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2035년 1차에너지 40%나 급등

조합원 2011.11.16 조회 수 805 추천 수 0

2035년 1차 에너지수요가 비OECD국가의 수요 급증으로 2009년 대비 40%나 급증하고 CO2 배출량도 36.4Gt에 달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에 따라 고유가에 대비한 보다 장기적인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IEA는 9일 2035년까지의 세계 에너지시장을 예측·분석한 ‘2011 세계에너지전망(2011 World Energy Outlook, 2011WEO)’ 보고서를 발표했다.

세계에너지전망은 IEA가 매년 발간하는 장기 에너지전망 보고서로, 올해는 중국의 5개년 계획(2011∼2015년)과 일본 원전사고 후 세계 원전정책 변화 등을 고려한 원별 에너지시장 전망과 온실가스 배출전망을 수록한 것이 특징이다.

2011 WEO 주요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2035년 1차 에너지수요는 중국 등 비OECD국가의 수요 급증으로 2009년 대비 40%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석유, 석탄 등 화석연료의 비중은 2009년 81%에서 2035년 75%로 낮아지나 여전히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며 천연가스는 예외적으로 그 비중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2035년 에너지원별 비중은 석유 27.4%, 석탄 24.2%, 천연가스 23.2%, 원자력 7.1%, 신재생 4.1%, 기타 14.1% 순이다.

특히 신흥국의 자동차 보급 확대, 승객 및 화물수송 수요 증가로 수송용 석유수요가 급증하면서 석유수요는 2035년까지 13.8% 증가해 일일 9900만 배럴에 달할 전망이다. 세계 석유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비전통석유, NGL 등 기존 방식에 비해 값비싼 방식의 석유생산이 늘어나면서 석유공급비용도 상승해 2035년에는 기존 석유류는 68mb/d, NGL은 18mb/d, 비전통석유는 10mb/d으로, 유가는 배럴당 120달러로 각각 예상됐다.

천연가스는 발전용 가스수요 확대로 가스수요는 증가하나, 전세계 천연가스 부존량의 절반으로 추정되는 비전통가스의 생산량이 늘어나면서 세계적 수급 상황은 개선될 전망이다.

다만 IEA는 후쿠시마 원전사고 후 원자력 대체연료로 천연가스 사용이 확대될 경우 온실가스 감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우려했다.

전력수요는 경제성장과 인구증가로 연평균 2.4%씩 증가하는데 이중 산업부문이 전력수요에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며, 수송부문 전력수요는 그 비중은 작으나 철도수송 증대로 빠르게 증가(연평균 증가율 3.6%)할 전망이다.

신재생에너지는 2035년 발전량의 15%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풍력, 바이오매스, 태양광이 신재생발전의 약 90%를 차지할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1800억달러에 달하는 각국의 신재생보조금에 기인하며, IEA는 보조금 단가가 감소하더라도 전망기간동안 신재생에 대한 지속적 보조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IEA는 특히 송전망 총투자비용의 10%를 신재생에너지원과 기존 전력망을 통합하는 설비에 투자할 것을 제안했다.

2035년 원자력 발전용량은 독일, 스위스의 원전정책 변화로 지난해 전망보다 약 16GW 감소하나 중국 등의 용량 증대로 일부 상쇄됐다.

올해 보고서에서는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전세계 원자력 발전용량이 대폭 줄어들 경우를 가정해 그 파급효과를 추가로 분석했다.

저원자력시나리오(Low Nuclear Case)는 OECD국가는 신규원전을 건설하지 않고 비OECD국가는 기존 계획의 50%만 신규건설하는 경우로 원자력 발전의 대체연료인 석탄과 가스 수요는 기존 전망과 비교해 각각 5%p와 3%p, 가격은 2%p와 4%p씩 증가하며, 온실가스 배출량은 2.6%p 증가한다.

IEA는 원자력 축소가 에너지안보에 대한 우려 증대, 기후변화 대응 비용 증가를 의미하며, 원자력 의존도가 높은 국가와 개도국이 전력수요를 충당하는 데에 어려움을 초래할 것으로 분석했다.

2035년 CO2 배출량은 36.4Gt으로 전망됐다. IEA는 발전소 등 기존 시스템은 CO2 배출 구조로 고착화돼 2017년까지 추가적인 행동이 없다면 코펜하겐에서 합의한 ‘지구온도 2℃이내 상승(2035년 CO2 배출허용량 21.6Gt)’ 목표를 달성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추가적인 에너지효율 향상과 CCS 보급으로 온실가스를 감축시키는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각국의 조속한 행동 이행을 촉구했다.

정부의 관계자는 “중국, 인도 등 신흥국의 에너지수요 증가는 에너지․자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글로벌 경쟁이 더욱더 치열해짐을 함축한다”며 “중장기에도 유가가 높은 수준에서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고유가에 대비한 보다 장기적인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원자력정책은 석탄, 가스 등 대체 발전연료의 수급과 가격, 온실가스 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만큼 국가 에너지안보와 기후변화 대응 측면에서 다각적이고 폭넓게 그리고 신중하게 검토되야 하다”고 말했다.

한편 지식경제부는 IEA 수석경제학자 이자 WEO 총괄책임자인 Faith Birol 박사를 초청해 WEO 발표회를 내년 초 개최할 계획이다.

Birol 박사는 발표회를 통해 세계 에너지전망과 여건 변화가 한국의 에너지시장과 정책에 시사하는 바를 보다 심도깊게 제시할 예정이다.

0개의 댓글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4310 발전노조의 변화와 혁신을 바라며! 7 아직조합원 2011.12.20 1119 0
4309 한번 더 생각해 보자 5 예상 2011.12.20 1039 0
4308 ★종파에 물든 놈들의 각을 뜨자★ 6 현사회 2011.12.20 1088 0
4307 동서노조 1주년 기념사 1 2011.12.20 1060 0
4306 이 말이 사실이라면 정말 짜증난다 3 보령인 2011.12.20 1240 0
4305 부채통합,,추가자금혜택! 지원 2011.12.23 765 0
4304 임금 찬반 가결!!! 70.63% 돈준데 2011.12.20 1218 0
4303 정말이지 다행이다..가결이 되어서...그나마 남아있는 조합원들이 협동단결이되어 찬성표를 던져서..... 2 다행 2011.12.20 1132 0
4302 서부임금합의안 15 서부 2011.12.21 3008 0
4301 발전설비는 늘어나는데 현장인원은 줄고 있다. 제2발 2011.12.21 1078 0
4300 교섭중 술판 11 팬더 2011.12.21 1907 0
4299 [희망텐트촌 13일차(12/19)] 희망텐트촌에 ‘희망의 탑’이 서다! 쌍용차 희망텐트촌 2011.12.20 706 0
4298 퇴직금 중간정산금에 대한 소급분도 지급해야~ 8 구렁이 2011.12.21 1709 0
4297 노동조합, 긴장과 투쟁의 끈을 놓지 말아야 노동자 2013.02.25 1444 0
4296 ★★발전노조의 미래을 위하여★★ 비겁한 나 2011.12.21 1023 0
4295 이게 사람사는 회사인가? 3 다시 돌아감 2011.12.21 1445 0
4294 뼈빠지게 일하는 데 민간기업만 배불려 지나가다가 2013.03.06 2122 0
4293 중부발전 서천화력 기업노조 위원장의 쫌팽이의 극치 7 개똥이 2011.12.22 1746 0
4292 남부본부장 조옷 됐시유~~~ 11 부결운동댓가 2011.12.21 1800 0
4291 서부와 발전노조 임금합의안 비교 7 서부직원 2011.12.21 2228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