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왜 산별만이 민주인가?

어용인 2011.06.22 조회 수 1746 추천 수 0

지금 동서에 이어 남부에서도 기업별노조를 설립하였다

이에 발전노조만이 민주고, 기업별 노조는 어용이라고 많은 글들이 올라고 있다

물론 발전노조내 일부 인자들이 이름을 바꿔가며 글을 올리고 있으며,

많은 조합원들은 관심도 없으며, 홈페이지에도 들어 오지 않는다

 

이런 내용은 노조에 조금만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면 다 알고 있는 내용이며

이들이 조합원들을 노조로 부터 무관심하게 만들었다

물론 그 사람들의 책임이 제일 크다고 볼 수 있으며 사태를 이 지경으로 몰고

온 사람들이다

 

기업별 노조를 주장하면 어용이고 발전노조를 사수하자면 민주하고 말 하고

싶은게 이분들의 주장이다

다 맞다고 치자

그렇다면 왜 산별인 발전노조를 사수해야만 민주인가를 설명해야 하는것 아닌가

도대체 산별만이 민주라는 근거는 어디에 있는 것인가

 

지금 발전노조와 같은 사태는 전국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우리와 반대로 한국노총 산하 조직에 민주노총 노조를 설립하고 단체교섭을 요구

하는 등의 사태도 어용이라고 할 것인가

아님 민주노총이 하는 것이니까 이것만은 민주라고 하고 싶은가

 

민주와 어용을 논하기 전에 왜 발전노조를 사수해야 하고 산별노조를 사수해야

하는 지를 설명해 줘야 하는게 먼저 아닌가?

 

** ㅋㅋㅋ 토론과 댓글 모두 환영합니다

 

 

   

3개의 댓글

Profile
보자
2011.06.22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정말 민주주의인가? 하는 물음과 같다고 본다. 민주주의는 민주주의다. 왜냐하면 민주공화국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설명이 잘 안된다. 뭔가 좀 부족한것 같기도 하고....

본인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가입하는 사람 많이 가입한 사람 많이 봤다. 혹시 모를 불이익 때문에...그리고 항상 끝마무리에는 미안하다고한다. 본질은 자기의 의지가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오해하지 마라.... 아이들한테는 정의를 주장하고 윤리를 주장하면서 정작 자신은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이다. 글쓴이가 일제시대로 돌아간다면 대한제국과 일본제국이 왜? 다른지 설명해 달라고 하는것과 비슷하다고 본다. 잘 먹고 잘살면 그만 아닌가 하면서 말이다.  

Profile
어용이요
2011.06.22

투쟁! 투쟁! 질긴놈이 이긴다고 투쟁만을 외치는 것이 민주고

실리를 챙기는것이 어용이라면   나는 어용을 택할란다

 

조합원 강제이동에 말한마디 못하고 핑계만 대는것이 민주고

사측과 협상하여 조합원 고충처리 해주는것이 어용이라면 나는 어용을 택할란다

 

과거의 시절(2002년 38파업)만 회상화고 있는것이 민주고

미래를 걱정하고 대비하는 것이 어용이라면 나는 어용을 택할란다

 

하나를 위해 열을 버려야 한다는것이 민주고

열을위해 하나를 버려야하는것이 어용이라면 나는 어용을 택할란다

 

자기네 조직들만을 위하고 보여주기위한 투쟁을 하는것이 민주고

조합원들을 위해  단결을 도모하고 실직적인 이익을 조합원들에게 주고자함이 어용이라면 나는 어용을 택할란다

 

자기들의 잘못은 불태우고 잘못에 대한 사과 한마디 없는것이 민주고

자기들의 뜻을 자신있게 조합원들에게 알려서 같이하자는것이 어용이라면 나는 어용을 택할란다

 

조직적으로 정책적으로 무조건 반대만 하는것이 민주고

조합원들이 바라고 원하는것을 챙겨주는것이 어용이라면 나는 어용을 택하겠다

Profile
도시인
2011.06.22

2002년, 94파업 생각하면 눈물이 떨어지는데..

