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고용노동부 장관, "일자리 더하는 노동시장ㆍ노사관계 구축"

일자리 2011.06.04 조회 수 851 추천 수 0

고용노동부 장관, "일자리 더하는 노동시장ㆍ노사관계 구축"

 

 

이채필 고용노동부 장관은 31일 "일을 통해 국민이 자긍심과 행복을 갖도록 하고 일을 통해 따뜻한 공정사회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오후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국민이 어느 때보다 더 절실하게 바라는 것은 일자리일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제3대 고용부 장관으로 취임한 그는 향후 역점과제로 '일자리를 더하는 노동시장 구축'과 '일자리를 더하는 노사관계로의 발전'을 제시했다.

 

이 장관은 "고용노동정책과 여러 부처의 정책들을 국민, 현장, 일자리의 관점에서 섬세하게 다듬고 과감하게 고치겠다"며 "청년, 여성, 장애인, 고령자 등 취업이 어려운 계층이 잘할 수 있는 분야에서 일할 기회를 늘리겠다"고 다짐했다.

 

또 "새로운 성장동력 분야, 선진 서비스산업 등 괜찮은 일자리에 맞는 인재를 키우겠다"며 "창업과 창직, 사회적 기업, 반듯한 시간제 일자리 등 일과 학업, 가정, 노후, 건강을 같이 돌볼 수 있는 일자리도 늘리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고용안정망 강화, 직업능력개발과 고용서비스 수요 중심으로 개편, 범정부 및 중앙ㆍ지방ㆍ민간 일자리 협업 강화 등의 목표도 내놨다.

 

이 장관은 특히 일터 혁신으로 노사관계가 레드오션이 아니라 일자리의 양과 질을 늘리고 개선하는 블루오션이 되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내비쳤다.

 

그는 "상대방을 배려하고 힘을 보태는 나눔과 더함의 슬기가 노사 모두에게 절실하다"며 "노사가 직무와 성과 중심의 임금체계, 근로시간 줄이기와 숨은 일자리 찾기, 교육ㆍ훈련을 연계하는 일터 혁신으로 생산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근로시간면제와 복수노조 제도는 법치와 자치의 노사관계가 뿌리내리는 토양"이라면서 "근로시간면제제도가 제자리를 잡고 복수노조제도가 연착륙되도록 열과 성을 다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0개의 댓글

Profile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추천 수
1590 그동안 고생많이 했습니다. 3 조합원 2011.12.30 809 0
1589 드디어 중앙이 본색을 드러내는구나 2 드디어 2011.12.30 2099 0
1588 선수치는구나. 3 불신임 2011.12.30 789 0
1587 정산금 받자~~~~~~~~~~~~~~ 3 먹고나죽자 2011.12.30 901 0
1586 [인천화력지부 성명서]박종옥 집행부의 불신임 투표총회를 제안하며 8 인천화력지부 2011.12.30 1035 0
1585 박종옥은 답하라. 27 뭐야 이거 2011.12.30 1081 0
1584 발전노조를 해부합시다 - 해복투 01 10 아직조합원 2011.12.30 1252 0
1583 중앙위원회 결과가 의미하는 바 2 민주노조 2011.12.30 975 0
1582 계파간 조합비 쟁탈전이 시작되었다 9 소식통 2011.12.30 1031 0
1581 중앙 집행부 불신임 - [입장글] 자랑스런 발전노조 조합원 동지들께 드립니다. 14 이제야 희망이 2011.12.29 1215 0
1580 26억3천3백만원/1300명은 대략 2백만원 4 나누자 2011.12.29 1334 0
1579 [성명서] 남부본부장 징계추진에 대한 성명서 13 남부본부 2011.12.29 951 0
1578 총회로 이백만원 받자 5 총회열자 2011.12.29 978 0
1577 이백만원씩 나누자 6 이백만원 2011.12.29 1228 0
1576 박종옥 집행부는 발전노조를 포기하였습니다. 21 조합원 2011.12.29 1520 0
1575 발전노조 중앙위 결과 11 소식통 2011.12.29 1459 0
1574 김대중 정권 때부터 모진 고문을 당하고 2 노동꾼 2011.12.28 1780 0
1573 한전 발전5사, 사무직 상임이사(전무) 자리 놓고 밥그릇 싸움 밥그릇 2011.12.28 1969 0
1572 반성없고 대책없는 남부본부! 16 남부 2011.12.28 1517 0
1571 고용이 안정되고 임금이 오른다? (고용과 노동조합 4) 제2발 2011.12.27 895 0
SCROLL TOP