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퇴직자 양산시대 노동운동도 변해야 한다.

중앙 2011.10.14 조회 수 1145 추천 수 0

퇴직자 양산 시대, 노동운동도 변해야 한다     [중앙일보] 입력 2011년 10월 14일

 

인구 113만 명의 공업도시 울산은 전국에서 가장 부유한 곳으로 꼽힌다. 평균 1인당 국내총생산(GDP)이 4만 달러를 넘는다.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 삼성정밀화학 등 울산에 있는 22개 상장회사의 평직원 연봉이 6645만원에 달하고, 평균 근속연수도 전국에서 가장 길다는 조사도 있다. 그런 울산에 먹구름이 드리우고 있다. 1955~63년에 태어난 베이비 부머(baby boomer)의 정년퇴직(55~59세)이 임박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인구학적으로 앞으로 매년 1만여 명이 정년을 맞아 직장에서 무더기로 퇴출당할 예정이다. 이는 투쟁 일변도의 노동운동에 새로운 과제를 던져주고 있다.

 

 그동안 우리 노동계는 투쟁에 지나치게 몰두했다. 그중에서도 퇴출 위기 없이 일자리를 고수하는 것을 최고의 능사로 알았다. 그 결과 울산지역 취업인구 중 50~59세는 2000년만 해도 4만7000명(전체의 10.7%)이었으나 지난해에는 10만6000명(19.9%)로 치솟았다. 현대차와 현대중공업의 경우 48~59세 근로자가 각각 40%와 54%에 이른다. 고령화 사회가 다가왔는데도 조합원들은 현재에 안주하고 퇴직 후 삶에 대한 준비를 게을리했다. 현대중공업 노조가 퇴직지원센터 설립에 나서고, 현대차가 ‘고령화대책 노사공동연구팀’을 구성한 것은 노동운동의 변화를 시사하는 단초라고 할 수 있다.

 

 울산만의 문제가 아니다. 지난해부터 정년(만 55세 기준)을 맞아 전국의 직장에서 베이비 부머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들 대부분은 생소한 사회 환경에 노출돼 실패와 좌절을 맛보고 있다. 자영업에 뛰어들어 돈마저 날리거나, 아예 오갈 곳이 없는 실업자로 전락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철밥통’으로 불리는 대기업 노조원이라고 은퇴를 피할 길은 없다.

 

 울산에선 하릴없이 집에서 꼬박꼬박 세 끼를 챙겨먹는 ‘삼식이’라든가 ‘황혼이혼’ 등 쓴웃음을 짓게 하는 농담들이 은퇴를 앞둔 노조원들 사이에 회자한다고 한다. 지금 조합원들은 퇴직 후 제2의 인생을 살 수 있도록 도와 달라고 노조에 요구하고 있다. 이념·정치 투쟁에서 탈피해 실용주의로 전환하는 노동운동의 새 패러다임을 기대해 본다.

1개의 댓글

Profile
슬픔
2011.10.14

fta 체결되면.....

노동운동이 아니라. 전쟁을 해야 할듯.....

 

1905년 을사늑약

             카스라-테프트 밀약 (미국 필리핀 먹고, 일본 조선먹고...)

고종 헤이그 밀사파년 영국,일본 방해로 참석 못함.

 

어찌 100년과 비숫하게 갈까!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190 감사합니다 김태우 2017.05.17 295 0
1189 정말 감사드리며 함께 상생해 나갈수 있는 방도에 대해 고민합시다 노조 화이팅 2017.05.17 299 0
1188 조합원 여러분 감사합니다. 노동조합파이팅 2017.05.17 301 0
1187 감사합니다 래라 2017.05.17 330 0
1186 감사드립니다 응원합니다 국민 2017.05.17 312 0
1185 적극지지합니다 류권석 2017.05.17 292 0
1184 응원합니다! 응원하겠습니다! 국민 2017.05.17 316 0
1183 지지합니다 이보람 2017.05.17 312 0
1182 감동 받아서 왔습니다! 멋있다!! 2017.05.17 365 0
1181 다음 세대를 위한 마음 감사합니다! 이영 2017.05.17 370 0
1180 지지합니다. sh 2017.05.17 461 0
1179 감동입니다 뻐꾸기999 2017.05.17 351 0
1178 성명문을 지지합니다. 멋지십니다 2017.05.17 301 0
1177 적극 지지합니다 감사해요 2017.05.17 292 0
1176 와~~~~발전노조!!! 소름!!!! 존멋!!! 멋지다!!! 2017.05.17 373 0
1175 정의로운 발전노조!!!! 감동받았습니다. 고고고 2017.05.17 381 0
1174 발전노조의 성명을 지지합니다. 소시민 2017.05.17 315 0
1173 후원하고 싶습니다 이렇게 감동적인 서명은 처음입니다 대의를 알아주시네요 undotree 2017.05.17 404 0
1172 발전노조 감사합니다 한인 2017.05.17 312 0
1171 성명서를 읽고 감동받아서 찾아왔습니다. 국민 2017.05.17 311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