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연합뉴스 외] `日전범기업' 국내진출 - 동서발전 당진 9,10호기

노동조합 2011.12.01 조회 수 2862 추천 수 0

 `日전범기업' 국내진출 - 동서발전 당진 9,10호기

 

 

[연합뉴스]

 

일제 강점기 조선인을 강제동원한 일본 전범기업의 국내 진출에 대해 시민단체 등이 처음으로 제동을 걸고 나섰다.

 

자유선진당 이명수 의원실과 '근로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은 지난달 16일 전범기업인 미쓰비시중공업과 히타치와 계약을 한 ㈜동서발전에 도덕적 책임을 질 것을 요구했다고 1일 밝혔다.

 

특히 동서발전에 발주자의 지위를 활용해 두 기업에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지원의 당위성을 설득할 것을 촉구했다.

 

한국전력의 자회사인 동서발전은 국제입찰을 통해 충남 당진의 당진화력발전소 9ㆍ10호기 건설에 필요한 보일러와 터빈, 발전기 등의 기자재 제작사로 일본 전범기업 2곳을 선정했다.

 

미쓰비시중공업은 일제 강점기 조선인 소녀들을 근로정신대로 끌고가 노역에 투입하는 등 강제동원 인원(3천355명)이 가장 많은 기업으로 꼽히고 있다.

 

 

[C뉴스041]

 

이명수 의원, 일본전범기업 입찰제한 ‘지킴이’ 활동 나서

강제동원 피해자 관련 기금 조성 통한 사회 환원 방법 등 제시

 

국회 행안위 소속 이명수 의원(자유선진당, 충남 아산시)이 지난 9월 16일 일본전범기업 1차 명단을 전격 발표한 후 후속작업으로 상시 ‘지킴이’ 활동에 들어갔다.

 

최근 이명수 의원은 일본의 대표적 전범기업인 미쯔비시(MITSUBISH), 히다찌(HITACHI)가 GPA(정부조달협정)에 따라 국제입찰을 통해 동서발전(주)의 당진 9호, 10호기 기자재 제작사로 참여하고 있는 것과 관련, 동서발전(주) 담당책임자를 불러들여 이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상기시키며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 대책 마련을 촉구와 함께 동서발전(주)로부터 이에 대한 확답을 받아냈다.

 

이명수 의원은 “일본전범기업과의 정부조달협정에 따른 계약은 법적으로는 아무런 하자가 없으나, 우리나라 정서상 사회적·도덕적 비난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질책한 뒤 독일의 전후 보상방안사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며 “동서발전에서도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에 대한 지원 차원에서 기금 조성 등을 통해 사회에 자금을 환원하는 방법을 검토”하도록 강하게 촉구했다.

 

 

[아시아투데이]

 

지난 9월 16일 일본전범기업 1차 명단을 전격 발표하면서 주목받았던 국회 행안위 소속 이명수 의원(충남 아산)이 후속작업으로 상시 ‘지킴이’ 활동을 개시했다고 1일 밝혔다.

 

최근 이명수 의원은 일본의 대표적 전범기업인 미쯔비시(MITSUBISH), 히다찌(HITACHI)가 GPA(정부조달협정)에 따라 국제입찰을 통해 동서발전(주)의 당진 9,10호기 기자재 제작사로 참여하고 있는 것과 관련, 동서발전(주) 담당책임자를 불러들여 이에 대한 도덕적 책임을 상기시키며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을 위한 구체적인 지원 대책 마련을 촉구하였고, 동서발전(주)로부터 이에 대한 확답을 받아냈다.

 

 

[헤럴드경제]

 

일제 강점기 조선인을 강제동원한 일본 전범기업의 국내 진출에 대해 시민단체 등이 처음으로 제동을 걸고 나섰다.

 

자유선진당 이명수 의원실과 ‘근로정신대 할 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은 지난달 16일 전범기업인 미쓰비시중공업과 히타치와 계약을 한 동서발전에 도덕적 책임을 질 것을 요구했다고 1일 밝혔다.

 

특히 동서발전에 발주자의 지위를 활용해 두 기업에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지원의 당위성을 설득할 것을 촉구했다.

