? 11 중집회의 2017.02.01 2226 0
4225 세계적 사회학자 에릭 올린 라이트의 『계급 이해하기』를 소개합니다. 산지니 2017.01.25 1721 0
4224 중앙 바쁘신가요? 5 중부 2017.01.24 1829 0
4223 한국갈등관리연구소 제18차 갈등관리상담사/협상전문가 자격과정안내 한국갈등관리연구소 2017.01.18 2260 0
4222 서부발전 별 지랄을 다하네 서부사장은 순실이랑 친구나 2 서부 2017.01.13 2196 0
4221 - 제15기 청년인권학교 - 인권을 배우자, 그리고 행복해지자! 인권연대 2017.01.12 1389 0
4220 태안 사장은 누가? 서부 2017.01.07 1673 0
4219 1/7 개강! 클라우제비츠의 전쟁론 읽기 : 촛불혁명 시대의 정치와 전쟁 (강의 김만수) 다중지성의 정원 2017.01.06 1996 0
4218 이게 회사냐! 2016년 중부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부결시키고 재교섭하자 10 재교섭 2017.01.06 1803 0
4217 남부본부는 해명해 주시기 바랍니다! 6 발노사랑 2016.12.30 2101 0
4216 성과연봉제 합의!!!!!!! 3 민이 2016.12.28 1844 0
4215 1/2 개강! 노동과 건강에 대한 세미나 (강의 장훈교) 다중지성의 정원 2016.12.27 2386 0
4214 남부발전 성과연봉제 도입되나? 남부하동 2016.12.27 1271 0
4213 성과연봉제는 "빛 좋은 개살구"라네 1 성과연봉제 2016.12.27 1228 0
4212 다중지성의 정원 2017년 1분학기가 1월 2일(월) 개강합니다~! 다중지성의 정원 2016.12.20 4410 0
4211 [새책] 『잉여로서의 생명 ― 신자유주의 시대의 생명기술과 자본주의』(멜린다 쿠퍼 지음, 안성우 옮김) 출간되었습니다! 갈무리 2016.12.20 2497 0
4210 촛불혁명으로 87년 체제를 타파하고 새로운 체제로 나아가자 숲나무 2016.12.13 915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