발전노조에 조직이익만 생각하는 ?들말고도 조합원을 생각하는 ?들도 남았으니

난 좀더 기달릴라요..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5650 지금 분위기에 광고는 금감.... 조합원 2011.05.15 1 0
5649 새 책! 『사변적 은혜 : 브뤼노 라투르와 객체지향 신학』 애덤 S. 밀러 지음, 안호성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20 일 전 2 0
5648 피해자 조합원 2011.05.08 3 0
5647 [서부발전본사 복직투쟁, 11.30(목)] 31주70일차 숲나무 2023.11.30 3 0
5646 초대! 『객체란 무엇인가』 출간 기념 저자 토머스 네일 화상 강연 (2024년 6월 30일 일 오전 11시) 도서출판갈무리 5 일 전 3 0
5645 초대! 『동아시아 영화도시를 걷는 여성들』 출간 기념 남승석 저자와의 만남 (2023년 9월 24일 일 오후 2시) 도서출판갈무리 2023.09.14 4 0
5644 새 책! 『대담 : 1972~1990』 질 들뢰즈 지음, 신지영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2023.12.13 4 0
5643 새 책! 『벤야민-아도르노와 함께 보는 영화 : 국가 폭력의 관점에서』 문병호·남승석 지음 도서출판갈무리 2024.02.06 4 0
5642 새 책! 『기준 없이 : 칸트, 화이트헤드, 들뢰즈, 그리고 미학』 스티븐 샤비로 지음, 이문교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2024.03.08 4 0
5641 초대! 『기준 없이』 출간 기념 스티븐 샤비로 강연 (2024년 4월 20일 토 오전 10시) 도서출판갈무리 2024.04.07 4 0
5640 새 책! 『객체란 무엇인가 : 운동적 과정 객체론』 토머스 네일 지음, 김효진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2024.05.15 4 0
5639 초대! 『탈인지』 출간 기념 저자 스티븐 샤비로 화상강연 (2022년 12월 17일 토 오전 11시) 도서출판갈무리 2022.12.10 5 0
5638 사납금 거부투쟁 하던 택시노동자 분신 숲나무 2023.09.26 5 0
5637 초대! 『#가속하라』 출간 기념 로빈 맥케이, 에이미 아일랜드 화상 강연 (2023년 11월 4일 토 저녁 7시) 도서출판갈무리 2023.11.01 5 0
5636 초대! 『벤야민-아도르노와 함께 보는 영화』 출간 기념 문병호·남승석 저자 화상 강연 (2024년 3월 10일 일 오후 2시) 도서출판갈무리 2024.03.02 5 0
5635 새 책! 『광장과 젠더 ― 집합감정의 행방과 새로운 공동체의 구상』 소영현 지음 도서출판갈무리 2022.12.10 6 0
5634 새 책! 『자기생성과 인지 : 살아있음의 실현』 움베르또 R. 마뚜라나, 프란시스코 J. 바렐라 지음, 정현주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2023.11.10 6 0
5633 새 책! 『예술과 공통장 : 창조도시 전략 대 커먼즈로서의 예술』 권범철 지음 도서출판갈무리 2024.02.12 6 0
5632 초대! 『육식, 노예제, 성별위계를 거부한 생태적 저항의 화신, 벤저민 레이』, 『죽음의 왕, 대서양의 해적들』 출간 기념 마커스 레디커, 데이비드 레스터 저자 화상 강연 (2024년 6월 2일 일 오전 10시) 도서출판갈무리 28 일 전 6 0
5631 새 책! 『탈인지 ― SF로 철학하기 그리고 아무도 아니지 않은 자로 있기』 스티븐 샤비로 지음, 안호성 옮김 도서출판갈무리 2022.11.07 7 0
SCROLL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