 

한국전력의 자회사인 동서발전은 국제입찰을 통해 충남 당진의 당진화력발전소 9·10호기 건설에 필요한 보일러와 터빈, 발전기 등의 기자재 제작사로 일본 전범기

업 2곳을 선정했다.

 

미쓰비시중공업은 일제 강점기 조선인 소녀들을 근로정신대로 끌고가 노역에 투입하는 등 강제동원 인원(3355명)이 가장 많은 기업으로 꼽히고 있다.

 

 

[서울경제]

 

일제 식민지 시기 조선인을 강제동원한 일본 전범기업의 국내 진출에 대해 시민단체 등이 처음으로 제동을 걸고 나섰다.

 

자유선진당 이명수 의원실과 ‘근로정신대 할 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은 지난달 16일 전범기업인 미쓰비시중공업과 히타치와 계약을 한 동서발전에 도덕적 책임을 질 것을 요구했다고 1일 밝혔다. 특히 동서발전에 발주자의 지위를 활용해 두 기업에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지원의 당위성을 설득할 것을 촉구했다.

 

한국전력 자회사인 동서발전은 국제입찰을 통해 충남 당진의 당진화력발전소 9ㆍ10호기 건설에 필요한 보일러와 터빈, 발전기 등의 기자재 제작사로 일본 전범기업 2곳을 선정했다.

 

미쓰비시중공업은 일제 식민지 시기 조선인 소녀들을 근로정신대로 끌고가 노역에 투입하는 등 강제동원 인원(3,355명)이 가장 많은 기업으로 꼽히고 있다. 두 기업은 여야 의원 17명이 지난 9월 발표한 136개 전범기업에도 포함돼 있다.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47 [매일노동뉴스]노조탄압 국정조사 실시해야 노동조합 2012.11.06 583
346 [한겨레]'발전노조 죽이기'에 청와대 지경부 경찰 개입 노동조합 2012.11.06 718
345 [매일노동뉴스]"노동부는발전노조 탄압 관련자 처벌해야"노동 인권단체 기자회견 노동조합 2012.11.06 707
344 [경향신문]"발전노조 해체, 청와대가 감독하고 총리실`경찰이 집행" 노동조합 2012.11.06 682
343 [경향신문]"복수노조 1년... 기존 노조 교묘한 탄압, 되레 노동3권 위협" 노동조합 2012.07.02 1494
342 [매일노동뉴스]발전회사 마음대로인 타임오프 제한 노동조합 2012.04.12 2544
341 [이투뉴스]"무너진 발전노조, 조직재건이 최우선" 노동조합 2012.04.10 2537
340 [내일신문]"발전소, 유지보수비 줄여 사고 키웠다" 노동조합 2012.04.04 2688
339 [매일노동뉴스]"한국전력, 자회사 고액배당 요구 철회하라" 노동조합 2012.03.23 2597
338 [매일노동뉴스]신현규 발전노조 위원장 인터뷰 노동조합 2012.03.23 2660
337 [민중의소리] 동계 전력대란 위기속에 정부는 단기대책밖에 없어 노동조합 2011.12.28 2537
336 [한겨레신문] 삼성물산·한전 ‘ISD 불똥’ 노동조합 2011.12.28 2779
[연합뉴스 외] `日전범기업' 국내진출 - 동서발전 당진 9,10호기 노동조합 2011.12.01 2862
334 [한겨레신문] 전기, 가스 민영화 거센 압박 노동조합 2011.11.25 3583
333 [디지털파워] 한미FTA 발전회사 민영화 논쟁 도화선 되나? 노동조합 2011.11.09 2397
332 [투데이에너지] 감사원, 하동화력본부 특혜제공 적발 노동조합 2011.10.13 3629
331 [경향신문] 기사 부인 명의 ‘함바’ 운영 의혹…동서발전 사장 청와대 감찰 받아 노동조합 2011.10.12 2796
330 [시사IN] 정전 대란 ‘1등 공신’ MB 낙하산 부대 노동조합 2011.10.05 2944
329 [민중의소리] 정전대란 책임자는 숨어 있다! 노동조합 2011.09.30 2470
328 [매일노동뉴스] 전력피크 때 인력감축 추진 동서발전 ‘더위 먹었나’ 노동조합 2011.09.27 306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